전체 글
-
커런트 피드백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10. 12. 17:19
커런트 피드백 회로를 채용한 팰콘앰프를 사용중입니다만 역시 특유의 저역의 힘은 들을때 마다 놀랍습니다. 그러나 스테레오로 제작하려면 B전원이 최소한 3개이어야 한다는것이 불편합니다. 팰콘앰프와 같은 저역을 만들어 보려고 최근에는 출력관을 케소드 팔로워 드라이브로 구동하는 한편출력관 그리드를 드라이브단과 직결하기위해 케소드 초크를 사용해 보고 있습니다. 이런 효과로 저역에 힘이 붙고 단단해집니다만 이것만으론 2% 부족합니다. 812A 앰프를 제작하며 느낀건데 이럴땐 피드백이 필요하다는겁니다. 이러다가 최근에 B전원을 한개만 쓰고도 커런트 피드백 할수 있는 회로를 만들었습니다. 모리슨의 회로를 보다가 깨달았는데 최근에 사용한 케소드 초크를 사용하면 가능합니다. "케소드 팔로워 드라이브단 + 직결 + 커런트 ..
-
uTracer - 커브 트레이서계측기 2014. 9. 13. 08:17
뮤트레이서(uTracer)라는 성능 좋은 커브트레이서를 마련했습니다.간단사양 : 최대전압 300V, 최대전류 200mA, 최대그리드전압 -50V, RS232C 통신, 전용프로그램有(uTracer3+로 업그레이드되어 최대전압이 400V로 향상되었습니다. 부품 몇가지만 교체하면 됩니다.) 기판과 그위에 올라가는 부품을 부품형태로 판매하는 반제품입니다. 그외 나머지는 알아서 만들어야 합니다. 조립하면서 각 단계마다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하며 완성합니다. * 추가 : 히터 전압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밀한 측정을 하려면 히터 전원은 반드시 외부전원을 이용해야 합니다. 완성된 내부 모습입니다. 발진때문에 애를 먹었으나 페라이트 비드를 충분히 사용하여 억제할수 있었습니다. 측정하면 결과를 즉시 그래프로 보여줍니다. 그..
-
RCA 812A 송신관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8. 19. 11:20
언제였는지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송신관 RCA 812A를 구입해 두었습니다. 매끈한 곡선이 아름다운 항아리형 진공관을 좋아해서 였습니다. 특히나 밝고 화려한 불빛의 토륨텅스텐 필라멘트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서랍속에 몇년을 지내다 이제 다시 불빛을 보게 되었습니다. 적용회로는 기본적으로 지난번 12AX7-6H30-300B 와 유사합니다. 이번에는 EC86-12HL7(T)-812A 입니다. 송신관 812A는 보다 더 많이 알려진 811A의 사촌입니다.공급전압을 600V 걸면 20W는 뽑을수 있지만 안전하게 저전압을 걸어 9.4W를 뽑습니다. 초단관으로 사용된 EC86은 본래 UHF용 High Gm 3극관입니다. 뮤 68, Gm 14mA/V로 높은 뮤에 비해 내부저항이 낮아 현대적인 감각의 소리를 만들어 냅니..
-
12AX7-6H30-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6. 30. 18:57
이전에 제작한 310A(1단) 91B형 싱글앰프는 흔히 알고있는 300B의 소리의 전형같은 모습이었습니다. 부드럽고 살랑거리는 고음, 중후한 중저음이 매력적인 앰프입니다. 그러나 초저음은 실종되며 초고음은 아무래도 부족합니다. 음악을 즐겁게 듣기에는 충분하지만 현대적 앰프의 특징인 광대역 특성과 우퍼 제어능력이 아쉬운것이 사실입니다. 내부저항이 낮은 진공관으로 플레이트팔로워 드라이브하여도 어느정도 목적을 달성할수 있지만 강력함이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300B를 더욱 강력히 드라이브할수 있는 회로를 구상하였습니다. 12AX7로 게인을 충분히 확보하고 6H30 케소드팔로워 적용하여 출력임피던스를 최대한 낮췄습니다. 6H30의 상호컨덕턴스가 18mA/V 이므로 케소드팔로워 출력임피던스는 무려 55.5..
-
팰콘275 공제앰프 측정편파워앰프 2014. 6. 27. 10:09
팰콘275 공제앰프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습니다. 최대출력 : 2W @ 1kHz, 8ohm, THD 5.4% 이득 : 17.6dB (7.5배) 잔류잡음 : 0.1mV (무보정) 1W : 20Hz~20kHz @ -1.64dB ~ -1.15dB, 8ohm 주파수특성은 할배트랜스를 300B에 연결해서 측정한 결과와 거의 유사합니다. 같은 출력트랜스이니 어쩌면 당연한 결과입니다만 저음 특성이 워낙 좋아서 저음부는 평탄할것으로 짐작했었습니다. 반면에 91B형 300B 싱글은 초저음이 풀어지고 들릴듯말듯한 소리였지만 주파수특성으로는 초저역까지 거의 평탄하게 보였습니다. 초저음역의 반응은 귀로 들어서는 확실히 차이가 나는데 이것이 주파수특성 한가지만으로는 표현될수 없다는것을 이번에 알게되었습니다. 이부분은 다른 측..
-
팰콘275 공제앰프 제작편파워앰프 2014. 6. 1. 00:12
네이버 동호회 빈티지마을에서 공제한 앰프를 드디어 완성했습니다.주말에만 틈틈히 작업하다보니 속도가 더뎠습니다. 구입한 부품이 안맞으면 일주일을 기다려야 했습니다.이번 공제의 특징은 샤시와 PCB기판만 공제하고 그외 부품은 알아서 만들기입니다. PCB기판에 부품만 꽂으면 될것 같지만 막상 제작에 들어가면 이것저것 잔손이 가는 부분이 많습니다. 케소드 바이패스 커패시터는 두군데 인데 초단의 6900과 출력관에 사용됩니다.초단에는 삼화에서 나온 OS캡을 적용했습니다. 삼화에서 OS캡이 생산되는지 이번에 알았습니다.출력관에는 필름캡을 적용했습니다. 메인기판입니다.6900, 12AY7 플레이트 저항과 출력관 케소드저항은 원전회로와 다르게 CCS로 변경하였습니다.CCS특유의 소리를 얻기위해서 입니다.초단관에서는 화..
-
WE328A 파라피드 트랜스 프리앰프프리앰프 2014. 4. 19. 18:50
웨스턴 진공관과 트랜스로 제작한 파라피드 라인프리앰프입니다. 지난번 직열관프리를 만들때 임시로 연결한 WE310A 소리가 좋아 언젠가 제대로 다시 만들고 싶었습니다. 거기에 더해서 웨스턴진공관에 웨스턴트랜스로 소리를 만들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WE328A와 D178408가 그 주인공들입니다. 328A는 310A와 히터전압만 다를뿐 동일한 진공관입니다. 히터규격이 310A는 10V 0.32A, 328A는 7.5V 0.425A 입니다. 328A는 3극관 접속하였습니다. 3결때 특성이 대략 뮤 19, 내부저항 10kohm 입니다. D178408는 본래 화력통제 레이다 앰프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PP용 출력트랜스입니다. 음성전용으로 제작된 트랜스라서 전류를 흘리면 아무래도 저음역이 부족합니다. 코일에 전류를 흘..
-
홍콩할배 트랜스 테스트회로와 부품 2014. 3. 31. 22:02
요즘 네이버 동호회 빈티지마을이 275A 싱글파워 제작을 위한 두가지 공제건으로 뜨겁습니다.홍콩에 주문한 이른바 '홍콩할배 트랜스'와 PCB 기판을 포함한 케이스 공제건 때문입니다. 저는 두가지 모두 공제신청을 해서 몇일전 트랜스를 먼저 받았습니다.운영자님이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한 트랜스라 그 소리가 몹시 궁금했습니다. 사용중이던 6B4G 파라피드 싱글파워를 D3a-300B 싱글파워로 복원하여 소리를 들어봤습니다.트랜스 하부에 단자대가 부착되어 바닥을 띄워야해서 브라켓을 가공하고 설치하느라 애 좀 먹었습니다.앰프 상판을 방열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트랜스 단자대를 위한 큰구멍을 뚫을수 없었습니다.트랜스는 WE형 케이스에 몰딩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단자대 처리도 깔끔하여 만족스럽습니다.DC전류는 60mA를..
-
CCS 파라피드 6B4G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1. 12. 18:48
ALL CCS 부하로 제작한 지난번 앰프에서 275A만 RCA 6B4G로 교체했습니다.2A3을 써보고 싶었지만 히터 전압이 차이가 커서 6A3을 생각했으나 입수가 쉬웠던 6B4G로 선택했습니다. 대신 4핀 소켓을 옥탈 소켓으로 교체해야 했습니다.회로는 전원부와 케소드 저항을 약간 손봤을 뿐입니다.맘에 드는 소리입니다. 275A와 6B4G의 가격 차이를 생각하면 더욱 더 그렇습니다. 6B4G의 플레이트 전압이 275A 보다 높아서 전원 전압을 조금 더 올렸으면 좋겠는데 전원트랜스를 바꾸기전엔 그럴수가 없습니다.최대출력은 2W가 빠듯하게 나옵니다. 2014.3.16 IXCP 10M45S를 CCS로 사용하기에 어떠한지 테스트 하기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게리핌 CCS를 걷어내고 교체했습니다.소리는 구별할수 없는데..
-
전단(全段) CCS 파라피드 WE275A 싱글 파워앰프 (Full CCS Para-Feed WE275A SE)파워앰프 2014. 1. 1. 16:57
WE275A 에 적당한 회로를 구상하며 로프틴-화이트 앰프로 할까하다가 전단(全段)을 CCS 파라피드로 구성하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개조해서 쓰던 300B 싱글 파워앰프의 공급전압이면 두가지중 어느것으로 해도 딱알맞겠다 싶었습니다.새로 앰프를 만들기보다는 기존 앰프를 조금만 손보면 쉽게 완성시킬수 있어 좋았습니다. 초단 D3a는 기존 그대로 SBCCS, 275A는 BBMCCS 로 꾸몄습니다.BBMCCS는 기존에 뚫어놓은 자리도 있고 마침 차동프리에서 떼어놓은 완성된 기판도 있어 고민할것 없이 사용했습니다.대신 공간도 부족하고 공급전압에 비해 내압도 낮은 평활회로의 필름 커패시터는 걷어내고 전해 커패시터로 교체하였습니다.차마 사진을 올리지 못했지만 출력용 파라피드 캡은 덩치가 너무 커서 외부로 ..
-
C3g-45-인터스테이지-300B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13. 12. 24. 15:16
작년(2012)에 완성한 300B PP 모노블럭에 변화를 주었습니다. 초단 6C8G가 음질상 특색이 없는것 같아 내부저항이 낮고 많은 전류를 흘릴수 있는 C3g로 바꿨습니다. 예전에 만들었던 C3g(3결) 트랜스 프리의 음이 참 좋았던 기억이 있어 결정하였습니다. C3g의 출력 임피던스가 충분히 낮기 때문에 45로 입력되는 출력신호도 뮤팔로워에서 플레이트팔로워로 바꿨습니다. 6C8G에서 부족하였던 선명하고 화려한 CCS 특유의 음이 나옵니다. 이제서야 원하던 소리를 찾아서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예전에 커버를 벗겨둔 C3g를 꽂아봤습니다. 프리앰프에 썼을때는 마이크로포닉 노이즈가 심했는데 파워앰프에서는 조용합니다. 손톱끝으로 톡톡 건드려 보아도 잡음이 나지 않을 정도입니다. 파워앰프가 역시 노이즈에 대해서..
-
WE275A 싱글 파워 맛보기파워앰프 2013. 12. 14. 21:49
저 유명한 웨스턴 일렉트릭의 오리지널 300B는 너무 귀하신 몸이라 대신 중국산으로 만족하고 있었습니다.그러던 어느날 아무래도 미련이 남아서인지 300B의 전신(前身) 275A를 손에 쥐고 말았습니다.그렇지만 이것도 300B 보다 덜해서 그렇지 귀하신 몸이긴 마찬가지입니다. 문제는 최대출력이 고작 3W 남짓이라 고능률 스피커가 필요하다는겁니다.스피커는 구동하기 힘든것으로 악명 높은 B&W 801-3 이라(이건 확실히 과장된 소문임) 정작 손에 넣고는 고개를 갸우뚱했습니다."이걸 왜 샀지???~~" 하지만 300B가 8W라도 소리만 잘 나고 있으니 어쨌든 들어 봐야죠.이미 사용중인 300B 싱글 파워앰프를 개조하여 275A를 끼우고 맛을 보았습니다.히터정격이 300B와 동일해서 플레이트 전압, 전류만 조정..
-
91B형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3. 10. 28. 13:01
진공관 앰프를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은 300B 라는 아름답게 생긴 진공관을 알고나서부터입니다.거기에 모양만 아름다운것이 아니라 소리 또한 직열 3극관중 최고라는 찬사에 더욱 그러했습니다. 300B는 300A(1933년)의 개량형으로 1938년 웨스턴 일렉트릭이라는 당대 최고의 회사에서 탄생하였습니다.당시는 유성영화의 태동기였고 웨스턴 일렉트릭은 극장에서 사용할 출력 8와트의 대출력(!) 앰프를 선보입니다.요즘이야 대출력이라면 최소한 100와트는 넘어야 하지만 당시의 진공관으로는 1와트 정도의 출력이 보통이었습니다.앰프출력이 약한 대신 스피커의 효율이 무척 높아서 8와트로도 극장 전체를 울릴만 했습니다. 이렇게 처음부터 극장용으로 출시된 91B 앰프는 필름에 새겨진 미약한 신호를 크게 증폭할 필요성 때..
-
D3a-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3. 10. 6. 08:30
3A/167M(WE437A)을 제대로 들어보기도 전에 D3a로 변경했습니다.ㅎㅎ 3A/167M의 내부저항이 1k옴이고, D3a(3결)는 1.9k옴입니다. 둘사이에 주파수대역 차이가 얼마나 있는지, 왜율을 얼마나 더 낮출수 있는지 알고 싶었습니다. 결론은 두 진공관이 차이없다 입니다.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SBCCS 부하로 구동하고 출력은 플레이트 팔로워로 뽑습니다. D3a는 삼결시 뮤가 무려 77이라서 한개만으로도 300B에 스윙전압을 충분히 공급할수 있는 진공관입니다. 거기에 내부저항까지 낮은 슈퍼급 진공관입니다. 배선을 완료하고 테스트하는 도중 300B 케소드 정전류 레귤레이터 TL783을 태워 버렸습니다. 전원 OFF이후 잠시후 ON 할때 300B 플레이트에 불꽃이 튀면서 사망했습니다. 아까운 고가의..
-
3A/167M(WE437A)-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3. 10. 5. 10:03
그동안 애청하던 WE310A 드라이브 300B 싱글을 해체했습니다. 이건 조만간 새로 만들 예정입니다. 이번에는 STC 3A/167M 을 초단 겸 드라이브관으로 사용하여 만들었습니다. 내부저항이 매우 낮은 3A/167M 만으로 드라이브 했을때 주파수 대역폭이 얼마나 확장되는지 궁금했기 때문입니다. STC 3A/167M 은 WE437A 와 완전 동등관으로 핀구성만 다릅니다. WE437A 는 마그노발이고 STC 3A/167M 은 록탈입니다. 3A/167M 을 SBCCS 부하로 구동하고 출력은 플레이트 팔로워로 뽑습니다. 뮤가 41이니까 증폭율은 조금 낮지만 프리앰프로 밀어주면 됩니다. 예상대로 넓은 주파수 대역이 마음을 흡족하게 만듭니다. 1W : 20Hz~20kHz @ 0.1 ~ -0.48dB, 8ohm ..
-
5998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3. 8. 25. 14:46
요즘 직열관 프리에만 매달리다가 머리도 식힐겸 우연히 들어온 5998 와 6U8A 로 싱글 파워를 만들었습니다. 5998은 원래는 오디오용은 아니고 정전압회로에 사용되었던 진공관으로 3극관이 한 몸체에 2개가 들어간 쌍3극관입니다. 6U8A도 텔레비젼과 FM 튜너에 사용되었던 진공관으로 한 몸체에 5극관과 3극관이 들어간 복합관입니다. 요즘은 진공관 애호가들에 의해 오디오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처음엔 구철회님 회로로 만들려다가 어차피 3극관 케소드 팔로워라면 아직 만들어 보지 않은 5극-3극 SRPP로 하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호윤님 사이트에서 보고 언제 한번 만들고 싶었던 회로입니다. 스파이스를 돌려서 적당한 시정수를 구하고 제작에 들어 갔습니다. 이번 파워는 복합관 6U8A를 사용한 5극-3..
-
26 파라피드 트랜스 프리앰프프리앰프 2013. 7. 28. 15:59
그동안 직열관으로 실험하던 규광 101D을 고전관 Sylvania 26으로 교체했습니다. 정전류점화에 히터전류가 1A로 똑같아서 플레이트 전류만 조금 낮춰주면 됩니다. 그리드 전압은 -9V로 동일합니다. 그러나 AC8V를 공급하면 레귤레이터에 너무 많은 열이 발생하므로 6.3V로 낮춰주는것이 좋습니다. 전원트랜스에 탭이 나와있지만 트랜스를 탈거하고 선을 끌어내는것이 부담스러워 하지 못하다가 맘먹은 김에 해치우게 됐습니다. 결과는 아주 성공적입니다. 일단 마이크로포닉 현상이 완전히 없어 졌습니다. 진공관을 두드려도 툭툭 소리만 날 정도입니다. 마치 방열관 쓰는 기분입니다. 왜율은 1V 출력시 0.15% 에서 0.036% 로 대폭 좋아졌습니다 그래서인지 약간 칼칼했던 소리가 많이 부드러워졌습니다. 이것으로 ..
-
직열3극관 프리의 직열히터에 대해프리앰프 2013. 7. 1. 21:34
반년이 넘는 기간동안 조물딱 조물딱 거린 101D 프리앰프입니다. 101D ⇔ 310A 사이를 몇번이나 왔다갔다 했는지는 기억도 안날정도였네요. 101D에서 노이즈에 질리면 310A로 갔다가... 이렇게 고쳐 볼까하고 다시 101D로 갔다가... 를 반년동안 반복했습니다. 이제 거의 정리가 된것 같습니다. 직열3극관 101D를 CCS 파라피드로 구성한 라인프리를 제작하며 여러가지 경험을 하였습니다. 짧은 경험을 바탕으로 그간 느낀 소감을 정리해 봤습니다. 파워앰프 출력관과 드라이브관까지 직열관을 써봤지만 프리에서의 직열관은 전혀 새로운 차원이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전원부 분리형을 좋아하지 않아서 일체형만 고려하였습니다.) 가장 어려운 점은 역시 직열히터는 아주 민감하다는 것입니다. 직열히터 전원으로 정전..
-
1626 파라피드 트랜스 프리앰프프리앰프 2013. 5. 12. 01:29
또다시 바람이 불어 기존 WE310A를 들어내고 달링앰프로 유명한 출력관 1626을 사용한 파라피드 트랜스 프리로 변경했습니다. 제기억으로 1626을 프리로 쓴 회로는 아직 보지 못한것 같습니다. 하다보니 모든 진공관이 동일한 ST-12 사이즈로 마무리 하게 되었습니다. WE310A 프리는 조금 아담한 사이즈로 다시 만들기로 하였고 출력트랜스도 가지고 있던 매칭트랜스로 변경했습니다. 웨스턴트랜스라고 해서 샀는데 몰딩이 되어있어 모델명은 알수가 없습니다. 몰딩케이스는 알루미늄 절삭가공되어 외관이 미려하네요. 증폭율이 2~3배 정도되는 프리를 만들려고 하는데 이번에 적용할 출력트랜스 강압비가 1.4:1 이라서 뮤는 가능한 낮으면서 전류를 많이 먹지 않는 진공관을 찾아 봤는데 마땅한것이 없어서 고민했습니다.(..
-
다시 만든 101D 파라피드 트랜스 프리앰프프리앰프 2013. 1. 20. 12:59
지난번 101D 프리앰프를 만들면서 잔류잡음과 마이크로포닉 잡음에 시달려 결국 310A로 변경하였습니다. 그래도 미완성에 대한 아쉬움이 계속 머리속에 남아있어 구성을 달리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잡음를 낮추기 위해 강압비가 높은 출력트랜스를 선택하였습니다. 룬달 LL1930을 11.6:1로 사용하여 노이즈를 대폭 낮췄지만 101D의 뮤가 6.2이므로 이대로는 버퍼앰프의 역할도 못하게 됩니다. 예전에 310A 출력트랜스로 썼던 셀라즈 출력트랜스를 입출력을 뒤집어 1:4 입력트랜스로 썼습니다. 입력트랜스와 출력트랜스가 크기가 작아 한개의 케이스에 모두 수납했습니다. 이것으로 잔류잡음은 획기적으로 낮아졌습니다. 마이크로포닉 잡음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로 낮아졌습니다. 사실 강압비 11.6:1 이면 -2..
-
WE417A 파라피드 PP 트랜스 프리앰프프리앰프 2013. 1. 1. 19:51
2013년 1월 1일 첫 자작기입니다. 얼마 전에 만든 WE310A 파라피드 프리도 그렇고 2년 전에 만든 C3g 파라피드 프리도 CCS 부하 특유의 선명하고 깨끗한 음이 너무 맘에 들었습니다. 주력기로 사용중인 WE417A 차동프리를 파라피드로 개조하고 싶은 마음은 예전부터 가지고 있었지만 거의 새로 만들어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가 이번 연말연시 연휴를 이용하여 손을 댔습니다. 회로입니다. 주요 부품은 그대로 사용하고 차동회로를 PP회로로 바꿨습니다. 부하는 SBCCS를 사용하였고 리튬배터리를 이용하여 고정 바이어스로 꾸몄습니다. 입력트랜스가 있으므로 전단 직류 차단용 커플링 커패시터는 없어도 됩니다. 출력트랜스 1차 분리점에는 직류차단 커플링으로 문도르프 실버골드를 썼습니다. 전..
-
WE310A 파라피드 트랜스 프리앰프프리앰프 2012. 12. 9. 10:31
101D 파라피드 프리를 만들었다가 잔류잡음과 마이크로포닉에 놀라 310A로 개조하였습니다. 101D는 여러 조치끝에 최종적으로 한쪽채널의 히터전원 노이즈가 문제였는데 아무래도 히터전원을 분리해야 할것 같습니다. 나머지 채널도 화이트노이즈가 너무 심하고 결국 마이크로포닉이라는 해결해야 하는 산이 더 남아있었습니다. 향후 '입력트랜스-101D-출력트랜스'의 구조로 다시 한번 도전해봐야 겠습니다. 310A - 300B 싱글파워를 만들때 구입해 두었던 러시아제 호환관 10J12S를 사용했습니다. 3결시 3번 그리드는 보통 캐소드에 연결하는데 관 하나가 플레이트와 3번 그리드 사이에 방전현상이 있어서 2번 그리드, 3번 그리드를 모두 플레이트에 묶었습니다. 항상 즐겨쓰는 SBCCS 션트 레귤레이션 전원부에 31..
-
고전을 거듭하는 101D 파라피드 프리앰프프리앰프 2012. 12. 2. 22:10
규광 101D를 사용해 파라피드 프리를 만들었습니다만 마이크로포닉 노이즈와 잔류잡음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전원부는 애용하던 SBCCS 션트 레귤레이션 회로이고 증폭부는 SBCCS 부하 파라피드입니다. 마이크로포닉은 미리부터 염려했지만 당하고보니 엄청나네요. 이건 진공관이 아니라 거의 마이크 수준입니다. 잔류잡음도 0.3mA 정도로 상당히 높습니다. 이득이 높은 파워로는 음악감상이 어려울 정도로 높습니다. 마이크로포닉 보다 잔류잡음이 더 큰 문제입니다. 잔류잡음을 잡아 보려고 이런저런 방법을 동원해도 해결이 어려워 꼼수로 어테뉴에이터를 최종단에 설치해서 출력해 볼까 생각중입니다. 잔류잡음과 마이크로포닉을 동시에 해결... 그러나 음의 색깔은 어디로? 출력트랜스는 WE제라고 하는데 몰딩된 채로 구입해..
-
91B형 WE310A-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2. 10. 3. 20:15
항상 WE310A를 사용한 91B형 300B 싱글의 소리가 궁금했습니다. 이것저것 부품만 사다가 모아놓고는 300B PP 듣는 재미에 빠져 좀처럼 만들지 못하고 있었는데 추석연휴를 빌어 드디어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원래 계획은 샤시를 포함해 완전히 새로 만드는 것이었는데 빨리 들어 보고자 기존 300B 싱글 샤시를 사용했습니다. 기존에 달려있던 태창 출력트랜스를 그대로 사용했는데 소리가 생각보다 좋아 원래 계획한 하몬드 출력트랜스로 바꿔 달았습니다. 회로도입니다. 300B 케소드에 저항대신 CCS를 사용한것 빼고 인터넷에서 흔히 볼수있는 구성입니다. 특성을 측정해 봤습니다. 최대출력 : 8W @ 1kHz, 8ohm, THD 5%, 입력 900mV 이득 : 20 dB 잔류잡음 : 0.5mV (무보정) 주파..
-
WE417A 차동 트랜스 프리앰프프리앰프 2012. 9. 15. 22:09
3년간 애용하던 6H30 차동 트랜스 프리를 개조하였습니다. 6H30을 WE417A로 대체하였습니다. 6H30은 바이어스 전압이 깊어서 별도의 -전원이 필요없으나 WE417A는 따로 만들어 줘야 했습니다. 7905 레귤레이터를 이용해 간단히 만들었습니다. -> 배터리방식으로 수정하였습니다. 회로는 당연하지만 거의 변경이 없습니다. 이득 : 10.5dB (3.4배) 주파수(@1V) : 20~20KHz (-0.74dB~-0.34dB) 왜율 : 0.02% @ 1kHz, 1V출력 (무보정, 왜율 성분의 대부분은 3차 고조파입니다.) 잔류잡음 : 56uV (무보정) 1V 출력시 주파수특성입니다. 소리는 장시간 들어봐야 알것 같습니다. 첫소감은 6H30과 비슷하지만 소리결이 좀더 유연하다 정도입니다. 6H30 보다..
-
커패시터 분석기 Capacitor Analyzer ZM-3A/U계측기 2012. 9. 8. 21:09
얼마전 장터에서 구한 미군용 커패시터 분석기 ZM-3A/U 입니다. 제작년도는 정확히는 알수없으나 50년대로 추정합니다. 그당시의 기술에 감탄합니다. 현대의 멀티테스터로도 커패시터 측정은 다 해결되겠지만 왠지 엔틱한 모습에 끌려 구입했습니다. 물론 멀티테스터로는 리키지 테스트, 리포밍은 할수 없지만요. 완전 밀폐형이라 내부는 먼지 한점없이 깨끗합니다. 일부 방청도료와 도금부분이 부식된것을 제외하면 마치 얼마전 만든 기기 같습니다. 특히 이부분입니다. 정교한 기어로 이루어져 미터의 반응에 따라 원통에 새겨진 수치를 읽는 장치입니다. 스프링이 있는 기어는 내부에 에어바리콘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전자뿐만 아니라 기계까지 제대로 디자인할 능력이 있어야지 가능한 물건입니다. 여러장 겹쳐진 와셔같이 생긴 스톱퍼도 ..
-
6C8G-45-인터스테이지-300B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12. 4. 29. 17:14
300B PP 자작기입니다. 오랫만에 만들었습니다. 오랜기간 구상했고 부품수급에서 제작까지 반년 정도 걸렸네요. 기본적으로 신정환님의 300B PP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왔습니다. 초단, 드라이브단은 싱글, 인터스테이지로 위상반전후 300B PP 증폭이라는 멋진 구성입니다. 평소 저도 꿈꾸던 구상이었는데 멋진 작품으로 완성하셨길래 저도 만들어 보고 싶었습니다. 회로도입니다. 이런 형태를 기반으로 여러가지 진공관을 검토해 보았으나 최종적으로 이렇게 만들기로 하였습니다. 초단 진공관은 조금 생소한 6C8G 입니다. 쌍삼극관으로 뮤가 36입니다. 옥탈, 삼극관, 항아리관으로 뮤가 40 정도인 진공관을 찾아봤는데 없었습니다. 그러다 장터에서 발견하고 이거다 싶었는데 쌍삼극관에서 탑캡이 있는 한쪽만 사용합니다. 정호..
-
C3g 파라피드 트랜스 프리앰프프리앰프 2011. 1. 14. 02:03
파라피드 프리를 만들어 보려고 벼르고 벼르다 마침내 완성하였습니다. 전원부는 지난번 차동프리 처럼 BBMCCS 션트 레귤레이션 방식입니다. 정류관 구성도 동일하게 댐퍼관 6CL3을 두개 사용했습니다. 파라피드로 하려고이번에는 쵸크인풋 대신 커패시터인풋을 적용했습니다. CCS를 사용한 션트 레귤레이션 방식의 전원은 리플제거 효과가 상당히 좋은데 출력트랜스도 태창제품으로 유도험에 강한 양쪽권선 방식을 써서 그런지 S/N비는 계측기로 100dB 가 나왔습니다. 제가 만든 앰프중 가장 좋은 결과입니다. 증폭의 주역은 지멘스 C3g 입니다. 자작매니아에게 꽤나 잘 알려진 진공관입니다. 이 진공관은 출시당시 50개들이 한박스의 가격이 승용차 두대값이었다고 합니다. 그간 좋은 인상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번에 제대로 써..
-
진공관 회로에 대한 단상들회로와 부품 2010. 12. 12. 11:40
직열관 필라멘트 회로예전에 300B 싱글을 만들때 필라멘트에 DC5V를 공급하고 제작완료후 전압 체크할때 51옴 양쪽전압이 다르게 나오길래 험밸런스용으로 고정저항 51옴을 2개 붙이고 중점에 케소드저항을 연결하였습니다. "왜 그러지?" 갸우뚱??? 하고 넘어갔었는데 MJ 기사를 보니 설명이 나와있더군요. 물론 저는 일어는 모르기에 그림만 봤습니다.^^ 도면으로 표현하면 이렇습니다.빨간색이 플레이트전류, 파란색이 필라멘트전류입니다.(MJ기사에는 전류가 "+" → "-" 로 흐르는것으로 표기했는데 저는 전자의 실제 흐름으로 재구성했습니다.) 300B 캐소드에서 출발한 전자가 플레이트로 갈때 필라멘트의"-" 쪽에서 나오는것이 이유였습니다.이때 필라멘트"+" 쪽 51옴 저항에는 플레이트전류와 저항전류가 합쳐 ..
-
6N6P 아이키도 프리로 수정프리앰프 2010. 10. 10. 19:18
앞서 만든 6N6P 공통케소드-아이키도 프리를 결국 일반 아이키도 프리로 수정했습니다.ㅠㅠ 왜율이 높아서 인지 오래들으니 귀가 피곤하고 음이 산만합니다. 시정수가 적절치 않았나 봅니다. 원래 아이키도 소리도 듣고 싶은 차에 기판 원상복구하고 바로 수정했습니다. 훨씬 낫군요.ㅎㅎ 소리가 한결 부드럽고 유연해졌습니다. 왜율도 0.1%로만족스럽게 좋아졌습니다. 그런데 래더형 어테뉴에이터 이거 신경 많이 써서 달아야 겠습니다. 이상하게 한쪽채널(어테뉴에이터에서 샤시에 가까운 채널)에서 '띠띠띠~'하는 잡음 들리는 겁니다. 음량을 올리면 같이 올라가구요. 알프스 블루벨벳으로 교체했더니 싹 없어 졌네요. 둥근 모양이나 너무 넓은 면적으로 잡음을 수신하는 안테나가 되버렸나 봅니다.ㅠㅠ 차폐를 하고 써야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