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WE5847 트랜스 프리앰프프리앰프 2024. 2. 13. 13:33
웨스턴 진공관 5847(=404A)을 사용한 트랜스 프리앰프입니다. 기존에 제작했던 프리앰프의 증폭단을 모두 걷어내고 새로 만들었습니다. 위와 같이 회로는 매우 심플합니다. 이런 부궤환(NFB) 없는 심플한 회로에서 광대역의 주파수특성과 낮은 왜율이 나오게 하려면 증폭소자인 진공관과 출력트랜스의 특성이 모두 고성능이라야만 가능합니다.5847(=404A)은 5842(=417A)와 크기와 생김새가 매우 유사한 진공관입니다. 3결하면 직선성이 상당히 좋은 삼극관특성을 보입니다. 417A에 가까워서 시정수를 조금 조정하면 대체사용도 가능할 정도입니다.출력트랜스는 휴렛팩커드 자회사인 Paeco사 제품으로 표기된 주파수범위는 100~5kHz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그시절 트랜스들이 흔히 그렇듯 실제로는 매우 광대역이..
-
5687-2A3 싱글 파워앰프 - 2파워앰프 2024. 1. 31. 15:12
2단증폭 싱글앰프를 만들때 1단과 2단에 쌍삼극관을 사용하면 진공관 숫자를 줄여 심플한 외관이 가능합니다.이런 형태로 가장 많이 알려진 회로가 선오디오회로입니다.선오디오회로는 6SN7을 사용했는데, 이대로 만들면 너무 이득이 크다는 문제가 있습니다.볼륨을 조금만 올려도 소리가 너무 커져 사용이 불편하고, 이득이 크니 전원잡음도 덩달아 크게 들립니다. 이 회로는 차라리 넉넉한 이득을 이용해 NFB를 걸어주는것이 더 합리적으로 보입니다.그래서 쌍삼극관을 이용하면서도 적절한 이득으로 출력관을 구동하는 회로를 구상하게 되었습니다.쌍삼극관으로 직열삼극관을 구동하려면 내부저항이 낮은 진공관을 선택해야 합니다.대표적으로 앞서 언급한 6SN7이 있고 이 관의 미니어처 타입으로 6CG7 등 많은 진공관이 있습니다.이 앰..
-
91B회로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1. 25. 10:24
기존에 제작했던 앰프의 증폭부를 모두 털어내고 완전히 다른 앰프로 만들었습니다. 초단은 5극관 6C6를 사용한 웨스턴 91B형 회로입니다. 물론 원전회로 처럼 5극관을 2단 사용하는것은 아니고 1단만 사용하는 간이형 91B회로입니다. 하지만 흔한 1단 간이형 91B회로와 결정적인 차이는 바로 뒷단에 임피던스 버퍼가 있다는것입니다. 임피던스 버퍼는 높은 임피던스를 낮은 임피던스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5극관의 출력임피던스는 수백k옴으로 매우 높아 300B를 원활히 드라이브할수 없습니다. 특히 고음부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가파른 롤오프가 발생하여 고음부가 빠르게 죽어버립니다. 이런 현상을 막기위해서는 임피던스 버퍼가 꼭 필요합니다. 초단관 6C6는 6J7G와 전기적 정격이 동일한 동등관입니다. 6C6..
-
5687-2A3 싱글 파워앰프 - 1 (아이키도 캐스케이드)파워앰프 2024. 1. 14. 19:40
재미있는 회로를 발견했습니다.존브로스키가 설계한 "아이키도 캐스케이드" 6SN7 2단증폭회로입니다.일반적인 2단증폭이 아니고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들어간 회로입니다.그의 천재적인 아이디어가 번뜩이는것 같습니다.잡음제거효과를 확인해 보려고 시뮬레이션을 돌렸습니다. 잡음원으로 20kHz를 전원전압에 실었고 신호원은 1kHz입니다.1단 플레이트에서 뽑은 출력파형(초록색)은 1kHz 기본파형에 20kHz의 작은 파형이 얹혀있는것을 볼수 있습니다.그러나 2단 플레이트에서 뽑은 출력파형(빨간색)은 깨끗한 1kHz 파형뿐입니다. 잡음이 지워졌습니다!!!역시 존브로스키입니다. 노이즈 캔슬링이 훌륭하게 작동합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교묘하고 치밀하게 설계한 결과물입니다.하지만 좋은것만 있을순 없겠죠. 반대급부가 있습니다...
-
진공관 6DN7을 아시나요?회로와 부품 2023. 12. 23. 11:38
진공관 6DN7 이야기입니다. 6DN7은 서로 다른 정격의 3극관 2개가 들어있는 이종쌍삼극관입니다. 본래 TV수상기의 수직편향관 용도로 제조된 진공관입니다. 최근에 이 진공관을 출력관의 초단/드라이브단으로도 사용해 보고 단관앰프으로도 만들어 봤습니다. 그런데 이와중에 6DN7에는 2가지 버전이 있다는 묘한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일단 6DN7의 데이터시트를 보면 조금 이상한(?)것이 보입니다. 신호단 Unit-1의 Typical Operation으로 명시된 플레이트 전압 및 전류가 250V, 8mA 입니다. 그렇다면 소모전력이 2W인데 데이터시트에 표기된 정격의 2배입니다. 이건 아마도 수직편향회로의 어떤 특징(예를들면 펄스운용)에 기인한것으로 추측합니다. 문제는 파워단으로 사용되는 Section-2..
-
6DN7 미니앰프파워앰프 2023. 12. 2. 16:36
6DN7 미니앰프를 만들었습니다. 예전에 만들었던 6EM7 미니앰프와 성격이 거의 같다고 할수 있는데 이번에는 진공관, 출력트랜스, 샤시를 달리해서 만들어봤습니다. 6DN7은 한 몸체에 아래와 같이 서로 다른 정격의 3극관이 2개 들어있는 이종쌍삼극관입니다. - 뮤(mu) : 1=22.5, 2=15.4 - 플레이트 저항 : 1=9kohm, 2=2kohm - 플레이트 손실 : 1=1W, 2=10W 본래 TV수상기의 수직편향회로에 사용되었던 진공관으로 이 진공관만으로도 2~3W 출력을 낼수 있고, 더 큰 출력관의 초단/드라이브단으로 활용도 좋습니다. 출력트랜스로는 알텍 매칭트랜스 T516-71를 사용했습니다. 알텍 PA방송용 스피커의 부속품으로 사용되는 트랜스입니다. 전에 잠시 테스트삼아 단관앰프를 만들어 ..
-
KT88 파라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11. 15. 18:01
KT88 파라싱글 앰프입니다.채널당 KT88 2개를 병렬 연결한 파라싱글 앰프입니다.KT88 1개를 사용한 싱글앰프는 많지만 파라싱글은 흔치 않은것 같습니다.외형상으론 푸쉬풀앰프와 구별하기 어려운 모습입니다. 이 앰프를 만들게된 계기는 우연히 구한 출력트랜스에 있습니다.어느날 운좋게 하몬드 1628SE 출력트랜스가 손에 들어왔습니다.1628SE는 현재 판매되는 1628SEA의 구버전으로 하몬드답게 114코어의 무겁고 우람한 덩치입니다. 출력트랜스에 울트라리니어(UL)탭이 있어서 UL/삼극관 선택스위치를 두었습니다.한데 최대출력도 차이가 크지않고(UL=12W, 삼결=10W) 소리도 비슷해서 공들여 만들긴 했지만 이 선택스위치는 그리 큰 의미가 없는것 같습니다. 그렇긴해도 삼결쪽이 아주아주 약간이나마 더 섬..
-
6BL7 파라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10. 26. 12:12
방열 삼극관으로 싱글앰프를 만들어보려고 진공관을 찾아보니 막상 많지가 않습니다. 오극출력관을 삼결하면 되긴 하지만 삼극관으로만 찾으니 그렇습니다. 그나마 5998, 6AS7, 6C33 등 몇가지 있지만 뭔가 다른 것을 찾으려다보니 손에 잡힌것은 6BL7이었습니다. 6BL7은 TV수상기의 수직편향 회로에 사용되던 것으로 이번에 출력관으로 사용했습니다. 내부에 있는 진공관 2개를 병렬로 연결한 6BL7을 다시 두개 병렬로 연결했습니다. 그러니까 삼극관 4개가 병렬로 연결된 파라 싱글앰프입니다. 초단&드라이브단은 50 앰프에 만들었던것을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6BL7은 직선성이 그리 좋지 않아서 Ep-Ip 곡선이 오른쪽으로 갈수록 빨리 누워버립니다. 이런 진공관들은 풀스윙에 가까워질수록 상하 파형중 한쪽의 신..
-
300B 싱글 모노블럭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9. 11. 18:12
하몬드 출력트랜스 1630SEA를 사용한 300B 싱글앰프입니다.300B 싱글용으로 많이 알려졌고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계시는 114코어의 무겁고 커다란 출력트랜스입니다. 덩치만큼이나 저역이 훌륭한 트랜스인데 여기에 방점을 찍어서 확실한 저역을 보장해줄 드라이브단을 설계했습니다. 드라이브단 진공관은 2A3의 파생관인 실바니아 6A5G입니다. 옥탈핀 & 방열히터인 차이점만 빼고 모양과 정격은 2A3와 동일한 관입니다. 이 진공관의 낮은 출력임피던스를 이용하면 300B를 확실하게 드라이브할수 있습니다.그러나 출력관을 너무 강하게 드라이브하면 자칫 소리가 뻣뻣해질 우려가 있습니다. 300B의 고유한 울림을 잘 지켜줄 균형잡힌 설계가 필요합니다. 내부 부품은 FT & 문로르프 커패시터와 키와메 저항등 고급..
-
파메코트랜스로 만든 EC8010 트랜스프리프리앰프 2023. 8. 7. 17:11
파메코 출력트랜스와 텔레푼켄 EC8010을 사용한 프리앰프입니다. 2년전에도 동일한 구성과 회로로 제작한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성능을 조금 더 보완하고 외관도 더 멋진 모습으로 꾸며봤습니다. 영국 파메코 트랜스는 우수한 성능과 더불어 내부에 오일(절연유)이 충진된 것으로 유명한 트랜스입니다. 이와 짝을 이루는 진공관은 독일 텔레푼켄 EC8010 입니다. 높은 상호컨덕턴스, 높은 증폭율, 낮은 내부저항을 만족하는 슈퍼삼극관입니다. 샤시는 자디스 디자인을 카피한 제품입니다. 물론 품질까지 똑같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제법 미려하고 튼튼합니다. 두께 1.5mm 철판으로 만들어져 상당히 묵직합니다. 뒷패널은 철판에 구리를 도금한 고급소재로 만들었습니다. 전체가 두꺼운 철판 소재로 만들어져 알루미늄판 보다 훨씬..
-
WE713A를 사용한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7. 12. 18:19
이번 300B 싱글앰프는 독특한 외관의 진공관을 사용해 봤습니다. 바로 웨스턴일렉트릭 713A인데요, 납작한 모양의 5극관입니다. 이 진공관은 2차세계대전 당시 레이다의 저잡음 프런트 엔드 증폭관으로 사용되었으며 웨스턴일렉트릭에서 설계하고 여러 메이커에서 대량 생산되었습니다. 이번 앰프에 사용된 것은 텅솔제조관입니다. 713A는 Doorknob라는 별명이 붙어있는데 말 그대로 조그만 문손잡이 처럼 생겼습니다. 레이더를 소형화하기 위해 이런 모양으로 개발된것 같습니다. 동일관으로는 717A가 있고 베이스쉴드 유무의 차이뿐 서로 바꿔 꽂아 사용해도 됩니다. 이 713A를 3결하여 초단관으로 사용했습니다. 3결 특성곡선이 깔끔하게 나오는것을 보고 3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5결로 단독 사용시 스윙전압 출력은 충..
-
텔레푼켄 RS241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6. 16. 17:25
몇달전 텔레푼켄 RS241을 한조 구했습니다. 유럽관으로 앰프를 만들어볼 생각에 일단 구해놨는데 알고보니 제법 유명한 관이더군요. 뮤가 17로 높아서 초단관은 마침 가지고있던 텔레푼켄 REN904를 사용했습니다. REN904의 뮤가 조금 낮기는 하지만 부족한 게인은 프리앰프에서 밀어주면 됩니다. 드라이브관은 STC 5A/152M입니다. 정류관은 댐퍼관 6DW4로 히터 가열시간이 아주 길어 전원투입시 B전압이 서서히 올라와 출력관을 보호해 줍니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유럽 직열 정류관을 써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50 싱글앰프를 만들었던 샤시와 트랜스를 이용해 RS241 싱글앰프로 새로 만들었습니다. 앰프 중앙의 텔레푼켄 로고는 전류계 설치했던 자리가 뻥뚫려있어 가릴려고 올려놓은겁니다.ㅎㅎ 일단 들어보고 ..
-
6A5G(방열형2A3)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6. 4. 14:58
이번에 재미있는 앰프를 만들어봤습니다. 6A5G라는 3극 출력관을 사용했는데 어지간한 진공관 매니아가 아니라면 생소할겁니다. 6A5G는 2A3의 파생형 진공관으로 규격은 2A3과 동일한데 옥탈핀에 히터가 직열형이 아닌 방열형이고 전압은 6.3V입니다. 일반적인 방열관과는 달리 히터의 중점이 관내부에서 케소드와 연결되어 있는 특이한 형태입니다. 이번에 사용한것은 실바니아 나뭇잎로고인데 메이커 불문 많이 생산되지 않은 레어아이템입니다. 왠지 이 진공관은 싱글앰프 보다 푸쉬풀이 더 잘 어울릴것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회로 설계하다가 여기에 6L6계열 진공관도 사용하게 만들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히터전압도 동일하고 핀배치도 스크린그리드 유무만 빼고는 동일합니다. 그래서 두가지를 겸용으로 사용할수있..
-
WE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5. 10. 06:39
52년산 300B를 한조 잘 모셔놓고 있었는데 어떻게 하면 제대로 소리를 뽑을수 있을까 고민해왔습니다.이 아름다운 300B는 두개중 하나가 안타깝게도 에미션이 약했습니다.일반적인 회로에서는 열전자가 충분히 방출되지 않아 제대로 증폭되지 않았습니다.그러나 낮은 전압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습니다. 단지 뽑을수 있는 출력이 줄어들 뿐입니다.다행히도 300B는 공급전압의 높고 낮음에 구애받지 않고 좋은 소리를 만들어 주는 진공관입니다.이러한 핸디캡을 극복할수 있는 특별한 회로를 설계해서 적용했습니다. 짝지워 주고픈 부품들을 하나둘씩 차곡차곡 마련해놓고 있던중 최근에 결정적인 부품을 구하게 되었습니다.바로 타무라 출력트랜스중 최상위 제품인 퍼몰로이 코어 F-7002 입니다.출력트랜스는 진공관앰프에서 가장 중요한 ..
-
6L6G 3결 A2 싱글 파워앰프 ;리뉴얼파워앰프 2023. 4. 25. 16:10
6L6G 5결 싱글 파워앰프는 이미 4년전 만들어 놨다가 요즘 되돌아볼 계기가 생겼습니다. 최근에 정호윤님이 6V6 3결 A2 싱글앰프를 공제했는데 3결 최대출력이 1~2W에 불과한 6V6을 A2로 구동하여 무려 4.5W를 만들었더군요. 여기서 A2 구동이란 +바이어스 영역까지 증폭에 활용하는것을 말합니다. 그리드가 +바이어스 영역에 들어가면 그리드에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런 상태가 가능하도록 회로를 만들어줘야 합니다. +바이어스 영역을 주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진공관으로 송신관이 있습니다. 관심이 급땡겨서 6L6앰프 증폭단을 완전 해체하고 3결 A2 싱글앰프로 다시 만들었습니다. 6L6은 6V6 보다 정격이 큰 진공관이지만 공표된 3결 출력은 6V6과 거의 같은 1.4W입니다. 6V6의 3결 특성곡선에 ..
-
밸런스입력 2A3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4. 10. 21:35
오래전부터 만들어보고 싶었던 캔라드 먹관 2A3 PP앰프를 완성했습니다. 캔라드 먹관 2A3은 2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붙어있는 일반 2A3와 달리 분리된 플레이트 2개로(듀얼 모노)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 관이 소리가 좋다고해서 언제고 한번 만들어보려고 오래전부터 모아두고 있었습니다. 이번 푸쉬풀앰프는 입력단부터 최종 출력단까지 풀밸런스 시스템으로 구성했습니다. Non-NFB 회로이며 입력트랜스-6SN7-6BX7-인터스테이지-2A3-출력트랜스 구성입니다. 6SN7-6BX7은 직결이며 증폭부 전체에서 커패시터는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사용된 커패시터는 전원부의 평활캡뿐입니다. 밸런스입력단은 기본이고 언밸런스입력단도 갖추어서 연결이 용이합니다. 전원트랜스도 좌우 각각인 거의 완전한 듀얼 모노럴 구조..
-
D3a 드라이브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1. 18. 18:55
초단에 텔레푼켄 D3a를 1단 사용한 300B 싱글앰프입니다. 작년에 제작해놨던 앰프의 초단부를 D3a로 변경했습니다. D3a는 상호컨덕터스가 높고 내부저항은 낮은 슈퍼 5극관입니다. D3a로 300B를 드라이브한다면 거의 대부분 D3a는 3극관접속하는것이 보통입니다. 3결하면 뮤가 77로 상당히 높고 내부저항은 낮아 300B를 충분히 드라이브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3결로는 이미 10여년 전에 한번 만들어본적이 있어 이번에는 5극관모드로 드라이브했습니다. D3a를 5결로 드라이브하는 300B 소리가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완성하고 들어보니 기대를 훌쩍 뛰어넘는 소리가 나와서 놀랐습니다. D3a가 부드럽고 선명한 현대적인 소리를 만들어 줬습니다. 첼로 현을 긁는 소리에 5극관 특유의 까실함이 살짝 묻..
-
EL34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1. 13. 19:19
의뢰받은 EL34 싱글 파워앰프를 완성했습니다. EL34가 유럽관인 만큼 초단관들도 유럽관으로 구성했습니다. 초단관은 독일 지멘스 C3g, 드라이브관은 영국 ITT 5A/152M입니다. 출력관 EL34는 영국 멀라드입니다. C3g는 자작인들 사이에서는 널리 알려진 진공관입니다. 파워앰프, 프리앰프에 몇번 사용해서 좋은 소리를 들어볼수 있었습니다. 출시당시 매우 고가의 진공관으로 50개들이 한박스의 가치가 무려 승용차 두대값이었다고 합니다. 외부는 알루미늄캡으로 밀봉되어있고 캡을 벗기면 예쁜 유리관 모습을 즐길수도 있습니다만 노이즈에 취약하고 마이크로포닉이 심해져서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5A/152M은 최근에 알게된 진공관으로 여러모로 C3g와 유사합니다. 둘다 3극관접속으로 사용하였으며 뮤는 높고 내부..
-
WE310A 트랜스프리프리앰프 2022. 12. 14. 15:08
의뢰받은 트랜스프리앰프를 완성했습니다. 보유하고 계셨던 출력트랜스, 어테뉴에이터와 노브를 활용하여 제작했습니다. 출력트랜스는 홍콩할배 트랜스입니다. 짝지워줄 진공관으로 웨스턴 310A를 추천드렸습니다. 310A는 삼극관접속했습니다. 단아한 모습 그대로 차분하고 단아한 소리가 나오는것같습니다.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녹음했습니다. 파워앰프는 올벌룬관 CX-350 싱글이고 스피커는 노틸러스801입니다. =================================== 추가) 홍콩할배트랜스는 아쉬움이 많이 남는 출력트랜스였습니다. 의뢰하신 분도 같은 느낌이셨고, 개선책으로 룬달트랜스를 추천드렸습니다. 교체후 성능, 질감, 음악성에서 환골탈태 수준으로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
6.5인치 풀레인지 스피커스피커 2022. 11. 16. 21:28
얼마전 미니팰콘통을 입수하였습니다. 원래 미니팰콘통은 8인치 웨스턴 755A를 위해 설계된 통입니다. 755A가 좋기는 하겠지만 워낙 고가이니 엄두는 못내고 적당한 8인치를 물색하다 우선 가지고 있던 5인치 풀레인지를 달았습니다. 몇일 굴리니 소구경 유닛으로도 충분히 가능성이 있겠다 싶어 8인치가 아닌 6.5인치로 가는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와이드 레인지를 염두해서 빈티지 유닛보다는 최신 기술로 만들어진 유닛을 찾아봤습니다. 몇가지중 단연 눈에 확~띄는 유닛이 보이길래 고민없이 질렀습니다. 중국 Lii Audio의 ST-6 라는 유닛입니다. 사진만 보고 구입했는데 실물도 사진 그대로 아주 잘 만들어졌습니다. 이 유닛의 가장 큰 특징은 콘이 종이가 아니고 알루미늄이라는겁니다. 보기에 조금 부담스러운 황금색만..
-
ALL 직열관 300B 싱글 파워앰프 II파워앰프 2022. 11. 9. 20:37
지난번에 이어 또다른 분께서 의뢰하신 두번째 ALL 직열관 300B 싱글앰프입니다. 우연히도 비슷한 시기에 두분이 의뢰하셨습니다. 손에 익어서인지 두번째 앰프는 제작하는데 제법 속도가 붙어 예정보다 빠르게 완성되었습니다. 앰프를 한번더 소개하자면 진공관은 모두 직열관으로 구성하였으며 초단관 30, 드라이브관 45, 출력관 300B 입니다. 인풋트랜스로 입력을 받고 내부는 커플링소자가 없는 직결 구조입니다. 이 앰프의 오리지널 모델은 제가 설계하고 제작하여 현재도 주력으로 사용중인 앰프입니다. 완성 당일 에이징도 안된 채로 바로 몇곡 녹음했습니다.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녹음했습니다. 스피커는 노틸러스801 입니다.
-
ALL 직열관 300B 싱글 파워앰프 I파워앰프 2022. 10. 31. 17:29
의뢰받은 ALL 직열관 300B 싱글앰프가 완성되었습니다. 이 앰프의 오리지널 모델은 제가 설계하고 제작하여 현재도 주력으로 사용중인 앰프입니다. 진공관은 모두 직열관으로 구성하였으며 초단관 30, 드라이브관 45, 출력관 300B 입니다. 회로를 간단히 소개하면 인풋트랜스로 입력을 받고 내부는 커플링소자가 없는 직결 구조입니다. 오랜 시간을 들여 회로를 개선해왔으며 최종적으로 완성된 모델입니다. 제가 제작한 앰프중에서 가장 자신있게 추천 드리는 앰프입니다. 완성된 앰프를 기록으로 남기고자 몇곡 녹음했습니다.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녹음했습니다. 스피커는 노틸러스801 입니다.
-
12E1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22. 8. 23. 13:22
이번에 제작한 앰프는 영국제 출력관 STC 12E1 푸쉬풀 파워앰프입니다. 출력관으로 사용한 12E1은 국내에서 제작사례가 그리 많지 않은 진공관입니다. 12E1(CV345)은 꼭지에 탑캡이 있는 진공관으로 정전압전원용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KT88 정도되는 진공관으로 고전적인 유럽형 항아리관 형태이고 방열관입니다. 이 진공관의 아쉬운 점은 스크린그리드 제한전압이 300V 이하로 꽤 낮은편이라서 공급전압이 400V인 앰프에는 울트라리니어를 적용할수 없다는 겁니다. 스크린그리드를 플레이트와 묶는 3극관접속도 300V를 넘기면 안되니 역시 적용할수 없습니다. 하지만 완성후 이 진공관의 아름다운 소리에 모든 아쉬움이 사라졌습니다. 12E1이 탑캡 항아리관이다보니 초단관으로 생각난것이 역시 탑캡에 항아리관인..
-
웨스턴트랜스로 만든 트랜스프리프리앰프 2022. 7. 29. 18:53
예전에 실험만하고 해체했던 웨스턴트랜스 GA50768을 정식으로 프리앰프에 담았습니다. 사용한 출력트랜스는 웨스턴 마크가 찍혀있는 GA50768입니다. 작은 덩치임에도 DC전류를 25mA나 흘릴수 있고 주파수대역은 100Hz~20kHz 입니다. 이대로는 저역이 부족하여 저역을 확보하기위한 실험을 했었습니다. 아래 회로와 같이 케소드에 출력트랜스 2차 코일의 일부를 연결하여 저역을 늘릴수 있었습니다. 왼쪽 출력트랜스 옆으로 전원선이 지나가는데 여기에서 험이 유도되는것이 발견되어 출력트랜스를 쉴드처리해 험유입을 차단했습니다. 추가로 전원선까지 쉴드선으로 교체하니 험이 완벽하게 차단되었습니다. 회로는 그때 소개했던 그대로입니다. 실험결과가 좋아서 동일한 회로를 적용해 파메코 출력트랜스와 EC8010으로 프리앰..
-
6V6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22. 7. 13. 20:03
오랫만에 푸쉬풀 파워앰프를 만들었습니다. 이번 앰프는 아담한 크기로 만들고 싶었습니다. 작은 덩치에 작은 출력을 가진 앰프를 생각하니 6V6이 떠올랐습니다. 6V6은 진공관 제조사라면 만들지 않은 회사가 없을 지경이니 온갖가지 관으로 넘쳐 납니다. 그 많은 관중에서 제법 유명한 프랑스산 마즈다 6V6GT 먹관을 골랐습니다. 초단관은 필립스 5814A(12AU7의 고신뢰관)입니다. 짝지워줄 출력트랜스는 앰프에 비해 덩치가 조금 커보이는 다다사운드 10k PP가 있었습니다. 완성후 들어보니 중고역도 좋고 저역은 풍성하고 탄탄한 것이 힘이 있는 소리를 만드는 트랜스였습니다. 이 앰프에 적용한 회로는 윌리엄슨 회로로 오디오역사에 한 획을 그은 기념비적인 회로입니다. PP앰프를 만든다면 멀라드회로와 함께 언젠가 ..
-
LCR 포노EQ 앰프 II - 룬달코일포노앰프 2022. 6. 30. 09:58
룬달 LL4610을 사용한 LCR 포노EQ 앰프입니다.얼마전 제작했던 LCR 포노EQ와 제작컨셉이 완전히 동일합니다. 포노EQ앰프의 기본 제작컨셉입니다.- 커브는 RIAA 커브를 적용- EQ부는 LCR(코일, 커패시터, 저항)로 구성- 신호부 구성은 증폭부-LCR-증폭부- 진공관의 임피던스 버퍼로 FET를 사용- 신호부와 전원부를 한개의 샤시에 수납- LCR부는 금속케이스로 차폐하여 전원트랜스로부터 유도되는 험을 최소화 1호기 성능이 만족스럽게 나와서 동일하게 2호기를 제작했습니다.이번에는 노구치코일 아닌 룬달코일을 사용했는데 저역코일값이 노구치는 1.9H, 룬달은 1.8H 로 살짝 다릅니다.여기에 맞춰 관련 커패시터, 저항의 시정수를 약간 조정했습니다.입력쪽 커패시턴스 로드는 큰 의미가 없어 이번에는 ..
-
교류점화 300B 싱글 파워앰프 - 부제: WE91B 비틀기파워앰프 2022. 6. 12. 17:28
3년전 만들었던 교류점화 300B 싱글앰프를 다시 만들었습니다. 300B 싱글앰프의 전설로 남은 웨스턴일렉트릭 91B는 300B를 교류점화한 앰프였습니다. 직열관을 교류점화하면 필연적으로 교류험이 유입되는데 이를 증폭회로 구성으로 제거한것입니다. 이러한 회로 컨셉을 그대로 가져와 이 앰프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회로상의 큰 차이점이라면 91B는 초단관 310A를 2단 증폭하였고 이 앰프는 76을 3단 증폭합니다. 그당시 소리는 마음에 들었지만 한쪽 채널에 약한 험이 있었는데 원인을 찾지못하고 결국 해체하고 말았습니다. 최근에 다른 앰프를 제작하면서 그 험의 원인이 그라운드루프인것을 알아내고 다시 만들어보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추정컨대 부궤환(NFB)을 걸기위해 게인이 매우 큰 회로를 사용하다보니 그라운드루..
-
선오디오회로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2. 4. 30. 10:43
오래전부터 가지고 있던 출력트랜스가 있었습니다. 300B용 3.5k옴 출력트랜스인데 예전에는 꽤 인지도가 있던 국산 다다사운드 제품입니다. 하지만 아쉬움이 많았습니다. 몇번이나 사용했었지만 결국은 그때마다 다른 출력트랜스로 교체되고 마는 계륵같은 존재였습니다. 버리자니 아깝고 쓰자니 아쉽고..... 추가) 이 글을 보고 다다사운드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이 트랜스는 제작자가 변경되기 전에 제작된 제품이고 지금은 좋은 스펙으로 만들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유는 그 좋은 중,저음마저 퇴색시켜 버리는 부족한 고음 때문이었습니다. 청량한 고음이 부족하니 오디오적인 쾌감은 고사하고 들을수록 답답해지기만 했습니다. 해서 어떻게 하면 이 출력트랜스를 제대로 쓸수 있을까 고민해봤습니다. 없는것을 만든다기 보다는 부족한..
-
LCR 포노EQ 앰프 I - 노구치코일포노앰프 2022. 4. 9. 23:03
아주 오랫만에 LCR 포노EQ 앰프를 만들었습니다.예전에 LCR 포노EQ 앰프를 제작했었는데 벌써 몇년이 흘렀습니다.당시에 처음에는 노구치 코일 FEQH, FEQL을 적용했다가 나중에 상위기종 FMQH, FMQL으로 업그레이드 했었습니다.업그레이드후 떼어내 보관해왔던 FEQH, FEQL을 이번에 만든 LCR 포노EQ 앰프에 사용했습니다.그때 만든 LCR 포노EQ 앰프는 지금도 제곁에서 열심히 음악을 들려주고 있습니다. 노구치는 폐업해서 이제 더이상 시장에 없는줄 알았는데 인수한 회사가 있었는지 일본에서 판매하고 있긴 합니다.다만 페라이트코어 FEQH, FEQL는 현재 재고가 없고 고급형 파인매트코어 FMQH, FMQL은 주문생산만 한다고 합니다.페라이트코어 FEQH, FEQL도 꽤 좋은 소리여서 이것으로..
-
피셔 진공관튜너 FM-200B 오버홀튜너 2022. 2. 26. 22:43
진공관 튜너를 들이고난후 튜너의 즐거움에 푹 빠져있습니다.은은한 불빛의 다이얼창과 노브들이 한데 어울려 연출되는 빈티지한 모습이 매력적입니다.일요일 아침에 나즈막히 울려오는 KBS 1FM의 클래식은 정겹습니다.휴일의 나른함과 넉넉함 속에 여유로운 느낌이 즐겁습니다.지금껏 잊고 있었던 음원의 재발견입니다. 처음에 들인 피셔 KM-60에서 튜너의 편리함과 괜찮은 소리를 발견하고 조금 더 상위 기종을 찾게 되었습니다.내심 매킨토시 튜너를 점찍어 뒀지만 집근처에 피셔 FM-200B이 나왔길래 냉큼 업어왔습니다.피셔에는 3대 진공관 튜너중 하나라고 불리는 FM-1000 이 있는데 FM-200B는 바로 아래급의 튜너입니다.프론트엔드 샤시의 은도금된 검은 얼룩이 고급기임을 알려 주는듯 합니다.FM-200B 또한 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