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직열관 교류점화에 대한 단상회로와 부품 2025. 1. 30. 16:21
300B나 2A3같은 직열관 싱글앰프를 사용하다보면 교류점화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환상을 가지게 됩니다.저 또한 그런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동경심을 가지고 있기도 했습니다.오늘은 그 교류점화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가장 관심가는것은 과연 교류점화 소리가 직류점화 소리보다 좋은가인데 동일한 앰프로 비교해본적이 없어서인지 이건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싱글앰프를 교류점화, 직류점화 모두 가능하게 만들어서 번갈아 들어보면 그 차이를 알수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굳이 그런 앰프를 만들 일은 없을것 같습니다.직류점화와 교류점화의 차이를 귀로는 잘 구분할수는 없어도 눈으로는 볼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아래 사진과 같이 스펙트럼을 찍어보면 됩니다. 왼쪽은 직류점화이고 오른쪽은 교류점화입니다.직류점화(정..
-
WE300B 와 그 관련 제품의 역사회로와 부품 2025. 1. 25. 18:14
WE300B 와 그 관련 제품의 역사 By Eric Barbour, 1995 정전압 전원장치와 하이엔드앰프는 서로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두가지 모두 증폭기(앰프)입니다. 전자는 DC용이고 후자는 AC용이며, 동일한 출력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그들이 좋아하는 low-mu 3극관이 30년 전 미국 정부의 일반적인 산업 부품일 뿐이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도 그들을 짜증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당시 NASA 전자 엔지니어에게 300B가 무슨 용도인지 물어보면 그는 즉시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그것은 정전압회로 오차제거관입니다. 이것이 지금은 많은 숭배를 받는 300B가 1960년대에 쓰인 매우 일반적인 용도였습니다. 그것은 비정상적으로 긴 수명을 위해 선택되었..
-
V312 - PX25 싱글 파워앰프 ; 입력트랜스파워앰프 2025. 1. 23. 16:03
EC8010을 초단관으로 사용했던 처음 버전은 스피커를 압도하는듯한 강렬함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여기에서 조금더 나아가 부드럽고 나긋한, 하루종일 들어도 부담없는 소리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인터스테이지 트랜스를 사용한 두번째 버전은 고음이 많이 튀고 이를 잡는 과정에서 아쉬운 점이 있었습니다. 대역폭을 가능한 넓게 확보하면서 목표에 도달할수있는 방법을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시도는 앞서의 '초단관-트랜스-출력관' 순서를 '트랜스-초단관-출력관' 순서로 바꿔보는 것입니다. 입력트랜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광대역이고 여전히 2배승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입력트랜스는 룬달 LL1544A이며 1:2 결선하여 2배승압을 수행합니다. 작은 박스에 담아서 상판에 설치했습니다. 회로를 바꾸니 또 다른 소리가 나옵니다..
-
V312 - PX25 싱글 파워앰프 ; 인터스테이지트랜스파워앰프 2025. 1. 15. 15:33
앞서 사용하던 초단관 텔레푼켄 EC8010을 다른 진공관으로 바꿨습니다.또다른 시도를 해보고 싶어서 입니다. 이번에도 초단관은 하나만 사용하려고 합니다.특색있게 인터스테이지 트랜스를 넣기로 하고 초단관으로 마즈다 V312를 골랐습니다.단독으로 PX25를 구동하려면 게인이 부족하지만 인터스테이지 트랜스로 보충하면 됩니다.V312는 증폭율을 비롯해 특성이 REN904와 매우 유사합니다. 유로5핀으로 핀배치도 동일해서 바꿔 사용해도 됩니다.그리드가 탑캡이냐 소켓핀이냐의 차이뿐으로 양쪽다 연결해 두면 마음 가는대로 사용할수 있습니다.서랍속에 고이 모셔둔 탱고 NC-16를 꺼냈습니다. NC-16은 승압비가 1:2로 안성맞춤입니다.그런데 V312과 NC-16의 조합만으로 PX25를 구동하기에는 출력임피던스가 너무 ..
-
EC8010 - PX25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5. 1. 3. 17:46
PX25 싱글앰프는 언제고 꼭 만들어보고 싶었습니다만 귀하신 몸에 하늘같이 높은 가격이 걸림돌이었습니다. 그러다 얼마전 그나마 손이 닿을만한 KR오디오 PX25를 입수했습니다. 아시다시피 KR오디오는 체코에 있는 하이엔드 진공관 제조사입니다. PX25 데이터시트상의 최적부하는 3.2k옴이지만 왜율 개선을 위해 6.5k옴 룬달트랜스를 사용했습니다. 이에따라 최대출력은 조금 줄어들었지만 음질적인 이득을 생각하면 이쪽이 더 적합한 것으로 보입니다. 초단관겸 드라이브관은 텔레푼켄 EC8010 입니다. 높은 Gm, 높은 Mu, 낮은 내부저항을 가진 슈퍼 3극관입니다. PX25의 Mu가 9.5로 높기때문에 EC8010 한알만으로 충분한 드라이브가 가능합니다. 테스트 베드로 애용하는 우드베이스를 또다시 털어내고 만들..
-
LCR 포노EQ 앰프 III - 일신코일포노앰프 2024. 12. 23. 10:47
트랜스전문업체 일신전기에서 생산한 LCR포노용 코일을 사용하여 LCR 포노EQ 앰프를 제작했습니다.일신코일은 코어가 노출되어 외관이 노구치코일과 유사하며 인덕턴스는 1.8H, 45mH 입니다. LCR부의 부품은 음질과 경제성을 고려해 선정했습니다.L) 코일은 일신코일C) 커패시터는 얀센 크로스캡R) 저항은 타크망 카본필름저항그외 신호부 부품은 커패시터는 EPCOS(지멘스), 저항은 암트랜스 카본필름저항 LCR 포노EQ앰프의 기본 제작컨셉입니다.- 커브는 RIAA 커브를 적용- EQ부는 LCR(코일, 커패시터, 저항)로 구성- 신호부 구성은 증폭부-LCR-증폭부- 진공관의 임피던스 버퍼로 FET를 사용- 신호부와 전원부를 한개의 샤시에 수납- 노이즈에 민감한 LCR부는 금속케이스로 차폐하여 전원트랜스로부터..
-
반킬회로의 해석오류를 바로잡으며회로와 부품 2024. 11. 23. 18:37
인터넷 검색중 우연히 어느분의 블로그에서 반킬회로를 이상하게 해석하는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몇년전 글입니다만.....위의 공개된 회로를 아래와 같이 조금 다른 방식으로 그렸는데 이를 푸쉬풀(PP)출력으로 잘못 해석하고 있습니다. 언듯보면 멀라드 위상반전회로와 비슷해 보이지만 두 회로는 완전히 다른 동작을 합니다. 유사해 보이는 부분은 상단진공관에서 DC전압을 가져오는 저항과 커패시터입니다. 이는 로우패스필터입니다. 시정수가 거의 '0'Hz에 가까워서 DC전압만 가져옵니다. 당연히 두 회로에서 같은 역할을 합니다. 멀라드회로의 위상반전단은 차동증폭회로 입니다. 케소드저항을 공통으로 사용하며 케소드저항은 정전류와 유사하게 작동합니다. 로우패스회로의 역할은 상하단 진공관을 거의 같은 동작점으로 유지하는것입니다..
-
간단히 만들어 쓰는 뮤팔로워회로와 부품 2024. 11. 23. 18:32
3단자 전류 레귤레이터를 이용한 아주 간단한 뮤팔로워 회로입니다. CCS(정전류)에 사용되는 3단자 전류 레귤레이터는 IXYS사의 IXCP10M45S(450V)/IXCP10M90S(900V) 가 있습니다. 한때 미국의 금수품이었다가 해제된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쉽게 CCS를 만들수 있죠. 그런데 국내외에 공개된 많은 회로를 봐도 사용례가 전혀 없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글에서 소개할 뮤팔로워입니다. 왜 안쓰는지는 잘 모르겠구요. 이 레귤레이터의 등가회로입니다. 아시다시피 이 레귤레이터의 핵심은 MOSFET입니다. 이 등가회로의 K단자에서 출력을 뽑으면 소스팔로워, 즉 뮤팔로워임을 알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동일한 회로에서 출력을 플레이트(일반적인 방법)에서 뽑을때와..
-
WE 271A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11. 21. 21:33
3극관 싱글앰프라고 하면 으레 300B나 2A3 같은 직열3극관을 떠올리기 마련입니다만이번 앰프는 아주 귀한 방열3극관 웨스턴일렉트릭 271A로 제작한 싱글앰프입니다.271A는 히터전압 5V의 방열관으로 1932년에 출시되어 78A, 78B, 82A 앰프 등에 사용되었습니다.2.8W의 작은 출력으로 같은 해 출시된 275A, 300A(1933년), 300B(1938년)에 밀리면서 잊혀져 버리고 말았습니다.방열3극 출력관은 그리 많지 않은데 특히나 고전관 방열3극관은 정말 찾아보기 어렵습니다.고전관의 특징으로 직열관이나 방열관 모두 직선성(Linearity)이 매우 우수하다는 점을 들수 있습니다.적용한 회로는 LSB토템폴에 이은 LSB토템폴 시즌2 입니다.기존의 LSB토템폴에서 초단관과 출력관의 전원을 각..
-
LSB Totempol SE2회로와 부품 2024. 11. 20. 21:01
요즘 구상하고 있는 LSB토템폴 시즌2 입니다. 참고로 LSB토템폴은 제가 만든 회로에 정호윤사장님께서 이름을 지어주신겁니다. 예전에 회로를 소개한적이 있습니다. https://hifimuse.tistory.com/177앰프도 만들었었죠. https://hifimuse.tistory.com/117기존의 LSB토템폴은 출력관 U2의 바이어스 전류를 그대로 받아줄수 있는 초단관 U1이 현실적으로 거의 없다는게 문제였습니다. 물론 정호윤사장님이 제시한 추가 정전류원을 두는 방법도 좋기는 한데 너무 몽키회로에 가까워집니다.그래서 조금 다르게 생각해 봤습니다. 전원도 상하로 나눠서 쌓아 올리면 어떨까? 회로도의 V2, V3가 그것입니다. U2의 바이어스전압은 U1이 만들어내는 플레이트전압입니다. 따라서 V2는 전..
-
LSB Totempol - 색다른 싱글 회로 이야기회로와 부품 2024. 11. 20. 20:54
오늘은 색다르고 흔치 않은 싱글 회로 얘기입니다.예전 빈마시절에 몽키회로를 한번 선보인적이 있습니다.그동안 이 회로를 계속 다듬고 있었는데요.몽키의 진화과정을 한번 보시죠.아래 회로가 잘 알려진 몽키회로 원형입니다.초단관의 부하로 초크코일을 사용했죠.초크코일과 그 위치가 핵심 포인트입니다.초크코일의 저항성분은 동시에 출력관의 바이어스 전압을 만들어 줍니다.(저항성분이 부족하면 저항을 직렬로 덧대야 합니다.)굳이 저항대신 초크코일을 사용한 이유가 궁금하실텐데요.바이어스 전압 정도의 낮은 전압에서도 초단관이 제대로 증폭해야 하기 때문입니다.출력관에는 초단에서 들어오는 전류와 케소드 저항으로 들어오는 합산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저는 이렇게 동일 소자가 단과 단 사이를 구분없이 서로 유기적으로 얽힌 회로를 좋아..
-
뮤스테이지(5극관 캐소드팔로워)의 노이즈감소 효과회로와 부품 2024. 10. 9. 14:24
얼마전 뮤스테이지(Mu-Stage)로 드라이브하는 300B 싱글앰프를 만들어 보고 알게된 내용을 별도 글로 남깁니다. 이 글에서는 뮤스테이지 회로내의 5극관 캐소드팔로워에 주목하려고 합니다. 뮤스테이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뮤스테이지는 앨런 키멜이 1993년에 글래스오디오(현 오디오익스프레스)에 기고하면서 알려진 회로입니다. 하단 3극관과 상단 5극관의 조합으로 3극관의 뮤를 거의 완전히 게인으로 뽑을수 있습니다. 언듯 복잡해 보이는 회로지만 이를 보기 쉽게 재배치하면 아래와 같은 구조임을 알수 있습니다. 골격은 3극관 증폭후 5극관 캐소드팔로워로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2단으로 나뉘어진 일반적인 회로와 달리 3극관 플레이트 저항을 5극관 캐소드에 연결한것(빨간색 점선)이 결정적인 차이를 가져옵니다. ..
-
Heppener 8인치 풀레인지스피커 2024. 10. 4. 11:09
알텍 755E를 처분하고 미니팰콘통에 헤프너(Heppener) 8인치 풀레인지를 넣었습니다. 미니팰콘통은 755E때 넣어둔 폴리에스터 흡음재로 가득차 있는 상태입니다. 헤프너는 이 흡음재를 빼고 들으면 소리가 정말 이상하게 나옵니다. 흡음재를 이렇게 가득 넣은 상태에서는 아주 정상적인 소리가 나옵니다. 콘지 뒷면에서 만들어진 음압에 특히 취약한것 같습니다. 직전에 사용한 755E는 시원하고 많이 강한 소리인데 비해 헤프너는 매끄러운 질감이 좋습니다. 헤프너가 제 취향에 잘 맞는 소리네요. 그러나 그대로 쓰기에는 고음이 부족해서 조금 답답합니다. 구석에 처박아둔 JBL 2404H를 연결하니 밸런스가 잘 잡힌 소리로 바뀌었습니다. 꽉채운 흡음재로 중역이 매끄러워 졌지만 반대급부로 저음은 감도가 내려갑니다. ..
-
Altec 755E 8인치 풀레인지스피커 2024. 10. 3. 11:46
글을 써놓고 일년간 묵혀놨던 알텍 755E 이야기입니다. 유닛 구입하고 기쁜 마음에 첫소리를 들어보니 좋은 소리가 나오긴 했습니다.하지만 생각한 만큼의 소리는 아니어서 그냥 팔아야겠구나 판매하려고 내놨습니다만가끔씩 들어볼땐 귀에 잘 안들어오더니 팔려고 몇일동안 밤낮으로 틀어놨더니 유닛이 점점 풀리는 느낌이 나더군요.어라~~?하는 생각에 판매취소하고 더 들어보기로 했습니다.유닛이 풀리는 느낌이 전주인도 아마 거의 사용하지 않던것 같습니다.처음에는 저음이 너무 뭉쳐있었으나 점차 아래쪽으로 대역이 넓어지는듯 합니다.중음은 원래 용도가 용도인만큼 사람 목소리가 또렷하고 아주 사실적입니다.고음은 거실에서는 조금 부족하게 느껴지지만 골방에서는 딱 적당합니다.골방에서 들으면 고음이 찰랑찰랑하고 메탈릭한 맛이 있습니..
-
뮤스테이지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9. 30. 12:41
뮤스테이지(Mu-Stage) 회로는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이번에 처음으로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뮤스테이지는 앨런 키멜이 1993년에 글래스오디오(현 오디오익스프레스)에 기고하면서 알려진 회로입니다. 하단 3극관과 상단 5극관의 조합으로 3극관의 뮤를 거의 완전히 게인으로 뽑을수 있습니다. 5극관 캐소드 팔로워로 출력을 뽑기 때문에 출력임피던스가 매우 낮아 300B를 원활히 구동할수 있습니다. 이 앰프에 사용한 진공관은 위 회로에서 V1(3극관)으로 75, V2(5극관)으로 6AG7 입니다.75는 3극관 1개와 다이오드 2개가 한몸체에 들어있는 복합관으로 이 앰프에서는 3극관부만 사용합니다.75의 뮤는 100으로 3극관중에는 12AX7과 더불어 가장 높은 수치로 300B에 충분한 스윙전압을 공급할수 ..
-
REN904 트랜스 프리앰프프리앰프 2024. 9. 9. 16:15
REN904는 1930년대에 출시된 유럽 고전관으로 유럽관 애호 자작매니아들의 많은 사랑을 받는 진공관입니다. 뮤는 30, 내부저항은 12k옴 정도의 방열 3극관이며 수많은 파생관을 포함해서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이 앰프에 사용한것은 독일제 텔레푼켄 REN904입니다 같이 짝을 맞춘 출력트랜스는 Paeco사 제품으로 광대역 특성에 좋은 기본기를 가졌습니다. Paeco는 휴렛팩커드(HP) 계측기용 트랜스를 전문으로 제작하는 HP의 자회사입니다. CCS(정전류)부하 파라피드회로로 구동합니다. 리인프리앰프이며 단아하고 단정한 소리를 가졌습니다. 리모콘으로 볼륨조정 가능합니다. 이득 : 13.5dB (4.7배) @ 1kHz 주파수(@1V) : 20 ~ 20kHz (-0.3dB ~ -0.0dB), 왜율 ..
-
WE418A -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9. 4. 18:16
올해초에 제작했던 300B 싱글앰프에 새로운 변화를 줬습니다. 초단부에 high gm 진공관인 웨스턴 일렉트릭 418A를 사용하여 새롭게 제작했습니다. WE418A는 4극관으로 상호컨덕턴스가 매우 높은 슈퍼진공관입니다. 플레이트와 스크린그리드 손실전력은 각각 8.5W, 3W로 소형출력관급입니다. 출력임피던스가 충분히 낮아 버퍼단없이 단독으로도 300B를 원활히 구동할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진공관입니다. WE418A 자체도 흔치 않지만 이 진공관으로 300B를 구동하는 회로는 더욱 흔치 않습니다.구글에서 찾은 일본회로는 너무 적은 전류로 작동시키는것이 이 진공관의 능력을 충분히 뽑지 못하는것 같아 매력이 없었습니다. 심층분석한 끝에 충분한 전류가 흐르는 부분에서 선형성이 좋은 구간을 찾아 내어 회로를..
-
12AX7 - 2A3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8. 22. 19:31
일전에 12AX7 한알로 2A3를 스테레오 구동하는 회로를 실험했었는데, 그때 실험한 회로를 이번에 정식으로 제작했습니다. 12AX7은 뮤가 100인 쌍삼극관으로 각종 오디오에 아주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진공관입니다. 2A3를 원활히 구동하기 위해 12AX7의 높은 출력임피던스를 낮췄으며 선형성(Linearity)을 가능한 최대로 확보할수 있게 회로를 설계했습니다. 2A3는 교류점화했습니다. 험밸런스로 험최소점을 맞추면 정숙한 운용이 가능합니다. 무엇보다 이번 앰프는 샤시를 특색있게 디자인했습니다. 샤시 내부에 부품을 모두 수납하여 깔끔하고 박시한 모습으로 다듬었습니다. 진공관을 반쯤 드러나게 해서 엄연한 진공관앰프임을 보여주고 열기도 쉽게 빠져나가도록 설계했습니다.박스형이라 단조롭게 보이기 쉬운 전면..
-
ALTEC-LANSING 604 DUPLEX스피커 2024. 8. 3. 17:49
CLASSIC LOUDSPEAKERS THE ALTEC-LANSING 604 DUPLEX by Charlie Kittleson, 1995, Vacuum Tube Valley Issue 3초기 라우드스피커 풀레인지 스피커에 대한 필요성은 1930년대 중반 라디오의 황금기에 분명해졌습니다. 라디오 회로는 점점 더 정교해지고 출력 진공관과 트랜스도 개량되었습니다. "하이파이"라는 용어는 더 많은 라디오 광고에 등장했습니다. 당시 사용 가능한 스피커는 전체 음악 스펙트럼을 충실하게 재생하는 데 있어서 기껏해야 그저그런 수준이었습니다. 대부분 스피커 시스템은 저음이 흐릿했고 신호의 고음 부분은 일반적으로 8,000Hz 이상에서 차단되었습니다. McMurdo Silver, E. H. Scott, Zenith St..
-
45 : 딱 적당한 출력회로와 부품 2024. 7. 31. 18:04
45 : 딱 적당한 출력 By Eric Barbour, 2000, Vacuum Tube Valley Issue 12소개 뉴욕 엘마이라에 있는 Westinghouse Electric and Manufacturing Company의 진공관 연구실에서 E.D. Wilson의 엔지니어링 팀은 1928년 6월에 UX245를 만들었습니다. 일반적인 라디오 플레이트 전원에서 UX112A 또는 UX171A보다 더 많은 전력을 출력하고 UX210 또는 UX250의 높은 플레이트 전압이 없는 3극관이 분명히 필요했습니다. 후자의 진공관를 SE 모드에서 사용하려면 필라멘트 공급을 심하게 필터링해야 했습니다. 7.5V 전압 요구 사항이 출력에서 험을 증가시켰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필라멘트 전압을 사용하는 직열..
-
2A3 : 하이파이의 어머니회로와 부품 2024. 7. 24. 17:40
2A3 : 하이파이의 어머니 By Eric Barbour, 1999, Vacuum Tube Valley Issue 15 1930년대 라디오 엔지니어들은 300V 전원을 사용하는 기존 3극관으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전력 출력을 갖춘 오디오 증폭기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이 전압 제한은 대략적으로 사용 가능한 라디오 세트용 전원트랜스와 전해 콘덴서의 가격에 따라 설정되었습니다. 이미 인기 있는 45형 진공관은 이 구성에 비해 너무 작았으며 스피커 내부에서 깨끗한 10와트 출력을 생성하려면 4~6개의 45 진공관이 필요했습니다. 그리고 타입 50 진공관은 출력 트랜스포머에 더 높은 전압 공급과 더 높은 1차 임피던스가 필요했습니다. 이는 더 많은 비용을 의미합니다. 타입 10 진공관은 가격은 적당하지..
-
12AX7-5687-2A3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7. 11. 12:12
2A3 드라이브단에 대한 일련의 실험이 마무리 단계에 왔습니다.드라이브단이 출력관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입니다. 이번에는 새로운 컨셉으로 구성된 드라이브단을 만들었습니다. 12AX7과 5687를 사용하여 드라이브단의 선형성(Linearity)을 가능한 최대로 확보했습니다.앰프외형 및 내부배치는 최종 완성된 디자인을 적용하여 제작합니다.드라이브단과 출력관의 주로 2차고조파에 의한 비선형성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야기를 다시 해보겠습니다.2A3/300B 같은 직열삼극관은 선형성이 상당히 뛰어난 소자이지만 이들 또한 비선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그런데 드라이브단에 2차고조파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출력관의 비선형성과 서로 상쇄되어 왜율이 상당히 낮아집니다.더우기 이런 현상을 적극 활용하면 부궤환없이 왜율 0.1% ..
-
12AX7 - 2A3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6. 25. 12:02
12AX7 한알을 초단관으로 사용한 2A3싱글입니다. 12AX7은 이전에 사용한 75와 정격이 거의 유사한 진공관입니다. 두 진공관의 뮤값은 삼극관으로는 매우 높은 100으로 둘다 동일합니다. 생긴것은 달라도 성격은 같은 셈이죠. 75가 만족스럽길래 12AX7도 들어보고싶어 옆자리에 MT관 9핀소켓을 설치했습니다. 정격이 거의 같으니 기존 75용 부품에서 그대로 배선을 따와 연결 했습니다. 이제 75를 빼고 12AX7을 꽂으면 됩니다. 반대로 12AX7을 빼고 75를 꽂아도 되고요. 12AX7이 훨씬 대중적인 진공관이라 브랜드를 바꿔가며 듣는 맛도 있을것 같습니다. 지금은 텔레푼켄 12AX7로 들어보고 있습니다. 12AX7-2A3 싱글앰프를 정식으로 만들어 봐야겠습니다.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녹음했습..
-
5687-2A3 싱글 파워앰프 - 3파워앰프 2024. 5. 24. 15:10
앞서 만든 5687 드라이브 회로를 조금 더 간결하게 만들고 싶었습니다.물론 전형적인 2단회로였기 때문에 더 이상 손댈곳은 없어서 회로자체를 바꾸기로 했습니다.그래서 이번에 적용한 회로는 캐스코드(Cascode)라는 회로입니다.이 회로는 1939년에 Frederick Vinton Hunt와 Roger Wayne Hickman이 도입했습니다.삼극관 두개를 직렬로 연결한 회로이며 결과적으로 오극관과 유사한 특성을 보입니다.주요특징은 삼극관 한개일때보다 증폭율은 올라가고 삼극관 고유의 밀러효과가 사라지는데 있습니다.완성후 들어보니 시원시원한 소리입니다. 재즈, 팝, 가요에 조금 더 장점이 있는것 같습니다.이 앰프에 3가지 드라이브회로를 적용해봤습니다.앰프의 음색은 회로가 주는 영향이 절대적이라는 사실을 다시 ..
-
밸런스입력 6B4G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4. 29. 15:20
음압 100dB가 넘는 빈티지스피커는 험노이즈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직열삼극관앰프를 통해 고음압 빈티지스피커로도 조용히 음악을 들어보고자 밸런스입력 푸쉬풀앰프를 제작했습니다. 이번에 제작한 앰프는 직열관 6B4G을 사용한 푸쉬풀앰프입니다.6B4G는 2A3의 파생관으로 옥탈베이스인것과 필라멘트전압이 6.3V인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특성은 2A3와 동일합니다. 이 앰프에 사용한 6B4G는 켄라드에서 제조한 먹관으로 듀얼 모노럴 구조가 특징입니다. 풀밸런스 구성으로 제작했습니다. 알텍 15356A로 입력신호를 받아서 위상반전하고 다음단인 초단관 6SL7로 넘깁니다. 밸런스입력만 받는다면 입력트랜스는 굳이 필요없습니다만 입력트랜스를 사용하면 언밸런스입력을 받기에도 용이하고 무엇보다 트랜스가 만들어주는 소리를 고..
-
75 - 2A3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4. 25. 15:02
앞서 C3g를 삼결하여 2A3를 드라이브했습니다만 기왕이면 삼극관으로 들어보고 싶었습니다.하지만 뮤가 높은 삼극관은 MT관이 아니면 거의 없는게 현실입니다.그러나 다행히 뮤가 100인 75를 가지고 있었습니다.75는 삼극관 1개와 다이오드 2개가 한몸체에 들어있는 복합관입니다.수신기에서 검파와 AVC를 담당하던 진공관입니다.히터전압과 핀베이스가 다른 동등관으로 2A6, 6B6G가 있습니다.이런저런 실험으로 지금 출력트랜스는 다시 룬달입니다.C3g에서 75로 바꾸고 들어보니 조금 더 마음에 와닿는 소리입니다.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녹음했습니다. 스피커는 노틸러스801 입니다. ================================= 이번에는 모노 플레이트 2A3 입니다.75관으로 드라이브하는 소리가..
-
6C6-6C6-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4. 15. 12:31
기존 300B 싱글앰프를 아래 사항에 중점을 두어 리뉴얼했습니다. - 우드베이스였던 샤시를 노이즈 차단에 조금 더 유리한 금속제 샤시로 변경했습니다. - 약간 언밸런스한 모습의 초단관과 드라이브관은 6C6으로 통일하여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 웨스턴 91형 회로인 초단의 시정수를 최적화하여 조금 더 생동감있는 소리로 튜닝했습니다. 초단과 드라이브단에 사용한 6C6은 널리 사용되는 6J7와 동등관입니다. 핀베이스와 탑캡사이즈만 다르고 전기적 정격은 동일한 진공관입니다. 6C6/6J7 모두 고가의 웨스턴 310A/348A를 대체하여 300B 싱글앰프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6C6/6J7 과 웨스턴 310A/348A의 핀베이스&탑캡 관계가 매우 유사합니다. 6C6 (6핀, 라지탑캡) = ..
-
C3g - 2A3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4. 8. 09:48
지난번에 15분할감이 5k 싱글출력트랜스를 사용한 UX245 싱글앰프를 소개했었습니다.트루소닉 206에는 충분한 출력이었으나 아무래도 노틸러스801을 울리기에는 부족합니다.동일한 음량을 만들려면 한계출력에 다달아 왜율이 급격히 높아지고 소리가 거칠어 집니다. 그래서 필라멘트전압이 동일한 2A3를 사용해서 출력을 높이기로 했습니다. 사용할 출력관은 RCA 스프링탑 2A3입니다.출력트랜스 1차임피던스가 5k옴이니까 16옴탭에 8옴 스피커를 물리면 1차가 2.5k옴이 되어 딱 알맞습니다.UX245 소리도 그대로 가져 가려고 겸용으로 만들었습니다. 초단은 각각 전용회로를 만들고 출력부는 공유합니다.45-2A3간 절환은 토글스위치를 사용해서 간편히 절환할수있게 만들었습니다.2A3를 드라이브할 진공관은 C3g(삼결..
-
REN904-UX245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3. 18. 16:35
얼마전에 15분할감이 5k 싱글출력트랜스를 입수했습니다. 국내업체 제품으로 15분할감이 트랜스 소리가 궁금하여 구입했습니다. 앰프는 트루소닉 206 전용으로 제작한 UX245 싱글입니다. 최대출력은 1.5W로 UX245는 교류점화이고 초단관은 텔레푼켄 REN904 입니다. REN904의 뮤가 30정도인데 트루소닉이 워낙 음압이 높은지라 이정도로도 충분합니다. 원래 있던 출력트랜스는 룬달트랜스였는데 이 트랜스로 교체하여 들어봤습니다. 한마디로 아주 좋습니다. 기대이상입니다. EI코어는 15분할로 제작하기 어려웠다고 하던데 트랜스장인의 노력이 소리에서 보이는듯 합니다. 노틸러스801에서는 스피커의 낮은 음압으로 인해 한계출력 근처까지 음량을 올려야 합니다. 이러다보니 왜율이 급격히 높아져 소리가 거칠어 집니..
-
제로 바이어스 211 A2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3. 14. 21:07
화려한 불빛이 아름다운 대형출력관 211 싱글앰프를 만들었습니다.예전부터 211/845 싱글앰프는 한번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은 있었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걸림돌은 1000V에 이르는 무시무시하게 높은 전압이었습니다. 위험성이 높아서 이번에 만들기전까지는 아쉽지만 제작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었습니다.그러던중 어느날 장터에 올라온 211용 출력트랜스와 전원트랜스 세트가 눈에 들어왔습니다.한눈에 봐도 몹시 낡아 보였으나 태창전자 제품이라서 출력트랜스라도 건저볼 생각에 바로 구입했습니다.받아보니 3개 모두 114코어를 100mm나 적층해서 만든것이라 너무너무 무거웠습니다.정확한 제원은 알길이 없어 측정할수 있는 값은 측정해서 찾고 나머지 값들은 추정해서 회로를 설계했습니다.그런데 211용 치고는 전원트랜스 전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