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앰프
-
6SF5GT -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5. 3. 19. 15:07
이번에 제작한 앰프는 외관을 독특하게 꾸민 300B 싱글앰프입니다. 진공관을 비롯한 모든 부품을 앰프 내부에 수납하여 외부노출이 없는 방식으로 제작했습니다.앰프샤시는 사방에 통풍구가 뚫려있어 앰프 내부의 열이 쉽게 빠져나갈수있는 구조입니다. 샤시 덕분에 실수로 진공관을 깨뜨릴까 또는 뜨거운 진공관을 만질까 하는 걱정에서 자유롭습니다. 초단&드라이브단은 채널당 6SF5GT 1단으로 구성된 심플한 구조입니다.우수한 선형성과 낮은 출력임피던스로 설계하여 300B를 정확하고 원활하게 구동할수 있습니다. 6SF5GT는 뮤가 100으로 삼극관중에 뮤가 가장 높은 진공관에 속합니다. 쌍삼극관 12AX7과 유사한 특성으로 선형성은 6SF5GT가 조금 더 우수한것 같습니다. 진공관 구성은 출력관 300B(골든보이스), ..
-
REN904 - PX25 싱글 파워앰프 ; 완성판파워앰프 2025. 2. 24. 19:18
PX25 싱글앰프 완성판을 제작하기 앞서 테스트베드에서 초단&드라이브단을 여러가지 버전으로 실험했습니다. Ver.1 - EC8010 Ver.2 - V312+인터스테이지 Ver.3 - 입력트랜스+V312/REN904 그런 일련의 실험중에서 제일 마지막 버전을 기준으로 이번 완성판을 제작했습니다.초단관으로 사용한 REN904은 1930년대에 출시된 유럽 고전관으로 뮤는 30, 내부저항은 12k옴의 방열 3극관입니다. 게인을 조금 더 확보하기 위해서 입력단에 1:2 룬달 입력트랜스를 적용했습니다. PX25는 뮤가 9.5로 직열관으로는 높은 편이라 비교적 구동이 쉬운 진공관입니다. 데이터시트에 표기된 최적부하는 3.2k옴으로 보통 이정도 출력트랜스를 많이 사용하지만 여기에서 조금 의문점이 들었습니다. Ep-I..
-
V312/REN904 - PX25 싱글 파워앰프 ; 입력트랜스 버전파워앰프 2025. 1. 23. 16:03
EC8010을 초단관으로 사용했던 처음 버전은 스피커를 압도하는듯한 강렬함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여기에서 조금더 나아가 부드럽고 나긋한, 하루종일 들어도 부담없는 소리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인터스테이지 트랜스를 사용한 두번째 버전은 고음이 많이 튀고 이를 잡는 과정에서 아쉬운 점이 있었습니다. 대역폭을 가능한 넓게 확보하면서 목표에 도달할수있는 방법을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시도는 앞서의 '초단관-트랜스-출력관' 순서를 '트랜스-초단관-출력관' 순서로 바꿔보는 것입니다. 입력트랜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광대역이고 여전히 2배승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입력트랜스는 룬달 LL1544A이며 1:2 결선하여 2배승압을 수행합니다. 작은 박스에 담아서 상판에 설치했습니다. 회로를 바꾸니 또 다른 소리가 나옵니다..
-
V312 - PX25 싱글 파워앰프 ; 인터스테이지트랜스 버전파워앰프 2025. 1. 15. 15:33
앞서 사용하던 초단관 텔레푼켄 EC8010을 다른 진공관으로 바꿨습니다.또다른 시도를 해보고 싶어서 입니다. 이번에도 초단관은 하나만 사용하려고 합니다.특색있게 인터스테이지 트랜스를 넣기로 하고 초단관으로 마즈다 V312를 골랐습니다.단독으로 PX25를 구동하려면 게인이 부족하지만 인터스테이지 트랜스로 보충하면 됩니다.V312는 증폭율을 비롯해 특성이 REN904와 매우 유사합니다. 유로5핀으로 핀배치도 동일해서 바꿔 사용해도 됩니다.그리드가 탑캡이냐 소켓핀이냐의 차이뿐으로 양쪽다 연결해 두면 마음 가는대로 사용할수 있습니다.서랍속에 고이 모셔둔 탱고 NC-16를 꺼냈습니다. NC-16은 승압비가 1:2로 안성맞춤입니다.그런데 V312과 NC-16의 조합만으로 PX25를 구동하기에는 출력임피던스가 너무 ..
-
EC8010 - PX25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5. 1. 3. 17:46
PX25 싱글앰프는 언제고 꼭 만들어보고 싶었습니다만 귀하신 몸에 하늘같이 높은 가격이 걸림돌이었습니다. 그러다 얼마전 그나마 손이 닿을만한 KR오디오 PX25를 입수했습니다. 아시다시피 KR오디오는 체코에 있는 하이엔드 진공관 제조사입니다. PX25 데이터시트상의 최적부하는 3.2k옴이지만 왜율 개선을 위해 6.5k옴 룬달트랜스를 사용했습니다. 이에따라 최대출력은 조금 줄어들었지만 음질적인 이득을 생각하면 이쪽이 더 적합한 것으로 보입니다. 초단관겸 드라이브관은 텔레푼켄 EC8010 입니다. 높은 Gm, 높은 Mu, 낮은 내부저항을 가진 슈퍼 3극관입니다. PX25의 Mu가 9.5로 높기때문에 EC8010 한알만으로 충분한 드라이브가 가능합니다. 테스트 베드로 애용하는 우드베이스를 또다시 털어내고 만들..
-
WE 271A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11. 21. 21:33
3극관 싱글앰프라고 하면 으레 300B나 2A3 같은 직열3극관을 떠올리기 마련입니다만이번 앰프는 아주 귀한 방열3극관 웨스턴일렉트릭 271A로 제작한 싱글앰프입니다.271A는 히터전압 5V의 방열관으로 1932년에 출시되어 78A, 78B, 82A 앰프 등에 사용되었습니다.2.8W의 작은 출력으로 같은 해 출시된 275A, 300A(1933년), 300B(1938년)에 밀리면서 잊혀져 버리고 말았습니다.방열3극 출력관은 그리 많지 않은데 특히나 고전관 방열3극관은 정말 찾아보기 어렵습니다.고전관의 특징으로 직열관이나 방열관 모두 직선성(Linearity)이 매우 우수하다는 점을 들수 있습니다.적용한 회로는 LSB토템폴에 이은 LSB토템폴 시즌2 입니다.기존의 LSB토템폴에서 초단관과 출력관의 전원을 각..
-
뮤스테이지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9. 30. 12:41
뮤스테이지(Mu-Stage) 회로는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이번에 처음으로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뮤스테이지는 앨런 키멜이 1993년에 글래스오디오(현 오디오익스프레스)에 기고하면서 알려진 회로입니다. 하단 3극관과 상단 5극관의 조합으로 3극관의 뮤를 거의 완전히 게인으로 뽑을수 있습니다. 5극관 캐소드 팔로워로 출력을 뽑기 때문에 출력임피던스가 매우 낮아 300B를 원활히 구동할수 있습니다. 이 앰프에 사용한 진공관은 위 회로에서 V1(3극관)으로 75, V2(5극관)으로 6AG7 입니다.75는 3극관 1개와 다이오드 2개가 한몸체에 들어있는 복합관으로 이 앰프에서는 3극관부만 사용합니다.75의 뮤는 100으로 3극관중에는 12AX7과 더불어 가장 높은 수치로 300B에 충분한 스윙전압을 공급할수 ..
-
WE418A -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9. 4. 18:16
올해초에 제작했던 300B 싱글앰프에 새로운 변화를 줬습니다. 초단부에 high gm 진공관인 웨스턴 일렉트릭 418A를 사용하여 새롭게 제작했습니다. WE418A는 4극관으로 상호컨덕턴스가 매우 높은 슈퍼진공관입니다. 플레이트와 스크린그리드 손실전력은 각각 8.5W, 3W로 소형출력관급입니다. 출력임피던스가 충분히 낮아 버퍼단없이 단독으로도 300B를 원활히 구동할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진공관입니다. WE418A 자체도 흔치 않지만 이 진공관으로 300B를 구동하는 회로는 더욱 흔치 않습니다.구글에서 찾은 일본회로는 너무 적은 전류로 작동시키는것이 이 진공관의 능력을 충분히 뽑지 못하는것 같아 매력이 없었습니다. 심층분석한 끝에 충분한 전류가 흐르는 부분에서 선형성이 좋은 구간을 찾아 내어 회로를..
-
12AX7 - 2A3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8. 22. 19:31
일전에 12AX7 한알로 2A3를 스테레오 구동하는 회로를 실험했었는데, 그때 실험한 회로를 이번에 정식으로 제작했습니다. 12AX7은 뮤가 100인 쌍삼극관으로 각종 오디오에 아주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진공관입니다. 2A3를 원활히 구동하기 위해 12AX7의 높은 출력임피던스를 낮췄으며 선형성(Linearity)을 가능한 최대로 확보할수 있게 회로를 설계했습니다. 2A3는 교류점화했습니다. 험밸런스로 험최소점을 맞추면 정숙한 운용이 가능합니다. 무엇보다 이번 앰프는 샤시를 특색있게 디자인했습니다. 샤시 내부에 부품을 모두 수납하여 깔끔하고 박시한 모습으로 다듬었습니다. 진공관을 반쯤 드러나게 해서 엄연한 진공관앰프임을 보여주고 열기도 쉽게 빠져나가도록 설계했습니다.박스형이라 단조롭게 보이기 쉬운 전면..
-
12AX7-5687-2A3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7. 11. 12:12
2A3 드라이브단에 대한 일련의 실험이 마무리 단계에 왔습니다.드라이브단이 출력관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입니다. 이번에는 새로운 컨셉으로 구성된 드라이브단을 만들었습니다. 12AX7과 5687를 사용하여 드라이브단의 선형성(Linearity)을 가능한 최대로 확보했습니다.앰프외형 및 내부배치는 최종 완성된 디자인을 적용하여 제작합니다.드라이브단과 출력관의 주로 2차고조파에 의한 비선형성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야기를 다시 해보겠습니다.2A3/300B 같은 직열삼극관은 선형성이 상당히 뛰어난 소자이지만 이들 또한 비선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그런데 드라이브단에 2차고조파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출력관의 비선형성과 서로 상쇄되어 왜율이 상당히 낮아집니다.더우기 이런 현상을 적극 활용하면 부궤환없이 왜율 0.1% ..
-
12AX7 - 2A3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6. 25. 12:02
12AX7 한알을 초단관으로 사용한 2A3싱글입니다. 12AX7은 이전에 사용한 75와 정격이 거의 유사한 진공관입니다. 두 진공관의 뮤값은 삼극관으로는 매우 높은 100으로 둘다 동일합니다. 생긴것은 달라도 성격은 같은 셈이죠. 75가 만족스럽길래 12AX7도 들어보고싶어 옆자리에 MT관 9핀소켓을 설치했습니다. 정격이 거의 같으니 기존 75용 부품에서 그대로 배선을 따와 연결 했습니다. 이제 75를 빼고 12AX7을 꽂으면 됩니다. 반대로 12AX7을 빼고 75를 꽂아도 되고요. 12AX7이 훨씬 대중적인 진공관이라 브랜드를 바꿔가며 듣는 맛도 있을것 같습니다. 지금은 텔레푼켄 12AX7로 들어보고 있습니다. 12AX7-2A3 싱글앰프를 정식으로 만들어 봐야겠습니다.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녹음했습..
-
5687-2A3 싱글 파워앰프 - 3파워앰프 2024. 5. 24. 15:10
앞서 만든 5687 드라이브 회로를 조금 더 간결하게 만들고 싶었습니다.물론 전형적인 2단회로였기 때문에 더 이상 손댈곳은 없어서 회로자체를 바꾸기로 했습니다.그래서 이번에 적용한 회로는 캐스코드(Cascode)라는 회로입니다.이 회로는 1939년에 Frederick Vinton Hunt와 Roger Wayne Hickman이 도입했습니다.삼극관 두개를 직렬로 연결한 회로이며 결과적으로 오극관과 유사한 특성을 보입니다.주요특징은 삼극관 한개일때보다 증폭율은 올라가고 삼극관 고유의 밀러효과가 사라지는데 있습니다.완성후 들어보니 시원시원한 소리입니다. 재즈, 팝, 가요에 조금 더 장점이 있는것 같습니다.이 앰프에 3가지 드라이브회로를 적용해봤습니다.앰프의 음색은 회로가 주는 영향이 절대적이라는 사실을 다시 ..
-
밸런스입력 6B4G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4. 29. 15:20
음압 100dB가 넘는 빈티지스피커는 험노이즈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직열삼극관앰프를 통해 고음압 빈티지스피커로도 조용히 음악을 들어보고자 밸런스입력 푸쉬풀앰프를 제작했습니다. 이번에 제작한 앰프는 직열관 6B4G을 사용한 푸쉬풀앰프입니다.6B4G는 2A3의 파생관으로 옥탈베이스인것과 필라멘트전압이 6.3V인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특성은 2A3와 동일합니다. 이 앰프에 사용한 6B4G는 켄라드에서 제조한 먹관으로 듀얼 모노럴 구조가 특징입니다. 풀밸런스 구성으로 제작했습니다. 알텍 15356A로 입력신호를 받아서 위상반전하고 다음단인 초단관 6SL7로 넘깁니다. 밸런스입력만 받는다면 입력트랜스는 굳이 필요없습니다만 입력트랜스를 사용하면 언밸런스입력을 받기에도 용이하고 무엇보다 트랜스가 만들어주는 소리를 고..
-
75 - 2A3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4. 25. 15:02
앞서 C3g를 삼결하여 2A3를 드라이브했습니다만 기왕이면 삼극관으로 들어보고 싶었습니다.하지만 뮤가 높은 삼극관은 MT관이 아니면 거의 없는게 현실입니다.그러나 다행히 뮤가 100인 75를 가지고 있었습니다.75는 삼극관 1개와 다이오드 2개가 한몸체에 들어있는 복합관입니다.수신기에서 검파와 AVC를 담당하던 진공관입니다.히터전압과 핀베이스가 다른 동등관으로 2A6, 6B6G가 있습니다.이런저런 실험으로 지금 출력트랜스는 다시 룬달입니다.C3g에서 75로 바꾸고 들어보니 조금 더 마음에 와닿는 소리입니다.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녹음했습니다. 스피커는 노틸러스801 입니다. ================================= 이번에는 모노 플레이트 2A3 입니다.75관으로 드라이브하는 소리가..
-
6C6-6C6-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4. 15. 12:31
기존 300B 싱글앰프를 아래 사항에 중점을 두어 리뉴얼했습니다. - 우드베이스였던 샤시를 노이즈 차단에 조금 더 유리한 금속제 샤시로 변경했습니다. - 약간 언밸런스한 모습의 초단관과 드라이브관은 6C6으로 통일하여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 웨스턴 91형 회로인 초단의 시정수를 최적화하여 조금 더 생동감있는 소리로 튜닝했습니다. 초단과 드라이브단에 사용한 6C6은 널리 사용되는 6J7와 동등관입니다. 핀베이스와 탑캡사이즈만 다르고 전기적 정격은 동일한 진공관입니다. 6C6/6J7 모두 고가의 웨스턴 310A/348A를 대체하여 300B 싱글앰프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6C6/6J7 과 웨스턴 310A/348A의 핀베이스&탑캡 관계가 매우 유사합니다. 6C6 (6핀, 라지탑캡) = ..
-
C3g - 2A3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4. 8. 09:48
지난번에 15분할감이 5k 싱글출력트랜스를 사용한 UX245 싱글앰프를 소개했었습니다.트루소닉 206에는 충분한 출력이었으나 아무래도 노틸러스801을 울리기에는 부족합니다.동일한 음량을 만들려면 한계출력에 다달아 왜율이 급격히 높아지고 소리가 거칠어 집니다. 그래서 필라멘트전압이 동일한 2A3를 사용해서 출력을 높이기로 했습니다. 사용할 출력관은 RCA 스프링탑 2A3입니다.출력트랜스 1차임피던스가 5k옴이니까 16옴탭에 8옴 스피커를 물리면 1차가 2.5k옴이 되어 딱 알맞습니다.UX245 소리도 그대로 가져 가려고 겸용으로 만들었습니다. 초단은 각각 전용회로를 만들고 출력부는 공유합니다.45-2A3간 절환은 토글스위치를 사용해서 간편히 절환할수있게 만들었습니다.2A3를 드라이브할 진공관은 C3g(삼결..
-
REN904-UX245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3. 18. 16:35
얼마전에 15분할감이 5k 싱글출력트랜스를 입수했습니다. 국내업체 제품으로 15분할감이 트랜스 소리가 궁금하여 구입했습니다. 앰프는 트루소닉 206 전용으로 제작한 UX245 싱글입니다. 최대출력은 1.5W로 UX245는 교류점화이고 초단관은 텔레푼켄 REN904 입니다. REN904의 뮤가 30정도인데 트루소닉이 워낙 음압이 높은지라 이정도로도 충분합니다. 원래 있던 출력트랜스는 룬달트랜스였는데 이 트랜스로 교체하여 들어봤습니다. 한마디로 아주 좋습니다. 기대이상입니다. EI코어는 15분할로 제작하기 어려웠다고 하던데 트랜스장인의 노력이 소리에서 보이는듯 합니다. 노틸러스801에서는 스피커의 낮은 음압으로 인해 한계출력 근처까지 음량을 올려야 합니다. 이러다보니 왜율이 급격히 높아져 소리가 거칠어 집니..
-
제로 바이어스 211 A2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3. 14. 21:07
화려한 불빛이 아름다운 대형출력관 211 싱글앰프를 만들었습니다.예전부터 211/845 싱글앰프는 한번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은 있었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걸림돌은 1000V에 이르는 무시무시하게 높은 전압이었습니다. 위험성이 높아서 이번에 만들기전까지는 아쉽지만 제작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었습니다.그러던중 어느날 장터에 올라온 211용 출력트랜스와 전원트랜스 세트가 눈에 들어왔습니다.한눈에 봐도 몹시 낡아 보였으나 태창전자 제품이라서 출력트랜스라도 건저볼 생각에 바로 구입했습니다.받아보니 3개 모두 114코어를 100mm나 적층해서 만든것이라 너무너무 무거웠습니다.정확한 제원은 알길이 없어 측정할수 있는 값은 측정해서 찾고 나머지 값들은 추정해서 회로를 설계했습니다.그런데 211용 치고는 전원트랜스 전압이..
-
5687-2A3 싱글 파워앰프 - 2파워앰프 2024. 1. 31. 15:12
2단증폭 싱글앰프를 만들때 1단과 2단에 쌍삼극관을 사용하면 진공관 숫자를 줄여 심플한 외관이 가능합니다.이런 형태로 가장 많이 알려진 회로가 선오디오회로입니다.선오디오회로는 6SN7을 사용했는데, 이대로 만들면 너무 이득이 크다는 문제가 있습니다.볼륨을 조금만 올려도 소리가 너무 커져 사용이 불편하고, 이득이 크니 전원잡음도 덩달아 크게 들립니다. 이 회로는 차라리 넉넉한 이득을 이용해 NFB를 걸어주는것이 더 합리적으로 보입니다.그래서 쌍삼극관을 이용하면서도 적절한 이득으로 출력관을 구동하는 회로를 구상하게 되었습니다.쌍삼극관으로 직열삼극관을 구동하려면 내부저항이 낮은 진공관을 선택해야 합니다.대표적으로 앞서 언급한 6SN7이 있고 이 관의 미니어처 타입으로 6CG7 등 많은 진공관이 있습니다.이 앰..
-
91B회로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4. 1. 25. 10:24
기존에 제작했던 앰프의 증폭부를 모두 털어내고 완전히 다른 앰프로 만들었습니다. 초단은 5극관 6C6를 사용한 웨스턴 91B형 회로입니다. 물론 원전회로 처럼 5극관을 2단 사용하는것은 아니고 1단만 사용하는 간이형 91B회로입니다. 하지만 흔한 1단 간이형 91B회로와 결정적인 차이는 바로 뒷단에 임피던스 버퍼가 있다는것입니다. 임피던스 버퍼는 높은 임피던스를 낮은 임피던스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5극관의 출력임피던스는 수백k옴으로 매우 높아 300B를 원활히 드라이브할수 없습니다. 특히 고음부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가파른 롤오프가 발생하여 고음부가 빠르게 죽어버립니다. 이런 현상을 막기위해서는 임피던스 버퍼가 꼭 필요합니다. 초단관 6C6는 6J7G와 전기적 정격이 동일한 동등관입니다. 6C6..
-
5687-2A3 싱글 파워앰프 - 1 (아이키도 캐스케이드)파워앰프 2024. 1. 14. 19:40
재미있는 회로를 발견했습니다.존브로스키가 설계한 "아이키도 캐스케이드" 6SN7 2단증폭회로입니다.일반적인 2단증폭이 아니고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들어간 회로입니다.그의 천재적인 아이디어가 번뜩이는것 같습니다.잡음제거효과를 확인해 보려고 시뮬레이션을 돌렸습니다. 잡음원으로 20kHz를 전원전압에 실었고 신호원은 1kHz입니다.1단 플레이트에서 뽑은 출력파형(초록색)은 1kHz 기본파형에 20kHz의 작은 파형이 얹혀있는것을 볼수 있습니다.그러나 2단 플레이트에서 뽑은 출력파형(빨간색)은 깨끗한 1kHz 파형뿐입니다. 잡음이 지워졌습니다!!!역시 존브로스키입니다. 노이즈 캔슬링이 훌륭하게 작동합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교묘하고 치밀하게 설계한 결과물입니다.하지만 좋은것만 있을순 없겠죠. 반대급부가 있습니다...
-
6DN7 미니앰프파워앰프 2023. 12. 2. 16:36
6DN7 미니앰프를 만들었습니다. 예전에 만들었던 6EM7 미니앰프와 성격이 거의 같다고 할수 있는데 이번에는 진공관, 출력트랜스, 샤시를 달리해서 만들어봤습니다. 6DN7은 한 몸체에 아래와 같이 서로 다른 정격의 3극관이 2개 들어있는 이종쌍삼극관입니다. - 뮤(mu) : 1=22.5, 2=15.4 - 플레이트 저항 : 1=9kohm, 2=2kohm - 플레이트 손실 : 1=1W, 2=10W 본래 TV수상기의 수직편향회로에 사용되었던 진공관으로 이 진공관만으로도 2~3W 출력을 낼수 있고, 더 큰 출력관의 초단/드라이브단으로 활용도 좋습니다. 출력트랜스로는 알텍 매칭트랜스 T516-71를 사용했습니다. 알텍 PA방송용 스피커의 부속품으로 사용되는 트랜스입니다. 전에 잠시 테스트삼아 단관앰프를 만들어 ..
-
KT88 파라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11. 15. 18:01
KT88 파라싱글 앰프입니다.채널당 KT88 2개를 병렬 연결한 파라싱글 앰프입니다.KT88 1개를 사용한 싱글앰프는 많지만 파라싱글은 흔치 않은것 같습니다.외형상으론 푸쉬풀앰프와 구별하기 어려운 모습입니다. 이 앰프를 만들게된 계기는 우연히 구한 출력트랜스에 있습니다.어느날 운좋게 하몬드 1628SE 출력트랜스가 손에 들어왔습니다.1628SE는 현재 판매되는 1628SEA의 구버전으로 하몬드답게 114코어의 무겁고 우람한 덩치입니다. 출력트랜스에 울트라리니어(UL)탭이 있어서 UL/삼극관 선택스위치를 두었습니다.한데 최대출력도 차이가 크지않고(UL=12W, 삼결=10W) 소리도 비슷해서 공들여 만들긴 했지만 이 선택스위치는 그리 큰 의미가 없는것 같습니다. 그렇긴해도 삼결쪽이 아주아주 약간이나마 더 ..
-
6BL7 파라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10. 26. 12:12
방열 삼극관으로 싱글앰프를 만들어보려고 진공관을 찾아보니 막상 많지가 않습니다. 오극출력관을 삼결하면 되긴 하지만 삼극관으로만 찾으니 그렇습니다. 그나마 5998, 6AS7, 6C33 등 몇가지 있지만 뭔가 다른 것을 찾으려다보니 손에 잡힌것은 6BL7이었습니다. 6BL7은 TV수상기의 수직편향 회로에 사용되던 것으로 이번에 출력관으로 사용했습니다. 내부에 있는 진공관 2개를 병렬로 연결한 6BL7을 다시 두개 병렬로 연결했습니다. 그러니까 삼극관 4개가 병렬로 연결된 파라 싱글앰프입니다. 초단&드라이브단은 50 앰프에 만들었던것을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6BL7은 직선성이 그리 좋지 않아서 Ep-Ip 곡선이 오른쪽으로 갈수록 빨리 누워버립니다. 이런 진공관들은 풀스윙에 가까워질수록 상하 파형중 한쪽의 신..
-
300B 싱글 모노블럭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9. 11. 18:12
하몬드 출력트랜스 1630SEA를 사용한 300B 싱글앰프입니다.300B 싱글용으로 많이 알려졌고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계시는 114코어의 무겁고 커다란 출력트랜스입니다. 덩치만큼이나 저역이 훌륭한 트랜스인데 여기에 방점을 찍어서 확실한 저역을 보장해줄 드라이브단을 설계했습니다. 드라이브단 진공관은 2A3의 파생관인 실바니아 6A5G입니다. 옥탈핀 & 방열히터인 차이점만 빼고 모양과 정격은 2A3와 동일한 관입니다. 이 진공관의 낮은 출력임피던스를 이용하면 300B를 확실하게 드라이브할수 있습니다.그러나 출력관을 너무 강하게 드라이브하면 자칫 소리가 뻣뻣해질 우려가 있습니다. 300B의 고유한 울림을 잘 지켜줄 균형잡힌 설계가 필요합니다. 내부 부품은 FT & 문로르프 커패시터와 키와메 저항등 고급..
-
WE713A를 사용한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7. 12. 18:19
이번 300B 싱글앰프는 독특한 외관의 진공관을 사용해 봤습니다. 바로 웨스턴일렉트릭 713A인데요, 납작한 모양의 5극관입니다. 이 진공관은 2차세계대전 당시 레이다의 저잡음 프런트 엔드 증폭관으로 사용되었으며 웨스턴일렉트릭에서 설계하고 여러 메이커에서 대량 생산되었습니다. 이번 앰프에 사용된 것은 텅솔제조관입니다. 713A는 Doorknob라는 별명이 붙어있는데 말 그대로 조그만 문손잡이 처럼 생겼습니다. 레이더를 소형화하기 위해 이런 모양으로 개발된것 같습니다. 동일관으로는 717A가 있고 베이스쉴드 유무의 차이뿐 서로 바꿔 꽂아 사용해도 됩니다. 이 713A를 3결하여 초단관으로 사용했습니다. 3결 특성곡선이 깔끔하게 나오는것을 보고 3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5결로 단독 사용시 스윙전압 출력은 충..
-
텔레푼켄 RS241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6. 16. 17:25
몇달전 텔레푼켄 RS241을 한조 구했습니다. 유럽관으로 앰프를 만들어볼 생각에 일단 구해놨는데 알고보니 제법 유명한 관이더군요. 뮤가 17로 높아서 초단관은 마침 가지고있던 텔레푼켄 REN904를 사용했습니다. REN904의 뮤가 조금 낮기는 하지만 부족한 게인은 프리앰프에서 밀어주면 됩니다. 드라이브관은 STC 5A/152M입니다. 정류관은 댐퍼관 6DW4로 히터 가열시간이 아주 길어 전원투입시 B전압이 서서히 올라와 출력관을 보호해 줍니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유럽 직열 정류관을 써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50 싱글앰프를 만들었던 샤시와 트랜스를 이용해 RS241 싱글앰프로 새로 만들었습니다. 앰프 중앙의 텔레푼켄 로고는 전류계 설치했던 자리가 뻥뚫려있어 가릴려고 올려놓은겁니다.ㅎㅎ 일단 들어보고 ..
-
6A5G(방열형2A3)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6. 4. 14:58
이번에 재미있는 앰프를 만들어봤습니다. 6A5G라는 3극 출력관을 사용했는데 어지간한 진공관 매니아가 아니라면 생소할겁니다. 6A5G는 2A3의 파생형 진공관으로 규격은 2A3과 동일한데 옥탈핀에 히터가 직열형이 아닌 방열형이고 전압은 6.3V입니다. 일반적인 방열관과는 달리 히터의 중점이 관내부에서 케소드와 연결되어 있는 특이한 형태입니다. 이번에 사용한것은 실바니아 나뭇잎로고인데 메이커 불문 많이 생산되지 않은 레어아이템입니다. 왠지 이 진공관은 싱글앰프 보다 푸쉬풀이 더 잘 어울릴것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회로 설계하다가 여기에 6L6계열 진공관도 사용하게 만들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히터전압도 동일하고 핀배치도 스크린그리드 유무만 빼고는 동일합니다. 그래서 두가지를 겸용으로 사용할수있..
-
WE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3. 5. 10. 06:39
52년산 300B를 한조 잘 모셔놓고 있었는데 어떻게 하면 제대로 소리를 뽑을수 있을까 고민해왔습니다.이 아름다운 300B는 두개중 하나가 안타깝게도 에미션이 약했습니다.일반적인 회로에서는 열전자가 충분히 방출되지 않아 제대로 증폭되지 않았습니다.그러나 낮은 전압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습니다. 단지 뽑을수 있는 출력이 줄어들 뿐입니다.다행히도 300B는 공급전압의 높고 낮음에 구애받지 않고 좋은 소리를 만들어 주는 진공관입니다.이러한 핸디캡을 극복할수 있는 특별한 회로를 설계해서 적용했습니다. 짝지워 주고픈 부품들을 하나둘씩 차곡차곡 마련해놓고 있던중 최근에 결정적인 부품을 구하게 되었습니다.바로 타무라 출력트랜스중 최상위 제품인 퍼몰로이 코어 F-7002 입니다.출력트랜스는 진공관앰프에서 가장 중요한 ..
-
6L6G 3결 A2 싱글 파워앰프 ;리뉴얼파워앰프 2023. 4. 25. 16:10
6L6G 5결 싱글 파워앰프는 이미 4년전 만들어 놨다가 요즘 되돌아볼 계기가 생겼습니다. 최근에 정호윤님이 6V6 3결 A2 싱글앰프를 공제했는데 3결 최대출력이 1~2W에 불과한 6V6을 A2로 구동하여 무려 4.5W를 만들었더군요. 여기서 A2 구동이란 +바이어스 영역까지 증폭에 활용하는것을 말합니다. 그리드가 +바이어스 영역에 들어가면 그리드에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런 상태가 가능하도록 회로를 만들어줘야 합니다. +바이어스 영역을 주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진공관으로 송신관이 있습니다. 관심이 급땡겨서 6L6앰프 증폭단을 완전 해체하고 3결 A2 싱글앰프로 다시 만들었습니다. 6L6은 6V6 보다 정격이 큰 진공관이지만 공표된 3결 출력은 6V6과 거의 같은 1.4W입니다. 6V6의 3결 특성곡선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