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2B 반킬프리 리뉴얼프리앰프 2018. 5. 13. 16:57
DHT사운드에서 반킬프리 2차 공제할때 신청해서 이제서야 완성했습니다.지금껏 사용했던 반킬프리는 알미늄 상판만 있는 구조라서 노이즈에 취약했습니다.이제는 철판으로 제작된 샤시를 써서 노이즈 대책을 세우려던 참이었습니다. 기본세트로 신청해서 부품을 받고보니 알찬 구성에 놀랐습니다.개인이 부품을 따로따로 구입해서 만든다면 이 금액으로는 이런 수준으로 제작이 불가능한, 가성비 최고의 제품입니다.샤시는 철판에 동도금한후 도장을 한것으로 신경을 많이 쓴것이 보여 아주 마음에 들었고전원트랜스는 몰딩케이스 안에 니켈판을 두장 겹쳐서 방사노이즈에 만전을 기해놨습니다. 262B가 노이즈에 매우 취약해서 실드케이스를 씌워도 노이즈가 들어왔는데 이제 괜찮네요.노이즈 문제 때문에 310A로 변경해야만 했었는데 다시 262B로..
-
타무라 트랜스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8. 4. 24. 19:37
우연한 기회에 300B 싱글앰프를 만들수 있는 타무라 트랜스를 세트로 구하게 되었습니다.출력트랜스 F-2007, 전원트랜스 PC-3004, 초크코일 A-4004 입니다. 출력트랜스 F-2007은 삼극관 전용으로 제작된 타무라의 최상급 라인입니다.선오디오에 들어간 보급형 트랜스와는 질적으로 많이 다릅니다.고급 트랜스를 한번에 세트로 구하게 되어 무척 기뻤습니다. 300B 싱글앰프의 회로를 어떻게 구성할까 즐거운 고민하다가 이번에는 전통적인 회로로 가자고 맘을 먹었습니다.회로 컨셉을 구상하면서 완전 직결방식이 좋지만 전원부가 복잡해지니까 패스하고 대신 커플링캡 만큼은 배제하기로 합니다.그래서 내린 결론은 초단-드라이브단은 직결, 드라이브단-출력단은 인터스테이지 트랜스 방식입니다. 전통적인 회로를 채택했지만 ..
-
네오하브 50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7. 10. 12. 22:47
꼭 한번 만들어 봐야겠다고 마음 먹었던 20W 대출력 싱글앰프입니다.네오하브 회로 덕분에 송신관으로나 가능했던 싱글 20W가 완성되었습니다. 이번에 사용한 출력트랜스는 네오하브용 대전류 타입이 아니라서 대신 전압을 높여서 대출력을 뽑았습니다.높은 전압구동에 적합한 출력관을 찾다가 마침 딱 알맞게도 아름다운 50벌룬관을 구했습니다.50관중에서도 귀하다는 박스플레이트 벌룬관입니다. 초단관은 웨스턴일렉트릭 437A의 영국버전 STC 3A/167M입니다. STC는 웨스턴일렉트릭의 영국지사입니다.핀구성만 다를뿐 WE437A와 완전 동등관입니다. 내부저항이 매우 낮고 Gm은 아주 높은 지존급 슈퍼 삼극관입니다. 3A/167M을 플레이트초크 부하로 구동하여 50으로 신호를 전달합니다.3A/167M 역시 네오하브 회로..
-
네오하브 회로에 대하여회로와 부품 2017. 10. 12. 18:39
아래 글은 제가 2016년 11월 15일에 네이버카페 빈티지마을에 올린 글입니다.(카페에 올렸던 원글은 카페의 갑작스런 변경으로 삭제하였고 지금은 '빈티지 오디오와 카메라'라는 카페에 옮겨놨습니다 https://cafe.naver.com/auca/640 )네오하브라는 독특한 회로에 대한 소개글입니다. 이 글에서 제가 작명한 네오하브라는 명칭을 영광스럽게도 회로개발자께서 채택하여 주셨습니다. 한글로는 '네오하브', 영문으로는 'Neohyb'입니다. =============================== 하이브리드(네오하브) 까발리기 제목이 쬐께 거시기 하네요~ ㅎㅎ 솥뚜껑, 솥티 등등으로 빈마에서 유명해진 하이브리드입니다.이런 획기적인 회로가 탄생했다는건 우리에게 축복입니다.더군다나 공개까지 되어 자작인..
-
새롭게 해석한 91B 300B 싱글앰프파워앰프 2017. 8. 26. 23:19
최근에 제작한 직결 91B형 싱글앰프 소리가 맘에 들었지만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올랐습니다.새로 만들까? 아니면 있는걸 개조할까? 고민하다가 아깝지만 이 앰프를 개조하기로 했습니다. 히타치 매트 글라스 아몰퍼스 코어로 제작한 출력트랜스와 전원부는 지난번 앰프의 것을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자작인들이 많이 만드는 간이형 91B는 NFB를 걸지 않는것이 보통입니다.사실 NFB를 걸기에는 전압증폭단이 310A 1단뿐이므로 이득이 충분하지 않기도 합니다. 그러나 91B 원전앰프의 전압증폭단은 310A 두개로 2단 증폭합니다.2단 증폭하면 이득이 엄청나게 높습니다. 하지만 NFB를 걸기 때문에 결국 최종 이득은 낮아집니다.물론 이득이 낮아졌다고 해도 현대적 감각으론 여전히 매우 높기 때문에 어떻게 하든 입력을 낮춰야..
-
직결방식 91B형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7. 7. 22. 13:51
작년에 제작했던 '새로운 91B형 300B 싱글앰프' 회로를 업그레이드하여 새로이 제작했습니다. 당시에 그 앰프를 제작하면서 다음의 두가지 사실을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첫째는 310A 1단만으로도 300B에 충분한 스윙전압을 공급할수 있다. 둘째는 임피던스 버퍼를 두면 대역 손실없이 충실한 재생이 가능하다. 이번에는 소리를 더 업그레이드 해보려고 출력단 커플링캡을 제거하고 직결하였습니다. 보다 더 질감있는 소리를 기대하면서 과연 소리가 어떻게 바뀔지 아주 궁금했습니다. 출력트랜스는 히타치 매트글라스 아몰퍼스 코어로 제작된 제품을 사용했습니다. 회로를 업그레이드한 만큼 더 향상된 소리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코어를 직접보니 매우 얇고 경도가 높아 금속같은 느낌이 들지 않을 정도더군요. 일반 코어에 비해 철손..
-
네오하브 팰콘275 파워앰프파워앰프 2017. 7. 15. 22:41
빈티지마을에서 네오하브 전용 출력트랜스를 공제할때 신청해서 받아두고 서랍장속에서 숙성(?)만 시키고 있다가 이제서야 세상밖으로 소개합니다.출력트랜스 1차 임피던스가 600옴인 만큼 전류를 여유있게 흘려줘서 최대출력 12W를 뽑아냈습니다.사실 15W를 목표로 했다가 샤시 크기가 넉넉치 않아 조금 줄였습니다. 팰콘275회로에 네오하브를 접목한 네오하브 팰콘275입니다.그동안 여러대를 이렇게 개조했습니다만 출력트랜스의 전류량이 부족하고 샤시 방열능력 부족으로 출력을 맘껏 올리지 못했습니다.이번에는 본격적인 네오하브앰프입니다. 전압증폭단은 지난번 개조하고 남은 메인기판을 이용해서 완성했습니다. 팰콘회로는 전압증폭부가 커런트피드백으로 구성되어 매우 낮은 왜율과 매우 낮은 출력임피던스를 자랑합니다.전압증폭부에서 출..
-
KT88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17. 5. 27. 11:40
5년전 300B PP 제작 이후 오랫만에 만든 KT88 PP 파워앰프입니다. 싱글앰프를 좋아해서 주로 싱글앰프만 만들다가 이번에 모처럼 만들었습니다. 싱글앰프의 소리를 푸쉬풀앰프에 넣어 본다는 컨셉으로 제작했습니다. 초단 및 드라이브 진공관은 실바니아 6EM7 복합관을 사용했습니다. 6EM7은 뮤 68, 5.4의 3극관 두개가 들어간 복합관입니다. 초단과 드라이브단간은 커플링없이 직결하였습니다. 초단/드라이브단을 싱글구동하고 인터스테이지 트랜스를 넣어 위상반전합니다. 이 덕분에 3차고조파 보다 2차고조파가 더 많은 싱글앰프같은 PP앰프가 되었습니다. 인터스테이지 트랜스는 꼼방 막님표입니다. 출력트랜스는 롯데 파워앰프 LA225VT용 출력트랜스를 사용했습니다. KT88은 3극관접속하였고 NFB는 적용하지 ..
-
ALL 직열관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7. 5. 1. 20:24
이번 300B 싱글앰프에 적용한 회로는 꽤 오래전에 입수한 것입니다. 원전회로는 천재 모리슨이 설계한 것인데 최근 들어서야 회로를 이해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회로의 가장 큰 특징은 내부의 모든 단이 커플링 없이 직결된 DC앰프라는 것입니다. 진공관 구성은 전에 제작했던 올트랜스결합 앰프와 동일한 418A(T)-45-300B 입니다. 원전회로의 골격은 그대로 유지하였고 시정수만 적용 진공관에 맞춰 재설계 했습니다. 초단 진공관은 4극관인 웨스턴 418A를 3극관 접속하였습니다. 이해하기 어려웠던 초단 회로는 어디에서도 보기 힘든 상당히 특이한 회로입니다. 드라이브단 진공관은 직열3극관 45이며 초크코일을 부하로 구동됩니다. 초단과 드라이브단은 음(-)전압을 공급하여 300B에 직결함과 동시에 바이어스 ..
-
A2293 싱글 미니앰프파워앰프 2017. 3. 18. 23:22
풀커런트 피드백 A2293 싱글 미니앰프입니다. 작년에 구해놓은 풀레인지 스피커에 짝 지워줄 앰프입니다. 작은 스피커에 어울리는 작은 앰프를 만들려고 했습니다. 샤시는 예전에 해체해 놓은 것이 딱 알맞아 재활용했습니다. 미니앰프의 기본적인 회로는 팰콘앰프와 거의 동일합니다. 5687-12AY7-5687 로 이어지는 전압증폭단은 거의 동일합니다. 팰콘앰프는 전압증폭단까지만 커런트 피드백하지만 이 앰프는 전체회로를 커런트 피드백합니다. 그밖의 특징으로는 전압증폭단의 바이어스는 LED를 사용하였고 출력단 바이어스는 고정바이어스입니다. ----------------------------- 여기서 잠깐 풀 커런트 피드백 앰프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면... 일반적인 NFB앰프는 통상 볼티지 피드백 회로입니다. 볼티..
-
WE310A 네오하브 프리앰프프리앰프 2017. 1. 31. 23:05
다다사운드에서 나온 프리앰프용 아몰퍼스 출력트랜스를 구해둔것이 있었습니다. 처음 계획은 유리디체형으로 구성하는것이었는데 막상 구해놓은 출력트랜스는 1차 임피던스가 30k옴이고 전류는 10mA 이다보니 짝 맞출 진공관이 조금 애매하더군요. 유리디체에 들어가는 417A나 437A는 전류량이 커서 감당할수 없고... 내부저항이 적당한 관은 뮤가 너무 낮으면서 흘리는 전류량도 적고, 게다가 특징도 별로 없는것 같고... 어떻게 해야 멋진 짝이 만들어질까 고민하다가 결국 310A를 3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310A를 3결하면 흐르는 전류도 적은데다 600옴 출력시 프리앰프 이득이 너무 낮습니다. 그러나 네오하브로 만들면 임피던스를 대폭 낮출수있어 조금이라도 이득을 살릴수 있고 전류도 충분히 흘릴수 있습니다..
-
6J5G-1626-IT-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7. 1. 9. 21:00
2017년 첫작품입니다.오랫만에 제작한 300B 싱글 파워앰프입니다. 300B 앰프를 만드는것은 언제나 즐겁습니다. 출력 1~2와트 싱글앰프를 만들다보니 새삼 300B의 출력이 꽤 큰것임을 깨닫게 됩니다. 300B 싱글로 8와트 출력이 나왔으니 그 시절 대출력앰프였습니다. 새로운 방식으로 300B 싱글앰프를 설계했습니다. 전단은 2단증폭하지만 커플링 커패시터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초단과 드라이버단은 직결하고 인터스테이지 트랜스로 300B를 드라이브합니다. 트랜스결합이 만들어내는 독특함을 살리도록 제작했습니다. 초단 진공관은 6J5G입니다. 쌍삼극관 6SN7의 반쪽이 들어있습니다. 그중 가장 유명한 영국 STC 제품입니다. 드라이버단 진공관은 RCA 1626입니다. 달링앰프로 많이 알려진 소형 출력관입니..
-
네오하브 팰콘275 탄생 - 팰콘275 파워앰프 개조파워앰프 2016. 11. 24. 19:46
205D 네오하브 앰프의 위력을 체감하고나니까 왠지 팰콘275가 작아보였습니다.어찌해야할지 고민하던중 문득 275A를 네오하브로 만들면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앰프의 앞단은 커런트 피드백으로 특성이 매우 좋기 때문에 앞단은 그대로 사용합니다. 최종 출력단을 네오하브로 개조했습니다. 개조하는 김에 저음역을 보강하기 위해 출력트랜스도 덩치가 큰 쏘터트랜스로 바꿨습니다. 네오하브에는 저임피던스 출력트랜스가 어울리므로 쏘터트랜스를 3.5k옴:16옴인것을 1.75k옴:8옴으로 사용합니다. 공급전압도 올려서 최대출력을 기존 1.5W에서 5W로 3.3배 증가시켰습니다. 275A의 전류는 대폭 줄이고 전압은 조금 높여서 플레이트 소모전력은 5W에 불과합니다.(기존은 12W) 이로써 275A의 사용수명도 대폭..
-
LCR 포노EQ 앰프포노앰프 2016. 8. 22. 20:16
과거에는 LP가 가장 대중적인 미디어였습니다. 젊은 시절을 LP를 들으며 행복하게 보냈지요.CD 출현후 잠깐동안 LP와 CD를 같이 들었으나 곧 턴테이블과 LP를 처분합니다.지금은 CDP 마저 처분하고 음원과 DAC만 사용하고 있습니다.LP를 마지막으로 들은지가 20여년 전입니다.그러던 어느날 문득 이제 LP를 다시 듣고 싶다는 생각이 났습니다.카트리지는 예전에는 MM만 써봐서 이번엔 MC를 선택합니다. 대중적인 데논 DL-103R.턴테이블은 진선의 막내급 아이리스4 MK2를 주문합니다.포노이큐는 처음부터 NFB방식은 배제하고 RC 또는 LCR로 만들어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핵심회로인 LCR회로는 구입한 코일용량(1.9H, 45mH)에 맞는 RIAA회로를 사용했습니다.전체 회로구성은 초단 D3a에서 가능..
-
262B 반킬 프리앰프프리앰프 2016. 8. 14. 11:21
기존에 사용하던 417A PP 프리를 개조해서 싱글 프리로 만들었습니다. 회로는 빈티지마을에서 공개한 올킬/반킬프리 회로입니다. 쌍삼극관을 버퍼로 사용하는데 회로의 핵심이 버퍼단에 있습니다. 쌍삼극관의 한쪽은 캐소드팔로워라서 신호가 흐르고 다른 한쪽은 적분회로의 캐소드팔로워라서 DC정보만 가져옵니다. 두 지점에서 출력을 가져오게 되면 전류를 흘리지 않는 600옴:600옴 입력트랜스를 출력트랜스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배율이 없는 손실을 최소화한 트랜스를 사용할수 있으니 그만큼 소리의 질이 좋아질수밖에 없습니다. 천재 모리슨이 설계한 회로입니다. 발상의 전환이란 이런것이라고 알려주는듯 합니다. 하나씩 뜯어보면 다 아는것인데 이렇게 조합하니 완전히 새롭고 획기적인 회로가 되는군요. 종이 한장의 차이를 뛰어넘느..
-
WE205D 네오하브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6. 5. 23. 20:21
진공관과 반도체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앰프를 제작했습니다. 기존 하이브리와 전혀 다른 개념의 네오하이브리드 앰프입니다. 줄여서 네오하브(Neohyb)입니다. 진공관은 웨스턴일렉트릭 205D입니다. 동그란 모양때문에 이런 종류의 진공관을 테니스볼이라고 부르더군요. 까마득한 오디오 태동기 시절인 1910년대에 만들어진 진공관입니다. 전극의 형태도 원시적인 모습 그대로입니다. 205D는 1W 남짓의 소출력 진공관입니다. 풀가동이라도 하려면 수명이 얼마나 남았는지 걱정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기술이 접목되면서 이야기가 달라졌습니다. 출력은 MOSFET의 도움을 받아 단숨에 다섯배인 5W로 증가합니다. 진공관은 1/3 정도만 구동하여 수명을 늘리고 출력의 대부분은 MOSFET가 담당합니다. 205D는 단지..
-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5파워앰프 2016. 4. 30. 19:11
오랫만에 제작한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 다섯번째 작품입니다.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좋은 소리로 보답해 드릴겁니다. 완성사진 올립니다. 특성 측정 결과입니다. 최대출력 : 2W @ 1kHz, 8ohm, THD 6.77%이득 : 17.5dB (7.4배) 잔류잡음 : 0.55mV (무보정)1W : 20Hz~20kHz @ -0.14 ~ -1.45dB, 8ohm 출력트랜스는 신형 홍콩할배트랜스입니다.76코어 사이즈대응의 더블 C커트코어입니다. 구형 EI코어에 비해 저역 레인지가 확장된것을 볼수 있습니다.반면 고음역은 약간 감소되었습니다. ================================================== 2017.1.21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앰프가 네오팰콘으로 변신했습니다. 출력트..
-
3A/167M 파라피드 트랜스 프리앰프프리앰프 2016. 3. 12. 06:52
몇년간 잘 사용했던 직열관 26을 사용한 싱글프리를 방열관 3A/167M으로 교체했습니다.소리의 변화를 주고 싶어서 아까워서 오랫동안 서랍 깊숙히 보관만하던 진공관을 꺼내들었습니다. STC 3A/167M 은 저 유명한 WE 437A와 완전 동등관으로 핀구성만 다를뿐입니다.WE 437A는 마그노발이고 STC 3A/167M은 록탈입니다.WE 437A는 유리디체 프리앰프가 인기를 끈 이후 몸값이 너무 올라 범접하기 어려워졌습니다.하긴 STC 3A/167M만해도 만만치 않긴 합니다. 참고로 STC는 웨스턴일렉트릭(WE)의 영국지사입니다. 3A/167M은 상호컨덕턴스가 47mA/V인 슈퍼진공관으로 내부저항이 무척 낮으므로SBCCS의 뮤출력이 아닌 플레이트에서 직접 출력을 뽑았습니다.플레이트전류는 최대 45mA까지..
-
새로운 91B형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6. 1. 16. 16:56
자작인들에게 91B형 300B 싱글앰프라고 하면 원전 91B와 달리 2단 증폭이 아닌 1단 증폭 구성입니다. 그도 그럴것이 증폭율만 보아도 2단 구성은 너무 높아서 사용이 불편하고 1단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런 간이형 91B 300B 싱글을 사용하다보면 아무래도 고음 감소가 아쉬운것이 사실입니다. 초단에 사용한 5극관 고유의 특성때문인데 진공관 내부저항이 매우 높아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직접 91B 앰프 소리를 들어본적은 없지만 감상해본 분의 청음기에는 고음이 부족하다는 소리는 없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원전회로는 고음부와 저음부의 감쇠를 보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요즘은 300B 같은 직열관에는 NFB를 걸지 않는것이 상식처럼 되어 있지만 원전 회로는 NFB를 사용합니다. 300B 플레이..
-
ALL 트랜스결합 300B 싱글 파워앰프 - 새로운 탄생파워앰프 2015. 11. 8. 12:04
앰프를 새롭게 다시 만들다시피 했습니다. 목표는 2가지 입니다. 1. 초저음역을 확보할것 2. 잔류잡음을 낮출것 어떤 조치를 취하는것이 적절할지 판단하기 위해 기존 상태에서 출력트랜스를 제외한 각단 트랜스의 감쇠량을 측정했습니다. 1kHz 대비 20Hz일때 감쇠량은 입력 : 인터스테이지1 : 인터스테이지2 = -0.8dB : -1.3dB : -1.6dB 정도였습니다. 결국 어느 한곳만 손대본다고 해결될이 아니란것이 자명해졌습니다. 전체적으로 손봐야합니다. 인터스테이지에서 감쇠량이 많은 이유는 전류를 많이 흘리기 때문입니다. 작은 전류로 가볍게 구동하는것 보다는 대전류로 저임피던스 구동을 선호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일단 초저음역대를 보강하기위한 회로를 적용하고 시뮬레이션 해보았습니다...
-
ALL 트랜스결합 300B 싱글 파워앰프 - 절반의 성공파워앰프 2015. 11. 1. 15:22
모든 증폭단에 저항과 커패시터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트랜스만 사용한 앰프입니다. 이런 구성으로 만들면 어떤 소리가 날까 궁금했습니다. 트랜스는 오래전부터 하나씩 마련해두었던 것인데 이번에 몰아서 전부 투입했습니다. 회로는 심플합니다. WE418A(3결) - 45 - 300B 구성에 모든 단은 고정바이어스입니다. 초단은 배터리 바이어스, 드라이브단과 출력단은 정호윤님 CCS 바이어스입니다. 트랜스를 소개하면 입력트랜스는 신정환님께 받은 유니다 TpAs-202G, 초단 & 드라이버단 인터스테이지는 꼼방 막님표 바이파일러 할배트랜스, 출력트랜스는 태창전자 TWX-90 입니다. 모든 트랜스는 한국산입니다. 인터스테이지와 출력트랜스는 더이상 구할수없는 것이되어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WE418A는 본래 4극관인것..
-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4파워앰프 2015. 8. 30. 07:37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 네번째 작품입니다.다 만들고 첫 소리를 들을때가 가장 설레이는것 같습니다.이번 작품도 어김없이 주말작업의 노고를 좋은 소리로 보답해 주었습니다. 제작내용은 지난번 작품과 동일하여 사진위주로 올립니다. 특성 측정 결과입니다. 최대출력 : 2W @ 1kHz, 8ohm, THD 6.14%이득 : 14.4dB (5.2배) 잔류잡음 : 0.5mV (무보정)1W : 20Hz~20kHz @ -1.77 ~ -0.83dB, 8ohm =========================================== 2016. 11. 27 팰콘앰프를 네오팰콘으로 개조했습니다. 제가 얼마전에 올린 네오팰콘 개조글을 보시고 작년에 제작해드린 팰콘275 하드와어링 앰프를 네오하브로 개조 의뢰하셨습니다.개..
-
6SN7-6BX7-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5. 6. 27. 17:27
올해는 연초부터 제작의뢰가 들어와서 여기에 집중하다보니 반년이란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제 자신만의 앰프를 만들수 있었습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파워앰프도 역시 제가 좋아하는 300B 싱글입니다. 초단과 드라이브단의 회로를 특별하게 만들어보았습니다. 각단은 두개의 진공관이 한개처럼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초단, 드라이브단 합계 4개의 진공관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각단마다 쌍삼극관을 사용해서 외관상으로는 두개의 진공관이 사용된것처럼 보입니다. 통상 플레이트팔로워 회로에는 케소드에 바이패스 커패시터를 붙입니다. 이 커패시터의 근본적인 목적은 케소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것에 있습니다. 바이패스 커패시터가 없으면 입력전압에 따라 케소드 전압이 출렁거려서 증폭율이 저하되게 됩니다. 이 바이패스 커패시터는 소리에..
-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3파워앰프 2015. 5. 24. 18:04
이번 팰콘275 두대중 남은 한대의 제작을 마쳤습니다.먼저 완성한 앰프는 의뢰하신분께 어제 전달했습니다. 주말에만 제작을 하다보니 상당한 강행군이었습니다.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사진위주로 올립니다. 특성 측정 결과입니다. 최대출력 : 2W @ 1kHz, 8ohm, THD 4.06%이득 : 16dB (6.2배) 잔류잡음 : 0.6mV (무보정)1W : 20Hz~20kHz @ -0.77 ~ -1.44dB, 8ohm ========================================= 2016. 12. 25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앰프가 네오하브로 변신했습니다. 네오하브 열풍이 대단합니다. 출력트랜스까지 교체해서 완벽한 네오팰콘으로 변신했습니다. 출력트랜스는 홍콩할배표 실버트랜스입니다. 114코어 ..
-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2파워앰프 2015. 5. 17. 18:15
의뢰받은 2대중 1대를 완성했습니다. 이번에는 275A 전용입니다.청음해보면 팰콘앰프는 275A로 충분함을 알수 있습니다.불과 2W지만 대출력앰프가 부럽지 않습니다. 출력트랜스는 76코어 홍콩할배트랜스입니다.76코어 역시 와이드레인지의 풍성한 소리를 들려줍니다. 96코어와 차이는 저역쪽에 있지만 들어보면 96코어가 생각나지 않는 넉넉한 저역입니다. 지난번과 구성과 부품이 거의 동일하여 사진위주로 올립니다.남은 1대도 열심히 만들어야 합니다. 특성 측정 결과입니다. 최대출력 : 2W @ 1kHz, 8ohm, THD 4.3%이득 : 15.7dB (6.1배) 잔류잡음 : 0.5mV (무보정)1W : 20Hz~20kHz @ -2.02 ~ -1.30dB, 8ohm
-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1파워앰프 2015. 3. 16. 19:51
작년에 빈티지마을에서 공제했던 팰콘275 앰프의 하드와이어링 버전입니다.언젠가 PCB가 아닌 부품 하나하나를 직접 배선한 팰콘앰프를 만들어봐야겠다고 생각했었습니다.힘들기는 했지만 즐거운 작업이었습니다. 증폭회로는 원전회로를 그대로 적용했습니다.전원부는 원전과 다르게 커패시터와 쵸크코일로 구성된 일반적인 파이형 필터입니다. 275A 뿐만 아니라 300A도 사용할수 있게 전원을 특별히 구성했습니다.300A는 워낙 조심히 다뤄야할 진공관이라서 욕심부리지 않고 공급전압을 많이 낮춰서 출력을 조금만 뽑도록했습니다.최대출력 275A는 2W, 300A는 4W 입니다. 원래 PCB로 제작되었던 앰프인만큼 하드와이어링으로 제작하기엔 꽤나 복잡합니다.합리적인 배선이 가능하도록 부품 배치에 많은 공을 들였습니다. 내부부품들..
-
6FQ7-12HL7-6A3(6B4G) CCS 파라피드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12. 22. 17:39
요즘 바쁘다보니 새로 만들 생각은 못하고 기존앰프를 지지고 볶고 있습니다. 이번엔 6FQ7-12HL7-300B 커런트 피드백 앰프의 출력단을 6A3으로 바꿨습니다. 더욱 탄력있는 음을 만들기 위해 출력관 부하를 CCS로 하는 파라피드로 새롭게 구성했습니다. 6A3은 고정바이어스로 작동시키고 출력트랜스는 5k:16 PP용을 2.5k:8로 사용했습니다. 전류를 흘리지 않기 때문에 PP용이지만 싱글에도 사용할수 있습니다.굳이 PP트랜스인 이유는 에어갭이 없으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트랜스를 사용하여 최대의 성능을 뽑아내기 위해서입니다. 반도체소자로 CCS를 구성할때 큰 걸림돌이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입니다. 지금까지는 앰프상판을 이용하여 방열했지만 앰프 전체가 너무 뜨거워져서 사용하기 불편했습..
-
6FQ7-12HL7-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11. 2. 18:32
812A 싱글 해체후 300B 싱글로 개조하여 커런트 피드백 회로를 실험하고 볼티지 피드백 회로로 만들었다가 드라이브단만 커런트 피드백을 적용하고 출력단은 피드백에서 제외하여 직열 3극관의 맛을 살린 앰프로 최종정리하였습니다. 기본 회로가 팰콘275와 거의 동일하므로 자칭 '변종 팰콘300B' 라고 불러봅니다. 팰콘275는 출력관과 드라이버간을 직결했습니다만 변종 팰콘300B는 커플링 커패시터로 연결합니다. 따라서 B전원이 3개가 아닌 1개로만 간결한 구성이 가능합니다. 간이 팰콘이라고 봐도 되지만 그러나 초단~드라이버단이 완전 직결인것이 차이점입니다. 직전에 구성한 볼티지 피드백도 괜찮은 소리였으나 그것 보다는 커런트 피드백에 대한 미련이 더 남아있어 다시 만들어 보았습니다. 커런트 피드백 답게 볼티지..
-
볼티지 피드백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10. 19. 18:01
지난번 커런트 피드백 시도는 너무 단단한 저음만을 추구하다가 균형을 조금 잃어버린것 같습니다.3극 직열관의 상큼하고 생생한 느낌에 풍성하고 단단한 저음을 더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이번에는 볼티지 피드백입니다.지난번 커런트 피드백과 다른 점은 피드백 위치가 출력트랜스 지점으로 바뀐것입니다.나머지 회로의 구조는 동일합니다. 사실 이 회로를 먼저 구성하고 제작 진행중이었는데 도중에 커런트 피드백으로 바꿨던것이었습니다.많은 분들이 300B 같은 직열 3극관에는 NFB를 금기시하고 있고 저 또한 그동안 NON-NFB로 제작하였습니다만팰콘앰프의 성능을 보고는 이제 아이디어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자유롭게 구상을 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전단회로는 300B 싱글앰프 제작례에서 흔히 볼수있는 선오디오 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