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로와 부품
-
6L6은 영원히회로와 부품 2025. 3. 28. 16:08
6L6은 영원히 1936-96, 60년간의 역사By Eric Barbour, 1996 진공관에 대한 관심을 두고 비난을 고집하는 기술자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경우, 간단한 대답이 있습니다. 간단한 질문만으로도 그들을 침묵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30년에도 초기형 집적회로(IC)가 여전히 제조되어 신제품에 사용될 것인지 물어보세요. 그들이 정직하다면 답은 "아니오"일 것입니다. 그런 다음 최초의 빔 출력관이 오늘날에도 수백만 개씩 팔리고 있으며, 60년이 지난 지금도 쓸모없어질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하세요. 그러면 그들은 사라질 것입니다. 1996년 3월 현재, 강력한 6L6는 60주년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러시아와 중국에서 제조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타 앰프에 있어서 그 인기는 앞으..
-
직열관 교류점화 이야기회로와 부품 2025. 1. 30. 16:21
300B나 2A3같은 직열관 싱글앰프를 사용하다보면 교류점화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환상을 가지게 됩니다.저 또한 그런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동경심을 가지고 있기도 했습니다.오늘은 그 교류점화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가장 관심가는것은 과연 교류점화 소리가 직류점화 소리보다 좋은가인데 동일한 앰프로 비교해본적이 없어서인지 이건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싱글앰프를 교류점화, 직류점화 모두 가능하게 만들어서 번갈아 들어보면 그 차이를 알수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굳이 그런 앰프를 만들 일은 없을것 같습니다.직류점화와 교류점화의 차이를 귀로는 잘 구분할수는 없어도 눈으로는 볼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아래 사진과 같이 스펙트럼을 찍어보면 됩니다. 왼쪽은 직류점화이고 오른쪽은 교류점화입니다.직류점화(정..
-
WE300B 와 그 관련 제품의 역사회로와 부품 2025. 1. 25. 18:14
WE300B 와 그 관련 제품의 역사 By Eric Barbour, 1995 정전압 전원장치와 하이엔드앰프는 서로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두가지 모두 증폭기(앰프)입니다. 전자는 DC용이고 후자는 AC용이며, 동일한 출력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그들이 좋아하는 low-mu 3극관이 30년 전 미국 정부의 일반적인 산업 부품일 뿐이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도 그들을 짜증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당시 NASA 전자 엔지니어에게 300B가 무슨 용도인지 물어보면 그는 즉시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그것은 정전압회로 오차제거관입니다. 이것이 지금은 많은 숭배를 받는 300B가 1960년대에 쓰인 매우 일반적인 용도였습니다. 그것은 비정상적으로 긴 수명을 위해 선택되었..
-
반킬회로의 해석오류를 바로잡으며회로와 부품 2024. 11. 23. 18:37
인터넷 검색중 우연히 어느분의 블로그에서 반킬회로를 이상하게 해석하는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몇년전 글입니다만.....위의 공개된 회로를 아래와 같이 조금 다른 방식으로 그렸는데 이를 푸쉬풀(PP)출력으로 잘못 해석하고 있습니다. 언듯보면 멀라드 위상반전회로와 비슷해 보이지만 두 회로는 완전히 다른 동작을 합니다. 유사해 보이는 부분은 상단진공관에서 DC전압을 가져오는 저항과 커패시터입니다. 이는 로우패스필터입니다. 시정수가 거의 '0'Hz에 가까워서 DC전압만 가져옵니다. 당연히 두 회로에서 같은 역할을 합니다. 멀라드회로의 위상반전단은 차동증폭회로 입니다. 케소드저항을 공통으로 사용하며 케소드저항은 정전류와 유사하게 작동합니다. 로우패스회로의 역할은 상하단 진공관을 거의 같은 동작점으로 유지하는것입니다..
-
간단히 만들어 쓰는 뮤팔로워회로와 부품 2024. 11. 23. 18:32
3단자 전류 레귤레이터를 이용한 아주 간단한 뮤팔로워 회로입니다. CCS(정전류)에 사용되는 3단자 전류 레귤레이터는 IXYS사의 IXCP10M45S(450V)/IXCP10M90S(900V) 가 있습니다. 한때 미국의 금수품이었다가 해제된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쉽게 CCS를 만들수 있죠. 그런데 국내외에 공개된 많은 회로를 봐도 사용례가 전혀 없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글에서 소개할 뮤팔로워입니다. 왜 안쓰는지는 잘 모르겠구요. 이 레귤레이터의 등가회로입니다. 아시다시피 이 레귤레이터의 핵심은 MOSFET입니다. 이 등가회로의 K단자에서 출력을 뽑으면 소스팔로워, 즉 뮤팔로워임을 알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동일한 회로에서 출력을 플레이트(일반적인 방법)에서 뽑을때와..
-
LSB Totempol SE회로와 부품 2024. 11. 20. 21:01
요즘 구상하고 있는 LSB토템폴 시즌2 입니다. 참고로 LSB토템폴은 제가 만든 회로에 정호윤사장님께서 이름을 지어주신겁니다. 예전에 회로를 소개한적이 있습니다. https://hifimuse.tistory.com/177앰프도 만들었었죠. https://hifimuse.tistory.com/117기존의 LSB토템폴은 출력관 U2의 바이어스 전류를 그대로 받아줄수 있는 초단관 U1이 현실적으로 거의 없다는게 문제였습니다. 물론 정호윤사장님이 제시한 추가 정전류원을 두는 방법도 좋기는 한데 너무 몽키회로에 가까워집니다.그래서 조금 다르게 생각해 봤습니다. 전원도 상하로 나눠서 쌓아 올리면 어떨까? 회로도의 V2, V3가 그것입니다. U2의 바이어스전압은 U1이 만들어내는 플레이트전압입니다. 따라서 V2는 전..
-
LSB Totempol - 색다른 싱글 회로 이야기회로와 부품 2024. 11. 20. 20:54
오늘은 색다르고 흔치 않은 싱글 회로 얘기입니다.예전 빈마시절에 몽키회로를 한번 선보인적이 있습니다.그동안 이 회로를 계속 다듬고 있었는데요.몽키의 진화과정을 한번 보시죠.아래 회로가 잘 알려진 몽키회로 원형입니다.초단관의 부하로 초크코일을 사용했죠.초크코일과 그 위치가 핵심 포인트입니다.초크코일의 저항성분은 동시에 출력관의 바이어스 전압을 만들어 줍니다.(저항성분이 부족하면 저항을 직렬로 덧대야 합니다.)굳이 저항대신 초크코일을 사용한 이유가 궁금하실텐데요.바이어스 전압 정도의 낮은 전압에서도 초단관이 제대로 증폭해야 하기 때문입니다.출력관에는 초단에서 들어오는 전류와 케소드 저항으로 들어오는 합산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저는 이렇게 동일 소자가 단과 단 사이를 구분없이 서로 유기적으로 얽힌 회로를 좋아..
-
뮤스테이지(5극관 캐소드팔로워)의 노이즈감소 효과회로와 부품 2024. 10. 9. 14:24
얼마전 뮤스테이지(Mu-Stage)로 드라이브하는 300B 싱글앰프를 만들어 보고 알게된 내용을 별도 글로 남깁니다. 이 글에서는 뮤스테이지 회로내의 5극관 캐소드팔로워에 주목하려고 합니다. 뮤스테이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뮤스테이지는 앨런 키멜이 1993년에 글래스오디오(현 오디오익스프레스)에 기고하면서 알려진 회로입니다. 하단 3극관과 상단 5극관의 조합으로 3극관의 뮤를 거의 완전히 게인으로 뽑을수 있습니다. 언듯 복잡해 보이는 회로지만 이를 보기 쉽게 재배치하면 아래와 같은 구조임을 알수 있습니다. 골격은 3극관 증폭후 5극관 캐소드팔로워로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2단으로 나뉘어진 일반적인 회로와 달리 3극관 플레이트 저항을 5극관 캐소드에 연결한것(빨간색 점선)이 결정적인 차이를 가져옵니다. ..
-
45 : 딱 적당한 출력회로와 부품 2024. 7. 31. 18:04
45 : 딱 적당한 출력 By Eric Barbour, 2000, Vacuum Tube Valley Issue 12소개 뉴욕 엘마이라에 있는 Westinghouse Electric and Manufacturing Company의 진공관 연구실에서 E.D. Wilson의 엔지니어링 팀은 1928년 6월에 UX245를 만들었습니다. 일반적인 라디오 플레이트 전원에서 UX112A 또는 UX171A보다 더 많은 전력을 출력하고 UX210 또는 UX250의 높은 플레이트 전압이 없는 3극관이 분명히 필요했습니다. 후자의 진공관를 SE 모드에서 사용하려면 필라멘트 공급을 심하게 필터링해야 했습니다. 7.5V 전압 요구 사항이 출력에서 험을 증가시켰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필라멘트 전압을 사용하는 직열..
-
2A3 : 하이파이의 어머니회로와 부품 2024. 7. 24. 17:40
2A3 : 하이파이의 어머니 By Eric Barbour, 1999, Vacuum Tube Valley Issue 15 1930년대 라디오 엔지니어들은 300V 전원을 사용하는 기존 3극관으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전력 출력을 갖춘 오디오 증폭기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이 전압 제한은 대략적으로 사용 가능한 라디오 세트용 전원트랜스와 전해 콘덴서의 가격에 따라 설정되었습니다. 이미 인기 있는 45형 진공관은 이 구성에 비해 너무 작았으며 스피커 내부에서 깨끗한 10와트 출력을 생성하려면 4~6개의 45 진공관이 필요했습니다. 그리고 타입 50 진공관은 출력 트랜스포머에 더 높은 전압 공급과 더 높은 1차 임피던스가 필요했습니다. 이는 더 많은 비용을 의미합니다. 타입 10 진공관은 가격은 적당하지..
-
진공관 6DN7을 아시나요?회로와 부품 2023. 12. 23. 11:38
진공관 6DN7 이야기입니다. 6DN7은 서로 다른 정격의 3극관 2개가 들어있는 이종쌍삼극관입니다. 본래 TV수상기의 수직편향관 용도로 제조된 진공관입니다. 최근에 이 진공관을 출력관의 초단/드라이브단으로도 사용해 보고 단관앰프으로도 만들어 봤습니다. 그런데 이와중에 6DN7에는 2가지 버전이 있다는 묘한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일단 6DN7의 데이터시트를 보면 조금 이상한(?)것이 보입니다. 신호단 Unit-1의 Typical Operation으로 명시된 플레이트 전압 및 전류가 250V, 8mA 입니다. 그렇다면 소모전력이 2W인데 데이터시트에 표기된 정격의 2배입니다. 이건 아마도 수직편향회로의 어떤 특징(예를들면 펄스운용)에 기인한것으로 추측합니다. 문제는 파워단으로 사용되는 Section-2..
-
네오하브 회로에 대하여회로와 부품 2017. 10. 12. 18:39
아래 글은 제가 2016년 11월 15일에 네이버카페 빈티지마을에 올린 글입니다.(카페에 올렸던 원글은 카페의 갑작스런 변경으로 삭제하였고 지금은 '빈티지 오디오와 카메라'라는 카페에 옮겨놨습니다 https://cafe.naver.com/auca/640 )네오하브라는 독특한 회로에 대한 소개글입니다. 이 글에서 제가 작명한 네오하브라는 명칭을 영광스럽게도 회로개발자께서 채택하여 주셨습니다. 한글로는 '네오하브', 영문으로는 'Neohyb'입니다. =============================== 하이브리드(네오하브) 까발리기 제목이 쬐께 거시기 하네요~ ㅎㅎ 솥뚜껑, 솥티 등등으로 빈마에서 유명해진 하이브리드입니다.이런 획기적인 회로가 탄생했다는건 우리에게 축복입니다.더군다나 공개까지 되어 자작인..
-
홍콩할배 트랜스 테스트회로와 부품 2014. 3. 31. 22:02
요즘 네이버 동호회 빈티지마을이 275A 싱글파워 제작을 위한 두가지 공제건으로 뜨겁습니다.홍콩에 주문한 이른바 '홍콩할배 트랜스'와 PCB 기판을 포함한 케이스 공제건 때문입니다. 저는 두가지 모두 공제신청을 해서 몇일전 트랜스를 먼저 받았습니다.운영자님이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한 트랜스라 그 소리가 몹시 궁금했습니다. 사용중이던 6B4G 파라피드 싱글파워를 D3a-300B 싱글파워로 복원하여 소리를 들어봤습니다.트랜스 하부에 단자대가 부착되어 바닥을 띄워야해서 브라켓을 가공하고 설치하느라 애 좀 먹었습니다.앰프 상판을 방열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트랜스 단자대를 위한 큰구멍을 뚫을수 없었습니다.트랜스는 WE형 케이스에 몰딩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단자대 처리도 깔끔하여 만족스럽습니다.DC전류는 60mA를..
-
진공관 회로에 대한 단상들회로와 부품 2010. 12. 12. 11:40
직열관 필라멘트 회로예전에 300B 싱글을 만들때 필라멘트에 DC5V를 공급하고 제작완료후 전압 체크할때 51옴 양쪽전압이 다르게 나오길래 험밸런스용으로 고정저항 51옴을 2개 붙이고 중점에 케소드저항을 연결하였습니다. "왜 그러지?" 갸우뚱??? 하고 넘어갔었는데 MJ 기사를 보니 설명이 나와있더군요. 물론 저는 일어는 모르기에 그림만 봤습니다.^^ 도면으로 표현하면 이렇습니다.빨간색이 플레이트전류, 파란색이 필라멘트전류입니다.(MJ기사에는 전류가 "+" → "-" 로 흐르는것으로 표기했는데 저는 전자의 실제 흐름으로 재구성했습니다.) 300B 캐소드에서 출발한 전자가 플레이트로 갈때 필라멘트의"-" 쪽에서 나오는것이 이유였습니다.이때 필라멘트"+" 쪽 51옴 저항에는 플레이트전류와 저항전류가 합쳐 ..
-
그라운드루프에 대한 이해와 방지대책회로와 부품 2010. 9. 18. 13:54
그라운드루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여기에서 그라운드루프란 무엇이고, 어떤 원리로 잡음이 나는지 이해하고, 그 방지대책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합니다. 아래 그림은 인터넷에서 퍼온 자료를 발췌&편집한것입니다. 계측제어분야에서 센서케이블에 그라운드루프가 형성되어 잡음이 생기는 원리를 설명한 그림입니다. 신호를 다루는 기기라서 오디오와 본질적으로 동일합니다. 먼저 상단의 그림을 해설하면 주변에 강력한 잡음원이 있습니다. 변압기라든가 전동기 등이 해당되겠죠. 이에 따라 센서케이블에는 이 잡음원에 의해 유도된 신호(잡음)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유도신호 e1(속심)과 e2(쉴드)는 같은 전압과 위상이라 상쇄되어 원신호(Vsensor)만 남습니다. 하단의 그림에서는 왼쪽의 센서에 그라운드가 추가되어(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