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노앰프
-
LCR 포노EQ 앰프 III - 일신코일포노앰프 2024. 12. 23. 10:47
트랜스전문업체 일신전기에서 생산한 LCR포노용 코일을 사용하여 LCR 포노EQ 앰프를 제작했습니다.일신코일은 코어가 노출되어 외관이 노구치코일과 유사하며 인덕턴스는 1.8H, 45mH 입니다. LCR부의 부품은 음질과 경제성을 고려해 선정했습니다.L) 코일은 일신코일C) 커패시터는 얀센 크로스캡R) 저항은 타크망 카본필름저항그외 신호부 부품은 커패시터는 EPCOS(지멘스), 저항은 암트랜스 카본필름저항 LCR 포노EQ앰프의 기본 제작컨셉입니다.- 커브는 RIAA 커브를 적용- EQ부는 LCR(코일, 커패시터, 저항)로 구성- 신호부 구성은 증폭부-LCR-증폭부- 진공관의 임피던스 버퍼로 FET를 사용- 신호부와 전원부를 한개의 샤시에 수납- 노이즈에 민감한 LCR부는 금속케이스로 차폐하여 전원트랜스로부터..
-
LCR 포노EQ 앰프 II - 룬달코일포노앰프 2022. 6. 30. 09:58
룬달 LL4610을 사용한 LCR 포노EQ 앰프입니다.얼마전 제작했던 LCR 포노EQ와 제작컨셉이 완전히 동일합니다. 포노EQ앰프의 기본 제작컨셉입니다.- 커브는 RIAA 커브를 적용- EQ부는 LCR(코일, 커패시터, 저항)로 구성- 신호부 구성은 증폭부-LCR-증폭부- 진공관의 임피던스 버퍼로 FET를 사용- 신호부와 전원부를 한개의 샤시에 수납- LCR부는 금속케이스로 차폐하여 전원트랜스로부터 유도되는 험을 최소화 1호기 성능이 만족스럽게 나와서 동일하게 2호기를 제작했습니다.이번에는 노구치코일 아닌 룬달코일을 사용했는데 저역코일값이 노구치는 1.9H, 룬달은 1.8H 로 살짝 다릅니다.여기에 맞춰 관련 커패시터, 저항의 시정수를 약간 조정했습니다.입력쪽 커패시턴스 로드는 큰 의미가 없어 이번에는 ..
-
LCR 포노EQ 앰프 I - 노구치코일포노앰프 2022. 4. 9. 23:03
아주 오랫만에 LCR 포노EQ 앰프를 만들었습니다.예전에 LCR 포노EQ 앰프를 제작했었는데 벌써 몇년이 흘렀습니다.당시에 처음에는 노구치 코일 FEQH, FEQL을 적용했다가 나중에 상위기종 FMQH, FMQL으로 업그레이드 했었습니다.업그레이드후 떼어내 보관해왔던 FEQH, FEQL을 이번에 만든 LCR 포노EQ 앰프에 사용했습니다.그때 만든 LCR 포노EQ 앰프는 지금도 제곁에서 열심히 음악을 들려주고 있습니다. 노구치는 폐업해서 이제 더이상 시장에 없는줄 알았는데 인수한 회사가 있었는지 일본에서 판매하고 있긴 합니다.다만 페라이트코어 FEQH, FEQL는 현재 재고가 없고 고급형 파인매트코어 FMQH, FMQL은 주문생산만 한다고 합니다.페라이트코어 FEQH, FEQL도 꽤 좋은 소리여서 이것으로..
-
Heathkit 프리앰프 WA-2P를 포노 EQ앰프 전용으로 개조포노앰프 2020. 11. 19. 21:37
어쩌다보니 충동적으로 구입한 Heathkit WA-2P 프리앰프입니다. RIAA 커브 외에 커브를 몇가지 더 조정할수 있어 다양한 EQ커브 셋팅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처음 계획은 라인 증폭단은 바이패스해 버리고 포노EQ만 건져서 포노 EQ앰프 전용으로 개조하는것이었습니다. 하지만 포노부만 건지기에는 출력임피던스가 너무 높았습니다. 게다가 게인도 조금 부족했구요. 개조하려 들여다보니 전해 커패시터 처럼 완전히 열화되어 기능을 하지 못하는 부품부터 시작해서 제멋대로 값이 틀어진 저항에 이르기까지 다종다양한 함정들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커플링캡은 원래값으로는 정상적인 커브를 얻을수 없어서 과감히 용량을 높여 해결하기도 했구요. 근본적인 EQ회로 골격은 그대로 유지하고 일부 열화된 부품들은 교체했습니다...
-
LCR 포노EQ 앰프포노앰프 2016. 8. 22. 20:16
과거에는 LP가 가장 대중적인 미디어였습니다. 젊은 시절을 LP를 들으며 행복하게 보냈지요.CD 출현후 잠깐동안 LP와 CD를 같이 들었으나 곧 턴테이블과 LP를 처분합니다.지금은 CDP 마저 처분하고 음원과 DAC만 사용하고 있습니다.LP를 마지막으로 들은지가 20여년 전입니다.그러던 어느날 문득 이제 LP를 다시 듣고 싶다는 생각이 났습니다.카트리지는 예전에는 MM만 써봐서 이번엔 MC를 선택합니다. 대중적인 데논 DL-103R.턴테이블은 진선의 막내급 아이리스4 MK2를 주문합니다.포노이큐는 처음부터 NFB방식은 배제하고 RC 또는 LCR로 만들어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핵심회로인 LCR회로는 구입한 코일용량(1.9H, 45mH)에 맞는 RIAA회로를 사용했습니다.전체 회로구성은 초단 D3a에서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