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선오디오회로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2. 4. 30. 10:43
오래전부터 가지고 있던 출력트랜스가 있었습니다. 300B용 3.5k옴 출력트랜스인데 예전에는 꽤 인지도가 있던 국산 다다사운드 제품입니다. 하지만 아쉬움이 많았습니다. 몇번이나 사용했었지만 결국은 그때마다 다른 출력트랜스로 교체되고 마는 계륵같은 존재였습니다. 버리자니 아깝고 쓰자니 아쉽고..... 추가) 이 글을 보고 다다사운드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이 트랜스는 제작자가 변경되기 전에 제작된 제품이고 지금은 좋은 스펙으로 만들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유는 그 좋은 중,저음마저 퇴색시켜 버리는 부족한 고음 때문이었습니다. 청량한 고음이 부족하니 오디오적인 쾌감은 고사하고 들을수록 답답해지기만 했습니다. 해서 어떻게 하면 이 출력트랜스를 제대로 쓸수 있을까 고민해봤습니다. 없는것을 만든다기 보다는 부족한..
-
LCR 포노EQ 앰프 I - 노구치코일포노앰프 2022. 4. 9. 23:03
아주 오랫만에 LCR 포노EQ 앰프를 만들었습니다.예전에 LCR 포노EQ 앰프를 제작했었는데 벌써 몇년이 흘렀습니다.당시에 처음에는 노구치 코일 FEQH, FEQL을 적용했다가 나중에 상위기종 FMQH, FMQL으로 업그레이드 했었습니다.업그레이드후 떼어내 보관해왔던 FEQH, FEQL을 이번에 만든 LCR 포노EQ 앰프에 사용했습니다.그때 만든 LCR 포노EQ 앰프는 지금도 제곁에서 열심히 음악을 들려주고 있습니다. 노구치는 폐업해서 이제 더이상 시장에 없는줄 알았는데 인수한 회사가 있었는지 일본에서 판매하고 있긴 합니다.다만 페라이트코어 FEQH, FEQL는 현재 재고가 없고 고급형 파인매트코어 FMQH, FMQL은 주문생산만 한다고 합니다.페라이트코어 FEQH, FEQL도 꽤 좋은 소리여서 이것으로..
-
피셔 진공관튜너 FM-200B 오버홀튜너 2022. 2. 26. 22:43
진공관 튜너를 들이고난후 튜너의 즐거움에 푹 빠져있습니다.은은한 불빛의 다이얼창과 노브들이 한데 어울려 연출되는 빈티지한 모습이 매력적입니다.일요일 아침에 나즈막히 울려오는 KBS 1FM의 클래식은 정겹습니다.휴일의 나른함과 넉넉함 속에 여유로운 느낌이 즐겁습니다.지금껏 잊고 있었던 음원의 재발견입니다. 처음에 들인 피셔 KM-60에서 튜너의 편리함과 괜찮은 소리를 발견하고 조금 더 상위 기종을 찾게 되었습니다.내심 매킨토시 튜너를 점찍어 뒀지만 집근처에 피셔 FM-200B이 나왔길래 냉큼 업어왔습니다.피셔에는 3대 진공관 튜너중 하나라고 불리는 FM-1000 이 있는데 FM-200B는 바로 아래급의 튜너입니다.프론트엔드 샤시의 은도금된 검은 얼룩이 고급기임을 알려 주는듯 합니다.FM-200B 또한 명기..
-
FM 스테레오 - MPX 이야기튜너 2022. 2. 16. 21:26
KM-60의 조정을 무사히 잘 마쳤더니 기대 이상으로 좋은 소리가 나와 저를 기쁘게 하고있습니다. 처음에는 수신상태가 엉망이어서 조정법을 하나둘씩 배우다보니 튜너에 대해 깊이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스테레오 튜너의 MPX에 대한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MPX는 Multiplex Decoder를 말하며 FM을 Stereo로 구현해주는 장치입니다. 피셔의 여러 기기에 두루 적용된 WX/MPX-65를 기반으로 진행합니다. FM은 최초에 모노방송으로 출발했다가 이후에 스테레오 기능을 추가하여 스테레오방송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렇다보니 기존의 모노방송과 호환을 위해 스테레오 신호를 만드는 방법이 복잡해 졌습니다. 아래 그림은 FM 스테레오 복합 신호에 대한 개요입니다. 그림과 같이 0~15kHz는 모노를 위한..
-
피셔 진공관 튜너 KM-60튜너 2021. 12. 26. 16:37
피셔 튜너 KM-60를 구해놓고 오버홀하는 재미에 한참 빠져있습니다. 진공관 튜너를 언제든 하나쯤 들여놔야겠다 생각하고 있던 차에 마침 장터에 올라온 튜너는 샴페인골드 전면패널이 꽤나 빈티지하고 근사해 보였습니다. 서브용 소스로 사용할것이라서 제일 저렴한 비인기 제품으로 골랐습니다만 막상 받아 들고 보니 전면 패널만 제외하고 내/외부는 아주 지저분했습니다 ^^; 포장 뜯는것을 보던 마눌님이 벌레 나올것 같다고 질색합니다 ㅠㅜ 막상 전기를 넣어보니 상태 좋다는 판매자의 말이 무색하게 수신상태가 엉망입니다. 삐삐~ 고주파 잡음이 난무하고 치직~치직~대는것이 도대체 어느 구석이 수신이 좋다는 건지... 그저 WD40을 마구 뿌려대서 기름 냄새만 진동하고... 빈티지 특히 키트상품은 폭탄이 될 소지가 크다는것을..
-
RCA 12인치 풀레인지와 평판스피커 2021. 8. 23. 17:44
RCA 12인치 풀레인지 유닛을 구했습니다. 전에 잠시 사용했던 평판은 이제 접으려고 분해해버리고 붙어있던 유닛은 팔아버렸는데 상처 하나없이 깨끗한 유닛을 보고는 그만 또다시 덜컥 구입했습니다. 판매자분이 고음도 잘 난다고 했지만 사실 기대는 크게 안했습니다. 풀레인지 12인치라면 고음은 어렵다고 들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트위터를 어떤것을 붙여줄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평판을 다시 조립해 놓고 유닛이 도착하길 기다리다가 택배 오자마자 바로 붙여 들어봤습니다. 판매자분 말씀이 과연 허언이 아니더군요. 12인치인 만큼 저역은 충분하고 고음도 놀랍도록 너무 잘 나와줍니다. 유닛을 자세히 살펴보면 콘지 형상이 스트레이트가 아니고 익스포넨셜 커브입니다. 이런 형상이 고음 재생에 유리한것 같습니다. 엣지는 픽스드..
-
6EM7 미니앰프파워앰프 2021. 8. 1. 15:42
몇년전부터 출력트랜스 피어리스 15065를 가지고 어떤 앰프를 만들까 고민해왔습니다. 이 트랜스는 피어리스 70V 매칭트랜스중 가장 작지만 와이드 레인지(30Hz~15kHz +-1dB)라서 만만치 않은 실력을 가졌습니다. 매칭트랜스인 만큼 직류전류는 흘릴수 없어서 혹자는 코어를 분해해서 싱글용으로 재조립해서 사용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개조없이 매칭트랜스 그대로 사용하려면 파라피드 방식으로 구동해야 합니다. 이때 출력관 부하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소자로는 초크코일, 저항, CCS가 있는데 이것들중 CCS를 선택했습니다. CCS는 정호윤님 제작 SBCCS를 사용하기로 하고 샤시는 방열판이 있는 미니 샤시를 구했습니다. 그런데 샤시가 너무 작아서 전원트랜스를 둘 공간이 전혀 없는것이 문제였습니다. 그래서 오랫동..
-
EC8010 트랜스 프리앰프프리앰프 2021. 6. 20. 17:52
2년전 대역이 좁은 웨스턴 출력트랜스를 만지작 거리다가 머릿속에 번쩍 떠오른 회로가 있었습니다. 의도대로 작동하는지 실증해 보려고 앰프상판에 임시로 대충 만들었는데 결과가 좋았습니다.(2년전 실험) 언젠가 제대로 만들어 봐야겠다고 생각만 하다가 이제서야 만들게 되었습니다. 예전에 소개했던 회로의 개요입니다. 출력트랜스 2차측 코일 일부를 이용해서 NFB를 걸어줍니다. 아래 회로에서 케소드저항+바이패스캡 대신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신호경로상의 저항과 커패시터를 최소화했습니다. 출력트랜스는 뛰어난 질감과 오일충진 트랜스로 유명한 영국제 파메코 출력트랜스입니다. 2차 코일 구성이 위 회로에 바로 적용이 가능한 트랜스라서 이것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적용 진공관은 높은 뮤와 낮은 내부저항이라는 상반된 특성을 동시에 ..
-
50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1. 3. 29. 22:38
마치 푸쉬풀앰프 처럼 보이는 이 앰프는 푸쉬풀앰프가 아닌 50 싱글앰프입니다. 출력관 50과 정류관 81의 모습이 똑같아서 그렇습니다. 81은 반파정류관이라서 전파정류하려면 2개가 필요합니다. 시작은 바로 이 항아리 정류관 레이시온 81을 구하고나서부터 였습니다. 내부구조물을 기둥 4개가 떠받치고 있어 4필러(또는 박스플레이트)라 불리는 귀한 정류관입니다. 게다가 신품이었습니다. 이것을 구하고나니 똑같은 구조의 레이시온 4필러 50으로 짝을 이룬 앰프를 만들고 싶어졌습니다. 사실 몇년전 더욱 귀한 벌룬관 레이시온 4필러 50을 가지고 있다가 다른 진공관과 교환한 적이 있었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나니 조금 아까운 생각이 들더군요. 아무튼 행운이 겹쳤는지 몇달후 뜻하지 않게 항아리관 레이시온 4필러 50을 ..
-
트루소닉 Trusonic 206 15인치 동축 스피커 만들기스피커 2020. 12. 21. 22:03
트루소닉 Trusonic 206AX/AXA 15인치 동축 스피커를 만들어 가는 과정을 연재 형식으로 올립니다. =======================2020. 11. 27[구입] 엉겁결에 영입한 트루소닉 15인치 동축 206AX/AXA 입니다. 한짝은 AX, 다른 한짝은 AXA입니다. 얼마전 유니버시티 12인치 동축에 이어 오버런하고 있네요. ㅎㅎ 알맹이로만 듣는데도 유니버시티 12인치와는 질감이 비교도 안되게 좋습니다. 앰프 연결하고 30초만에 감동받았습니다. 이넘을 국내에서 구하려다 상태가 너무 맘에 안들어 몇차례 포기했었습니다. 그러다 이베이에서 보고 조금 비쌌지만 바로 구입했습니다. 주문하고 2주만에 받았네요. 그런데 이거 좋아해야 하는건지 뭔지 아리송한 점이 있습니다. 한짝이 이베이에 등록한..
-
Heathkit 프리앰프 WA-2P를 포노 EQ앰프 전용으로 개조포노앰프 2020. 11. 19. 21:37
어쩌다보니 충동적으로 구입한 Heathkit WA-2P 프리앰프입니다. RIAA 커브 외에 커브를 몇가지 더 조정할수 있어 다양한 EQ커브 셋팅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처음 계획은 라인 증폭단은 바이패스해 버리고 포노EQ만 건져서 포노 EQ앰프 전용으로 개조하는것이었습니다. 하지만 포노부만 건지기에는 출력임피던스가 너무 높았습니다. 게다가 게인도 조금 부족했구요. 개조하려 들여다보니 전해 커패시터 처럼 완전히 열화되어 기능을 하지 못하는 부품부터 시작해서 제멋대로 값이 틀어진 저항에 이르기까지 다종다양한 함정들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커플링캡은 원래값으로는 정상적인 커브를 얻을수 없어서 과감히 용량을 높여 해결하기도 했구요. 근본적인 EQ회로 골격은 그대로 유지하고 일부 열화된 부품들은 교체했습니다...
-
ALL 벌룬관 245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20. 8. 30. 17:30
벌룬관 내셔널 유니온 NX-245를 1조 가지고 있다가 오랜 기다림 끝에 운좋게도 1조 더 구할수 있었습니다. 2조가 모였으니 푸쉬풀 앰프를 만들기로 하고 이왕이면 초단관, 정류관을 모두 벌룬관으로 구성하고 싶어졌습니다. 정류관도 벌룬관으로 RCA UX-280 1조를 구하고나니 이제 초단관 선정할 차례입니다. 마침 예전에 프리앰프를 만들려고 구해뒀던 227이 떠올랐습니다. RCA 227이 1조, 필코 227이 1조 있었네요. 모두 메쉬 플레이트입니다. 이 앰프의 진공관은 ALL 벌룬관이면서 ALL 삼극관입니다. 당연히도 NFB를 걸지 않은 Non-NFB 앰프로 제작했습니다. 진공관은 준비가 다 됐는데 출력트랜스를 무엇으로 할지 고민되더군요. 올 벌룬관인 만큼 빈티지스런 트랜스로 찾아봤습니다. Scott ..
-
2A3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20. 8. 2. 16:45
색다른 회로로 제작한 2A3 싱글앰프입니다. 몇년전 제작해본 몽키회로를 나름 발전시켜 더 특별하게 구성했습니다. 단간에 커플링 소자를 쓰지 않은 직결앰프입니다. 추가) 특별히 정호윤님께서 이 회로에 이름을 지어주셨습니다. 회로명은 제 이름의 이니셜을 붙인 "LSB TOTEMPOLE" 입니다.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립니다. 위 회로와 같이 초단관에서 출력관까지 직렬로 구성되있습니다. 가운데 있는 CCS는 초단의 부하이면서 동시에 출력관의 케소드 저항 역할을 합니다. 저는 이렇게 동일 소자가 단과 단 사이를 구분없이 서로 유기적으로 얽힌 회로를 좋아합니다. 회로 처럼 직렬로 구성하면 2A3가 필요로 하는 바이어스 전류 60mA를 초단부터 흘려줘야 하는데 문제는 이렇게 많은 전류를 감당할만한 초단관이 마땅치 ..
-
어게인 팰콘2A3 (모노 플레이트 2A3 싱글)파워앰프 2020. 4. 28. 18:33
팰콘앰프를 몇년만에 다시 만들었습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팰콘앰프는 탁월한 질감과 통상의 싱글앰프에서는 들을수 없는 저역이 큰 특징입니다. 커런트 피드백에 의한 초단-드라이브단 증폭과 플로팅된 출력단으로 구성된 독특한 회로입니다. 여기에 더해 출력단을 네오하브로 구성하면 정말 기가 막히게 아름다운 소리가 나옵니다. 이번에도 하드와이어링으로 제작했습니다. 이번 팰콘앰프는 지금까지와 다르게 정전압으로 전원을 공급합니다. 팰콘앰프는 기본 출력관이 웨스턴 275A입니다만 마지막으로 제작한 팰콘앰프는 싱글 플레이트 2A3였습니다. 싱글 플레이트 2A3의 한없이 자연스러운 그 소리가 잊혀지지 않습니다. 그 기억이 최후(?)의 팰콘앰프를 제작하게 만들었나 봅니다. 2A3는 RCA가 원조로 대량 생산된 더블 플레..
-
310A 반킬프리프리앰프 2020. 4. 23. 17:32
동호인께서 의뢰하신 310A 반킬프리를 완성했습니다. 진공관앰프스런 모습을 원하셨는데 저 또한 이런 모양을 좋아합니다. 진공관이 노출되어 있기에 험이 생길까 염려해서 제작시 각별히 신경썼습니다. 310A는 여러 앰프에 쓰이지만 반킬에도 참 잘 어울리는것 같습니다. 자작 두티에 연결하니 소리의 윤곽이 선명해지고 무대가 더욱 넓어지는듯 합니다. 측정결과입니다. 이득 : 16.9dB (7배) 주파수(@1V) : 20~20kHz (-0.1dB ~ -1.2dB) 왜율 : 0.03% @ 1kHz, 1V (무보정) 잔류잡음 : 0.05mV (무보정) 주파수 특성 @1V 입력대 출력 특성 주파수대 왜율특성 @1V 출력대 왜율특성 @ 100Hz, 1kHz, 10kHz 녹음은 사진의 300B 싱글앰프와 연결했습니다. 스피..
-
Super Duti 앰프 만들기파워앰프 2020. 2. 16. 15:52
지난번에 제작한 두티는 지금 즐겁게 듣고 있는 중입니다. 직열관을 품은 두티라서 더욱 맘에 드는 소리입니다. 이번엔 두티의 업그레이드판인 슈퍼두티를 만들었습니다. 감사하게도 배박사님께서 슈퍼두티용 파워모듈을 지원해 주셨습니다. 이자리를 빌어 두껍대장님, 배박사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슈퍼두티에 들어갈 진공관은 사실 고민도 안했습니다. 당연히 WE 310A로 가자는 생각이었습니다. 지난번 두티1 개조했을때 제일 좋은 소리를 내주었거든요.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기다리던 대륙산 샤시가 왔습니다(하필 이런 시국에~ ㅠㅠ) 반갑기도 하고 찝찝하기도 하고... 소독용 알콜 듬뿍 뿌렸습니다.ㅎㅎ 풀사이즈 샤시를 쓰면 내부 공간이 넉넉했을텐데 컴팩트한 사이즈를 선택했더니 부품 집어넣기가 고약합니다. 그래도 아담..
-
DuTi 앰프 만들기파워앰프 2019. 12. 31. 18:40
두티는 네이버 카페 빈티지마을에서 대단한 호평을 받으며 2019년을 뜨겁게 달군 앰프입니다. 3차에 걸쳐 무려 300대가 넘는 댓수가 공제되었습니다. 저도 1차 공제때 참여했었습니다. 기본 진공관이 쌍삼극관 5687인데 업그레이드시 보통 호환관 7044, 7119, 6900을 사용합니다만 저는 30, 310A 두가지로 변경해서 즐기다가 310A로 개조된 상태로 동호회원에게 양도했었습니다. 이 앰프는 전류/전압변환기 트랜스임피던스 회로를 기초로하는 신개념 하이브리드 앰프입니다.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이회로를 천재 모리슨과 배성호 박사님이 오디오에 맞도록 개조했습니다. 진공관에서 만들어진 전류신호를 LM3886에서 받아 I/V 처리합니다. OP앰프 LM3886을 사용하는데 진공관의 특성이 그대로 출력되는 기특..
-
교류점화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9. 11. 2. 20:35
300B 싱글앰프의 전설 WE91B를 새로운 각도에서 살펴 봤습니다. 80년전 출시된 아주 오래된 앰프지만 높은 명성으로 지금까지도 많은 영향을 주고있는 앰프입니다. 몇년전 이 전설적인 앰프를 실제로 들어볼 기회가 있었는데 그 옛날 앰프라고는 도저히 믿기지 않는 대단한 소리였습니다. 광대역에 탄탄한 저음, 빛나는 중고음 등 표면적인 단순 비교만 하더라도 어떤 현대 앰프와 견주어도 밀리지 않는 소리였습니다.. 91B 원전앰프는 초단에 5극관 310A를 2단 직렬로 이어놓은 구성이라 게인이 매우 높습니다. 이런 높은 게인을 이용해서 NFB를 대량으로 걸어 특성 향상을 꾀한 앰프입니다. 요즘 흔히 만드는 간이 91B형 앰프는 310A를 1단만 적용하고 NFB도 없어 원전 91B의 소리와는 거리가 멀수밖에 없습..
-
출력트랜스 실험프리앰프 2019. 8. 11. 15:24
웨스턴 마크가 찍혀있는 출력트랜스 GA50768입니다. 어디에 사용하던 트랜스인지 모르겠으나 대역 특성이 100Hz ~ 20kHz 로 저역이 부족한 트랜스입니다. 저역을 조금이라도 더 나오게 해보려고 파라피드도 적용해보고 네오하브도 적용해봤습니다. 그나마 네오하브를 적용하면 아주 조금이라도 더 내려가긴 하더군요. 하지만 초저역 부재로 그저 깔끔하기만 할뿐 음악적 매력이 부족합니다. 그냥 포기했다가 갑자기 어떤 아이디어가 떠올랐습니다. 트랜스 2차 임피던스가 185+600옴 인데 185옴을 NFB용으로 돌리면 어떨까하는 생각이었습니다. NFB는 약 16dB 걸리게 됩니다. 급히 회로를 만들어보니 예상한대로 저역대역이 훨씬 더 늘어났습니다. 그래프를 찍어 비교해봤습니다. 빨간색이 네오하브이고 노랑색이 NFB..
-
ALL 타무라 트랜스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9. 6. 23. 10:55
작년에 타무라 트랜스 300B 싱글앰프를 제작했다가 해체하고 트랜스만 보관하고 있었습니다. 지난번 앰프 1년이 지나고나니 화려했던 그소리가 아쉬워서 다시 트랜스를 꺼내 들었습니다. 타무라 트랜스는 세트 구성으로 출력트랜스 F-2007, 전원트랜스 PC-3004, 초크코일 A-4004 입니다. 전원트랜스는 일본용 전압인 100V 전용이다보니 강압트랜스가 필요해서 조금 불편하긴 합니다. 220V용으로 새로 감을까 생각도 했으나 아무래도 완성했을때 모습이 제짝이 더 낫겠다 싶었습니다. 전원트랜스는 아쉽게도 배송중 핀베이스가 부러진채 도착했으나 깔끔하게 수리해놨습니다. 출력트랜스 F-2007은 삼극관 전용으로 제작된 타무라의 최상급 라인입니다. 이번에는 어떤 앰프로 만들까 고민하면서 회로를 머리속에서 썼다 지웠..
-
6L6G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9. 4. 15. 18:49
6L6은 6V6과 더불어 싱글앰프로 많이 만들어지는 진공관입니다. 저 또한 기회가 되면 언젠가 만들어봐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중에서도 고전스러운 항아리 모습의 6L6G로 만들어보고 싶었습니다. 직열 3극관의 매력에 빠져 있느라 좀처럼 착수하지 못하다가 이번에 모처럼 만들었습니다. 현대적인 감각에 맞게 예쁘장한 모습으로 완성했습니다. 회로는 특이점 없는 전통적인 5극관 싱글앰프 회로입니다. 1단으로만 드라이브하지만 6AM4의 높은 뮤를 활용해 NFB를 조금더 깊게 걸수 있었습니다. 초단관은 6AM4 라는 다소 생소한 진공관입니다. 작은 몸집에 특이하게도 플레이트가 수평으로 누워져 있습니다. 본래 극초단파에 사용된것으로 그리드접지(GG)용으로 만들어진 진공관입니다. 물론 이 앰프에서는 캐소드접지합니다. ..
-
WE310A 트랜스프리 리뉴얼프리앰프 2019. 3. 24. 13:34
헤드폰 앰프로 사용하던 웨스턴 트랜스 프리앰프를 리뉴얼했습니다.리뉴얼 전의 프리앰프는 우드베이스에 두랄루민 상판 하나로만 제작되었는데이런 방식은 큰 신호를 다루는 파워앰프에서는 문제 없으나 미세한 신호의 프리앰프에서는 노이즈에 취약하게 됩니다. 이번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DHT사운드 반킬프리 키트를 사용해서 리뉴얼했습니다.이전에도 이 키트로 262B 반킬프리를 제작했었는데 샤시는 철판에 동도금후 도장하여 만들어졌고전원트랜스는 니켈판으로 차폐하는 등 노이즈 대책이 잘 마련되어 있어서 어떤 프리를 만들어도 좋은 키트였습니다.마지막 남은 재고 한대를 업어왔습니다. 진공관은 웨스턴 310A를 삼결하여 네오하브로 구동합니다. 출력트랜스는 전류를 25mA까지 흘릴수 있는 웨스턴 트랜스 GA50768 입니다.대..
-
2A3-half (45) 차동 푸쉬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9. 2. 17. 21:00
2A3중에서도 진공관 상단에서 필라멘트를 스프링으로 잡고있는 형상의 소위 '스프링탑'이 명관 대우를 받고 있습니다. 몇년전 운 좋게도 그 스프링탑 2A3 8개를 한꺼번에 구할수 있었습니다만 안타깝게도 모두 필라멘트 1개가 죽어버린 반쪽짜리 였습니다. 잘 알려져 있는것 처럼 2A3은 45를 두개 붙인 형태라 이것을 45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특성이 일치하는 것으로 2조 선별하여 푸쉬풀(PP) 앰프를 만들었습니다. 당연하게도 2A3 대신 45관을 꽂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초단 및 드라이브단 진공관은 실바니아 6LY8 3극-5극 복합관입니다. 3극부는 뮤가 100으로 12AX7 만큼 높고, 5극부는 상호컨덕턴스가 20mA/V으로 캐소드팔로워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일반적인 구성의 PP앰프는 흔히 볼수있는것..
-
네오하브 UX250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8. 12. 2. 14:57
네오하브 50 싱글앰프를 다시 만들었습니다.(지난번 네오하브 50)초단관에서 출력관으로 이어지는 신호라인은 직결회로입니다. 커플링 커패시터에서 오는 착색을 없애기위해 직결구조로 제작하였습니다. 초단관은 STC 3A/167M(=WE437A) 이고 출력관 50은 RCA UX250 벌룬관입니다.입력트랜스 LL7903, 플레이트초크 LL1668. 출력트랜스 LL1627 입니다. 그때는 최대출력이 20W였지만 이번에는 출력에 미련이 없었는데 그래도 만들다 보니 9W나 나오네요(발열을 낮추려고 7W로 조정).초단, 출력단 모두 네오하브 구동합니다. 입력단자와 전원단자가 센터링을 잘못해 한쪽으로 약간 몰렸습니다.불행중 다행으로 그나마 앞에서는 잘 안보이는 곳이라는데 위안을 삼습니다. 처음 전원을 넣었을때 뭔가 어색한..
-
6A3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8. 10. 4. 18:18
이번에는 색다른 직결방식 앰프를 만들어 봤습니다. 많이 알려진 직결회로중에 로프틴 화이트 회로가 있는데 이것을 응용한 회로입니다. 해외에서는 몽키, 프리런치 등으로 알려진 회로입니다. 로프틴 화이트 회로에는 초단관 부하로 저항이 사용되었지만 몽키회로에는 초크코일을 사용합니다. 이 초크코일이 출력관의 바이어스 전압을 만드는 역할도 겸하므로 적당한 DCR(코일의 직류저항)이 필요합니다. 마침 딱맞는 초크코일을 가지고 있어서 이 앰프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초단관은 EC86 입니다. 높은 상호컨덕턴스(14mA/V)를 가진 삼극관이며 1단만으로도 충분한 증폭을 끌어 낼수 있는 높은 Mu(68)를 가지고 있습니다. 출력관은 6A3으로 히터전압만 6.3V로 다를뿐 특성과 외관은 2A3과 동일한 관입니다. 몇년전 구해..
-
etracer - 커브 트레이서계측기 2018. 9. 3. 22:32
뮤트레이서(uTracer)를 사용하면서 몇가지 아쉬운 것이 있는데 그중 가장 큰 것이 두가지 입니다.첫째는 플레이트용 전압이 낮다. 버전이 3+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전압이 300V에서 400V로 높아 졌지만 그래도 부족합니다.둘째는 그리드용 전압이 부족하다. -50V까지가 한계인데 이정도면 DHT 같은 출력관에는 너무 부족합니다. 이런 것을 한방에 해결한 것이 이트레이서(etracer)입니다.플레이트전압은 750V, 그리드전압은 -170V까지 걸수 있습니다.그리드에 전류를 흘리는 송신관을 제외하면 어지간한 출력관은 모두 측정이 가능합니다. PCB 보드는 미리 완성되어 교정까지 완료된 상태로 공급되고샤시 와 소켓 조립, 배선은 구매자가 직접해야 하는 반조립품입니다.뮤트레이서 보다 친사용자적인 인터페이스와 ..
-
2A3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8. 8. 27. 18:04
타무라 트랜스 300B 앰프를 해체하고 남은 샤시로 2A3 싱글을 만들었습니다.샤시에 맞춘 앰프라서 회로구성은 자연스럽게 해체한 앰프와 동일하게 되었습니다.초단과 드라이브단은 직결하고 드라이브단은 인터스테이지 트랜스로 2A3를 구동합니다.초단 진공관은 76입니다. 동일관으로 히터전압이 다른 56이 있습니다.드라이브 진공관은 6G6G입니다. 소형 5극 출력관으로 이번에 삼결하여 사용합니다.출력 진공관은 RCA 2A3입니다.2A3 싱글앰프답게 모든 진공관은 교류점화했습니다.경험상 직열관은 교류점화의 소리가 직류점화를 압도합니다.동일앰프로 비교해 봤는데 교류점화했을때가 보다 더 싱싱하고 자연스러운 소리가 나오는군요.300B 같이 히터전압이 높은 진공관은 무리지만 2A3 이라면 당연히 교류점화입니다.몰딩하지 않..
-
웨스턴 트랜스 프리앰프 (네오하브)프리앰프 2018. 7. 1. 17:19
예전에 구해놨던 프리용 웨스턴 출력트랜스입니다.전류를 25mA 흘릴수 있는 출력트랜스인데 보시는것 처럼 대역이 좁습니다.대역이 100Hz~20kHz로서 실제로 만들어보니까 저역이 상당히 잘린 소리가 나와서 구석에 처박아 두었습니다. 그러나 네오하브 회로를 적용하면 저역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으니까 한번 실험해봐야겠다 싶었습니다.얼마전 반킬프리를 리뉴얼하면서 남은 샤시를 이용해 네오하브 회로를 적용해 봤습니다. 진공관은 WE310A를 삼결하였습니다.예상대로 저역이 확장되면서 1kHz 대비 -3dB에서 30Hz까지 건져 올릴수 있었습니다. 부하저항 680옴을 걸었을때 1V 출력 특성입니다. 전대역이 나무랄데 없는 프리가 되었네요.저역이 부족한 출력트랜스에도 네오하브는 특효약입니다. ===============..
-
네오하브 801A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8. 5. 21. 19:19
일전에 제작했던 네오하브 50을 801A로 개조했습니다.본래는 처분하려고 장터에 내놨었는데 금액이 높다보니 잘 안나갔습니다.제작 욕심에 너무 고가의 부품을 쓰다보니..... 구석에 처박혀 있으니 다른 앰프 만들때 곶감 빼먹듯이 부품을 뽑아 먹기도하고 또 일부는 팔기도 하여 제 모습을 잃어 버렸습니다.아깝기도 하고 처분도 해야하고 해서, 전에 한번 실험했던 801A로 변경했습니다. 주요 부품인 진공관과 신호용 트랜스를 전부 다운그레이드했습니다.그렇다고 소리까지 다운그레이드된건 아닙니다. ^^; 초단관은 C3g를 삼결했고 출력트랜스는 빈티지마을에서 공제했던 네오하브 트랜스입니다.역시 토륨 텅스텐 필라멘트의 불빛은 화려합니다.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녹음해 봤습니다. 스피커는 노틸러스 801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