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앰프
-
KT88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17. 5. 27. 11:40
5년전 300B PP 제작 이후 오랫만에 만든 KT88 PP 파워앰프입니다. 싱글앰프를 좋아해서 주로 싱글앰프만 만들다가 이번에 모처럼 만들었습니다. 싱글앰프의 소리를 푸쉬풀앰프에 넣어 본다는 컨셉으로 제작했습니다. 초단 및 드라이브 진공관은 실바니아 6EM7 복합관을 사용했습니다. 6EM7은 뮤 68, 5.4의 3극관 두개가 들어간 복합관입니다. 초단과 드라이브단간은 커플링없이 직결하였습니다. 초단/드라이브단을 싱글구동하고 인터스테이지 트랜스를 넣어 위상반전합니다. 이 덕분에 3차고조파 보다 2차고조파가 더 많은 싱글앰프같은 PP앰프가 되었습니다. 인터스테이지 트랜스는 꼼방 막님표입니다. 출력트랜스는 롯데 파워앰프 LA225VT용 출력트랜스를 사용했습니다. KT88은 3극관접속하였고 NFB는 적용하지 ..
-
ALL 직열관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7. 5. 1. 20:24
이번 300B 싱글앰프에 적용한 회로는 꽤 오래전에 입수한 것입니다. 원전회로는 천재 모리슨이 설계한 것인데 최근 들어서야 회로를 이해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회로의 가장 큰 특징은 내부의 모든 단이 커플링 없이 직결된 DC앰프라는 것입니다. 진공관 구성은 전에 제작했던 올트랜스결합 앰프와 동일한 418A(T)-45-300B 입니다. 원전회로의 골격은 그대로 유지하였고 시정수만 적용 진공관에 맞춰 재설계 했습니다. 초단 진공관은 4극관인 웨스턴 418A를 3극관 접속하였습니다. 이해하기 어려웠던 초단 회로는 어디에서도 보기 힘든 상당히 특이한 회로입니다. 드라이브단 진공관은 직열3극관 45이며 초크코일을 부하로 구동됩니다. 초단과 드라이브단은 음(-)전압을 공급하여 300B에 직결함과 동시에 바이어스 ..
-
A2293 싱글 미니앰프파워앰프 2017. 3. 18. 23:22
풀커런트 피드백 A2293 싱글 미니앰프입니다. 작년에 구해놓은 풀레인지 스피커에 짝 지워줄 앰프입니다. 작은 스피커에 어울리는 작은 앰프를 만들려고 했습니다. 샤시는 예전에 해체해 놓은 것이 딱 알맞아 재활용했습니다. 미니앰프의 기본적인 회로는 팰콘앰프와 거의 동일합니다. 5687-12AY7-5687 로 이어지는 전압증폭단은 거의 동일합니다. 팰콘앰프는 전압증폭단까지만 커런트 피드백하지만 이 앰프는 전체회로를 커런트 피드백합니다. 그밖의 특징으로는 전압증폭단의 바이어스는 LED를 사용하였고 출력단 바이어스는 고정바이어스입니다. ----------------------------- 여기서 잠깐 풀 커런트 피드백 앰프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면... 일반적인 NFB앰프는 통상 볼티지 피드백 회로입니다. 볼티..
-
6J5G-1626-IT-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7. 1. 9. 21:00
2017년 첫작품입니다.오랫만에 제작한 300B 싱글 파워앰프입니다. 300B 앰프를 만드는것은 언제나 즐겁습니다. 출력 1~2와트 싱글앰프를 만들다보니 새삼 300B의 출력이 꽤 큰것임을 깨닫게 됩니다. 300B 싱글로 8와트 출력이 나왔으니 그 시절 대출력앰프였습니다. 새로운 방식으로 300B 싱글앰프를 설계했습니다. 전단은 2단증폭하지만 커플링 커패시터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초단과 드라이버단은 직결하고 인터스테이지 트랜스로 300B를 드라이브합니다. 트랜스결합이 만들어내는 독특함을 살리도록 제작했습니다. 초단 진공관은 6J5G입니다. 쌍삼극관 6SN7의 반쪽이 들어있습니다. 그중 가장 유명한 영국 STC 제품입니다. 드라이버단 진공관은 RCA 1626입니다. 달링앰프로 많이 알려진 소형 출력관입니..
-
네오하브 팰콘275 탄생 - 팰콘275 파워앰프 개조파워앰프 2016. 11. 24. 19:46
205D 네오하브 앰프의 위력을 체감하고나니까 왠지 팰콘275가 작아보였습니다.어찌해야할지 고민하던중 문득 275A를 네오하브로 만들면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앰프의 앞단은 커런트 피드백으로 특성이 매우 좋기 때문에 앞단은 그대로 사용합니다. 최종 출력단을 네오하브로 개조했습니다. 개조하는 김에 저음역을 보강하기 위해 출력트랜스도 덩치가 큰 쏘터트랜스로 바꿨습니다. 네오하브에는 저임피던스 출력트랜스가 어울리므로 쏘터트랜스를 3.5k옴:16옴인것을 1.75k옴:8옴으로 사용합니다. 공급전압도 올려서 최대출력을 기존 1.5W에서 5W로 3.3배 증가시켰습니다. 275A의 전류는 대폭 줄이고 전압은 조금 높여서 플레이트 소모전력은 5W에 불과합니다.(기존은 12W) 이로써 275A의 사용수명도 대폭..
-
WE205D 네오하브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6. 5. 23. 20:21
진공관과 반도체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앰프를 제작했습니다. 기존 하이브리와 전혀 다른 개념의 네오하이브리드 앰프입니다. 줄여서 네오하브(Neohyb)입니다. 진공관은 웨스턴일렉트릭 205D입니다. 동그란 모양때문에 이런 종류의 진공관을 테니스볼이라고 부르더군요. 까마득한 오디오 태동기 시절인 1910년대에 만들어진 진공관입니다. 전극의 형태도 원시적인 모습 그대로입니다. 205D는 1W 남짓의 소출력 진공관입니다. 풀가동이라도 하려면 수명이 얼마나 남았는지 걱정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기술이 접목되면서 이야기가 달라졌습니다. 출력은 MOSFET의 도움을 받아 단숨에 다섯배인 5W로 증가합니다. 진공관은 1/3 정도만 구동하여 수명을 늘리고 출력의 대부분은 MOSFET가 담당합니다. 205D는 단지..
-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5파워앰프 2016. 4. 30. 19:11
오랫만에 제작한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 다섯번째 작품입니다.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좋은 소리로 보답해 드릴겁니다. 완성사진 올립니다. 특성 측정 결과입니다. 최대출력 : 2W @ 1kHz, 8ohm, THD 6.77%이득 : 17.5dB (7.4배) 잔류잡음 : 0.55mV (무보정)1W : 20Hz~20kHz @ -0.14 ~ -1.45dB, 8ohm 출력트랜스는 신형 홍콩할배트랜스입니다.76코어 사이즈대응의 더블 C커트코어입니다. 구형 EI코어에 비해 저역 레인지가 확장된것을 볼수 있습니다.반면 고음역은 약간 감소되었습니다. ================================================== 2017.1.21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앰프가 네오팰콘으로 변신했습니다. 출력트..
-
새로운 91B형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6. 1. 16. 16:56
자작인들에게 91B형 300B 싱글앰프라고 하면 원전 91B와 달리 2단 증폭이 아닌 1단 증폭 구성입니다. 그도 그럴것이 증폭율만 보아도 2단 구성은 너무 높아서 사용이 불편하고 1단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런 간이형 91B 300B 싱글을 사용하다보면 아무래도 고음 감소가 아쉬운것이 사실입니다. 초단에 사용한 5극관 고유의 특성때문인데 진공관 내부저항이 매우 높아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직접 91B 앰프 소리를 들어본적은 없지만 감상해본 분의 청음기에는 고음이 부족하다는 소리는 없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원전회로는 고음부와 저음부의 감쇠를 보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요즘은 300B 같은 직열관에는 NFB를 걸지 않는것이 상식처럼 되어 있지만 원전 회로는 NFB를 사용합니다. 300B 플레이..
-
ALL 트랜스결합 300B 싱글 파워앰프 - 새로운 탄생파워앰프 2015. 11. 8. 12:04
앰프를 새롭게 다시 만들다시피 했습니다. 목표는 2가지 입니다. 1. 초저음역을 확보할것 2. 잔류잡음을 낮출것 어떤 조치를 취하는것이 적절할지 판단하기 위해 기존 상태에서 출력트랜스를 제외한 각단 트랜스의 감쇠량을 측정했습니다. 1kHz 대비 20Hz일때 감쇠량은 입력 : 인터스테이지1 : 인터스테이지2 = -0.8dB : -1.3dB : -1.6dB 정도였습니다. 결국 어느 한곳만 손대본다고 해결될이 아니란것이 자명해졌습니다. 전체적으로 손봐야합니다. 인터스테이지에서 감쇠량이 많은 이유는 전류를 많이 흘리기 때문입니다. 작은 전류로 가볍게 구동하는것 보다는 대전류로 저임피던스 구동을 선호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일단 초저음역대를 보강하기위한 회로를 적용하고 시뮬레이션 해보았습니다...
-
ALL 트랜스결합 300B 싱글 파워앰프 - 절반의 성공파워앰프 2015. 11. 1. 15:22
모든 증폭단에 저항과 커패시터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트랜스만 사용한 앰프입니다. 이런 구성으로 만들면 어떤 소리가 날까 궁금했습니다. 트랜스는 오래전부터 하나씩 마련해두었던 것인데 이번에 몰아서 전부 투입했습니다. 회로는 심플합니다. WE418A(3결) - 45 - 300B 구성에 모든 단은 고정바이어스입니다. 초단은 배터리 바이어스, 드라이브단과 출력단은 정호윤님 CCS 바이어스입니다. 트랜스를 소개하면 입력트랜스는 신정환님께 받은 유니다 TpAs-202G, 초단 & 드라이버단 인터스테이지는 꼼방 막님표 바이파일러 할배트랜스, 출력트랜스는 태창전자 TWX-90 입니다. 모든 트랜스는 한국산입니다. 인터스테이지와 출력트랜스는 더이상 구할수없는 것이되어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WE418A는 본래 4극관인것..
-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4파워앰프 2015. 8. 30. 07:37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 네번째 작품입니다.다 만들고 첫 소리를 들을때가 가장 설레이는것 같습니다.이번 작품도 어김없이 주말작업의 노고를 좋은 소리로 보답해 주었습니다. 제작내용은 지난번 작품과 동일하여 사진위주로 올립니다. 특성 측정 결과입니다. 최대출력 : 2W @ 1kHz, 8ohm, THD 6.14%이득 : 14.4dB (5.2배) 잔류잡음 : 0.5mV (무보정)1W : 20Hz~20kHz @ -1.77 ~ -0.83dB, 8ohm =========================================== 2016. 11. 27 팰콘앰프를 네오팰콘으로 개조했습니다. 제가 얼마전에 올린 네오팰콘 개조글을 보시고 작년에 제작해드린 팰콘275 하드와어링 앰프를 네오하브로 개조 의뢰하셨습니다.개..
-
6SN7-6BX7-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5. 6. 27. 17:27
올해는 연초부터 제작의뢰가 들어와서 여기에 집중하다보니 반년이란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제 자신만의 앰프를 만들수 있었습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파워앰프도 역시 제가 좋아하는 300B 싱글입니다. 초단과 드라이브단의 회로를 특별하게 만들어보았습니다. 각단은 두개의 진공관이 한개처럼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초단, 드라이브단 합계 4개의 진공관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각단마다 쌍삼극관을 사용해서 외관상으로는 두개의 진공관이 사용된것처럼 보입니다. 통상 플레이트팔로워 회로에는 케소드에 바이패스 커패시터를 붙입니다. 이 커패시터의 근본적인 목적은 케소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것에 있습니다. 바이패스 커패시터가 없으면 입력전압에 따라 케소드 전압이 출렁거려서 증폭율이 저하되게 됩니다. 이 바이패스 커패시터는 소리에..
-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3파워앰프 2015. 5. 24. 18:04
이번 팰콘275 두대중 남은 한대의 제작을 마쳤습니다.먼저 완성한 앰프는 의뢰하신분께 어제 전달했습니다. 주말에만 제작을 하다보니 상당한 강행군이었습니다.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사진위주로 올립니다. 특성 측정 결과입니다. 최대출력 : 2W @ 1kHz, 8ohm, THD 4.06%이득 : 16dB (6.2배) 잔류잡음 : 0.6mV (무보정)1W : 20Hz~20kHz @ -0.77 ~ -1.44dB, 8ohm ========================================= 2016. 12. 25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앰프가 네오하브로 변신했습니다. 네오하브 열풍이 대단합니다. 출력트랜스까지 교체해서 완벽한 네오팰콘으로 변신했습니다. 출력트랜스는 홍콩할배표 실버트랜스입니다. 114코어 ..
-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2파워앰프 2015. 5. 17. 18:15
의뢰받은 2대중 1대를 완성했습니다. 이번에는 275A 전용입니다.청음해보면 팰콘앰프는 275A로 충분함을 알수 있습니다.불과 2W지만 대출력앰프가 부럽지 않습니다. 출력트랜스는 76코어 홍콩할배트랜스입니다.76코어 역시 와이드레인지의 풍성한 소리를 들려줍니다. 96코어와 차이는 저역쪽에 있지만 들어보면 96코어가 생각나지 않는 넉넉한 저역입니다. 지난번과 구성과 부품이 거의 동일하여 사진위주로 올립니다.남은 1대도 열심히 만들어야 합니다. 특성 측정 결과입니다. 최대출력 : 2W @ 1kHz, 8ohm, THD 4.3%이득 : 15.7dB (6.1배) 잔류잡음 : 0.5mV (무보정)1W : 20Hz~20kHz @ -2.02 ~ -1.30dB, 8ohm
-
팰콘275 하드와이어링 버전-1파워앰프 2015. 3. 16. 19:51
작년에 빈티지마을에서 공제했던 팰콘275 앰프의 하드와이어링 버전입니다.언젠가 PCB가 아닌 부품 하나하나를 직접 배선한 팰콘앰프를 만들어봐야겠다고 생각했었습니다.힘들기는 했지만 즐거운 작업이었습니다. 증폭회로는 원전회로를 그대로 적용했습니다.전원부는 원전과 다르게 커패시터와 쵸크코일로 구성된 일반적인 파이형 필터입니다. 275A 뿐만 아니라 300A도 사용할수 있게 전원을 특별히 구성했습니다.300A는 워낙 조심히 다뤄야할 진공관이라서 욕심부리지 않고 공급전압을 많이 낮춰서 출력을 조금만 뽑도록했습니다.최대출력 275A는 2W, 300A는 4W 입니다. 원래 PCB로 제작되었던 앰프인만큼 하드와이어링으로 제작하기엔 꽤나 복잡합니다.합리적인 배선이 가능하도록 부품 배치에 많은 공을 들였습니다. 내부부품들..
-
6FQ7-12HL7-6A3(6B4G) CCS 파라피드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12. 22. 17:39
요즘 바쁘다보니 새로 만들 생각은 못하고 기존앰프를 지지고 볶고 있습니다. 이번엔 6FQ7-12HL7-300B 커런트 피드백 앰프의 출력단을 6A3으로 바꿨습니다. 더욱 탄력있는 음을 만들기 위해 출력관 부하를 CCS로 하는 파라피드로 새롭게 구성했습니다. 6A3은 고정바이어스로 작동시키고 출력트랜스는 5k:16 PP용을 2.5k:8로 사용했습니다. 전류를 흘리지 않기 때문에 PP용이지만 싱글에도 사용할수 있습니다.굳이 PP트랜스인 이유는 에어갭이 없으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트랜스를 사용하여 최대의 성능을 뽑아내기 위해서입니다. 반도체소자로 CCS를 구성할때 큰 걸림돌이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입니다. 지금까지는 앰프상판을 이용하여 방열했지만 앰프 전체가 너무 뜨거워져서 사용하기 불편했습..
-
6FQ7-12HL7-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11. 2. 18:32
812A 싱글 해체후 300B 싱글로 개조하여 커런트 피드백 회로를 실험하고 볼티지 피드백 회로로 만들었다가 드라이브단만 커런트 피드백을 적용하고 출력단은 피드백에서 제외하여 직열 3극관의 맛을 살린 앰프로 최종정리하였습니다. 기본 회로가 팰콘275와 거의 동일하므로 자칭 '변종 팰콘300B' 라고 불러봅니다. 팰콘275는 출력관과 드라이버간을 직결했습니다만 변종 팰콘300B는 커플링 커패시터로 연결합니다. 따라서 B전원이 3개가 아닌 1개로만 간결한 구성이 가능합니다. 간이 팰콘이라고 봐도 되지만 그러나 초단~드라이버단이 완전 직결인것이 차이점입니다. 직전에 구성한 볼티지 피드백도 괜찮은 소리였으나 그것 보다는 커런트 피드백에 대한 미련이 더 남아있어 다시 만들어 보았습니다. 커런트 피드백 답게 볼티지..
-
볼티지 피드백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10. 19. 18:01
지난번 커런트 피드백 시도는 너무 단단한 저음만을 추구하다가 균형을 조금 잃어버린것 같습니다.3극 직열관의 상큼하고 생생한 느낌에 풍성하고 단단한 저음을 더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이번에는 볼티지 피드백입니다.지난번 커런트 피드백과 다른 점은 피드백 위치가 출력트랜스 지점으로 바뀐것입니다.나머지 회로의 구조는 동일합니다. 사실 이 회로를 먼저 구성하고 제작 진행중이었는데 도중에 커런트 피드백으로 바꿨던것이었습니다.많은 분들이 300B 같은 직열 3극관에는 NFB를 금기시하고 있고 저 또한 그동안 NON-NFB로 제작하였습니다만팰콘앰프의 성능을 보고는 이제 아이디어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자유롭게 구상을 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전단회로는 300B 싱글앰프 제작례에서 흔히 볼수있는 선오디오 기반..
-
커런트 피드백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10. 12. 17:19
커런트 피드백 회로를 채용한 팰콘앰프를 사용중입니다만 역시 특유의 저역의 힘은 들을때 마다 놀랍습니다. 그러나 스테레오로 제작하려면 B전원이 최소한 3개이어야 한다는것이 불편합니다. 팰콘앰프와 같은 저역을 만들어 보려고 최근에는 출력관을 케소드 팔로워 드라이브로 구동하는 한편출력관 그리드를 드라이브단과 직결하기위해 케소드 초크를 사용해 보고 있습니다. 이런 효과로 저역에 힘이 붙고 단단해집니다만 이것만으론 2% 부족합니다. 812A 앰프를 제작하며 느낀건데 이럴땐 피드백이 필요하다는겁니다. 이러다가 최근에 B전원을 한개만 쓰고도 커런트 피드백 할수 있는 회로를 만들었습니다. 모리슨의 회로를 보다가 깨달았는데 최근에 사용한 케소드 초크를 사용하면 가능합니다. "케소드 팔로워 드라이브단 + 직결 + 커런트 ..
-
RCA 812A 송신관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8. 19. 11:20
언제였는지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송신관 RCA 812A를 구입해 두었습니다. 매끈한 곡선이 아름다운 항아리형 진공관을 좋아해서 였습니다. 특히나 밝고 화려한 불빛의 토륨텅스텐 필라멘트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서랍속에 몇년을 지내다 이제 다시 불빛을 보게 되었습니다. 적용회로는 기본적으로 지난번 12AX7-6H30-300B 와 유사합니다. 이번에는 EC86-12HL7(T)-812A 입니다. 송신관 812A는 보다 더 많이 알려진 811A의 사촌입니다.공급전압을 600V 걸면 20W는 뽑을수 있지만 안전하게 저전압을 걸어 9.4W를 뽑습니다. 초단관으로 사용된 EC86은 본래 UHF용 High Gm 3극관입니다. 뮤 68, Gm 14mA/V로 높은 뮤에 비해 내부저항이 낮아 현대적인 감각의 소리를 만들어 냅니..
-
12AX7-6H30-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6. 30. 18:57
이전에 제작한 310A(1단) 91B형 싱글앰프는 흔히 알고있는 300B의 소리의 전형같은 모습이었습니다. 부드럽고 살랑거리는 고음, 중후한 중저음이 매력적인 앰프입니다. 그러나 초저음은 실종되며 초고음은 아무래도 부족합니다. 음악을 즐겁게 듣기에는 충분하지만 현대적 앰프의 특징인 광대역 특성과 우퍼 제어능력이 아쉬운것이 사실입니다. 내부저항이 낮은 진공관으로 플레이트팔로워 드라이브하여도 어느정도 목적을 달성할수 있지만 강력함이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300B를 더욱 강력히 드라이브할수 있는 회로를 구상하였습니다. 12AX7로 게인을 충분히 확보하고 6H30 케소드팔로워 적용하여 출력임피던스를 최대한 낮췄습니다. 6H30의 상호컨덕턴스가 18mA/V 이므로 케소드팔로워 출력임피던스는 무려 55.5..
-
팰콘275 공제앰프 측정편파워앰프 2014. 6. 27. 10:09
팰콘275 공제앰프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습니다. 최대출력 : 2W @ 1kHz, 8ohm, THD 5.4% 이득 : 17.6dB (7.5배) 잔류잡음 : 0.1mV (무보정) 1W : 20Hz~20kHz @ -1.64dB ~ -1.15dB, 8ohm 주파수특성은 할배트랜스를 300B에 연결해서 측정한 결과와 거의 유사합니다. 같은 출력트랜스이니 어쩌면 당연한 결과입니다만 저음 특성이 워낙 좋아서 저음부는 평탄할것으로 짐작했었습니다. 반면에 91B형 300B 싱글은 초저음이 풀어지고 들릴듯말듯한 소리였지만 주파수특성으로는 초저역까지 거의 평탄하게 보였습니다. 초저음역의 반응은 귀로 들어서는 확실히 차이가 나는데 이것이 주파수특성 한가지만으로는 표현될수 없다는것을 이번에 알게되었습니다. 이부분은 다른 측..
-
팰콘275 공제앰프 제작편파워앰프 2014. 6. 1. 00:12
네이버 동호회 빈티지마을에서 공제한 앰프를 드디어 완성했습니다.주말에만 틈틈히 작업하다보니 속도가 더뎠습니다. 구입한 부품이 안맞으면 일주일을 기다려야 했습니다.이번 공제의 특징은 샤시와 PCB기판만 공제하고 그외 부품은 알아서 만들기입니다. PCB기판에 부품만 꽂으면 될것 같지만 막상 제작에 들어가면 이것저것 잔손이 가는 부분이 많습니다. 케소드 바이패스 커패시터는 두군데 인데 초단의 6900과 출력관에 사용됩니다.초단에는 삼화에서 나온 OS캡을 적용했습니다. 삼화에서 OS캡이 생산되는지 이번에 알았습니다.출력관에는 필름캡을 적용했습니다. 메인기판입니다.6900, 12AY7 플레이트 저항과 출력관 케소드저항은 원전회로와 다르게 CCS로 변경하였습니다.CCS특유의 소리를 얻기위해서 입니다.초단관에서는 화..
-
CCS 파라피드 6B4G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4. 1. 12. 18:48
ALL CCS 부하로 제작한 지난번 앰프에서 275A만 RCA 6B4G로 교체했습니다.2A3을 써보고 싶었지만 히터 전압이 차이가 커서 6A3을 생각했으나 입수가 쉬웠던 6B4G로 선택했습니다. 대신 4핀 소켓을 옥탈 소켓으로 교체해야 했습니다.회로는 전원부와 케소드 저항을 약간 손봤을 뿐입니다.맘에 드는 소리입니다. 275A와 6B4G의 가격 차이를 생각하면 더욱 더 그렇습니다. 6B4G의 플레이트 전압이 275A 보다 높아서 전원 전압을 조금 더 올렸으면 좋겠는데 전원트랜스를 바꾸기전엔 그럴수가 없습니다.최대출력은 2W가 빠듯하게 나옵니다. 2014.3.16 IXCP 10M45S를 CCS로 사용하기에 어떠한지 테스트 하기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게리핌 CCS를 걷어내고 교체했습니다.소리는 구별할수 없는데..
-
전단(全段) CCS 파라피드 WE275A 싱글 파워앰프 (Full CCS Para-Feed WE275A SE)파워앰프 2014. 1. 1. 16:57
WE275A 에 적당한 회로를 구상하며 로프틴-화이트 앰프로 할까하다가 전단(全段)을 CCS 파라피드로 구성하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개조해서 쓰던 300B 싱글 파워앰프의 공급전압이면 두가지중 어느것으로 해도 딱알맞겠다 싶었습니다.새로 앰프를 만들기보다는 기존 앰프를 조금만 손보면 쉽게 완성시킬수 있어 좋았습니다. 초단 D3a는 기존 그대로 SBCCS, 275A는 BBMCCS 로 꾸몄습니다.BBMCCS는 기존에 뚫어놓은 자리도 있고 마침 차동프리에서 떼어놓은 완성된 기판도 있어 고민할것 없이 사용했습니다.대신 공간도 부족하고 공급전압에 비해 내압도 낮은 평활회로의 필름 커패시터는 걷어내고 전해 커패시터로 교체하였습니다.차마 사진을 올리지 못했지만 출력용 파라피드 캡은 덩치가 너무 커서 외부로 ..
-
C3g-45-인터스테이지-300B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13. 12. 24. 15:16
작년(2012)에 완성한 300B PP 모노블럭에 변화를 주었습니다. 초단 6C8G가 음질상 특색이 없는것 같아 내부저항이 낮고 많은 전류를 흘릴수 있는 C3g로 바꿨습니다. 예전에 만들었던 C3g(3결) 트랜스 프리의 음이 참 좋았던 기억이 있어 결정하였습니다. C3g의 출력 임피던스가 충분히 낮기 때문에 45로 입력되는 출력신호도 뮤팔로워에서 플레이트팔로워로 바꿨습니다. 6C8G에서 부족하였던 선명하고 화려한 CCS 특유의 음이 나옵니다. 이제서야 원하던 소리를 찾아서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예전에 커버를 벗겨둔 C3g를 꽂아봤습니다. 프리앰프에 썼을때는 마이크로포닉 노이즈가 심했는데 파워앰프에서는 조용합니다. 손톱끝으로 톡톡 건드려 보아도 잡음이 나지 않을 정도입니다. 파워앰프가 역시 노이즈에 대해서..
-
WE275A 싱글 파워 맛보기파워앰프 2013. 12. 14. 21:49
저 유명한 웨스턴 일렉트릭의 오리지널 300B는 너무 귀하신 몸이라 대신 중국산으로 만족하고 있었습니다.그러던 어느날 아무래도 미련이 남아서인지 300B의 전신(前身) 275A를 손에 쥐고 말았습니다.그렇지만 이것도 300B 보다 덜해서 그렇지 귀하신 몸이긴 마찬가지입니다. 문제는 최대출력이 고작 3W 남짓이라 고능률 스피커가 필요하다는겁니다.스피커는 구동하기 힘든것으로 악명 높은 B&W 801-3 이라(이건 확실히 과장된 소문임) 정작 손에 넣고는 고개를 갸우뚱했습니다."이걸 왜 샀지???~~" 하지만 300B가 8W라도 소리만 잘 나고 있으니 어쨌든 들어 봐야죠.이미 사용중인 300B 싱글 파워앰프를 개조하여 275A를 끼우고 맛을 보았습니다.히터정격이 300B와 동일해서 플레이트 전압, 전류만 조정..
-
91B형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3. 10. 28. 13:01
진공관 앰프를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은 300B 라는 아름답게 생긴 진공관을 알고나서부터입니다.거기에 모양만 아름다운것이 아니라 소리 또한 직열 3극관중 최고라는 찬사에 더욱 그러했습니다. 300B는 300A(1933년)의 개량형으로 1938년 웨스턴 일렉트릭이라는 당대 최고의 회사에서 탄생하였습니다.당시는 유성영화의 태동기였고 웨스턴 일렉트릭은 극장에서 사용할 출력 8와트의 대출력(!) 앰프를 선보입니다.요즘이야 대출력이라면 최소한 100와트는 넘어야 하지만 당시의 진공관으로는 1와트 정도의 출력이 보통이었습니다.앰프출력이 약한 대신 스피커의 효율이 무척 높아서 8와트로도 극장 전체를 울릴만 했습니다. 이렇게 처음부터 극장용으로 출시된 91B 앰프는 필름에 새겨진 미약한 신호를 크게 증폭할 필요성 때..
-
D3a-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3. 10. 6. 08:30
3A/167M(WE437A)을 제대로 들어보기도 전에 D3a로 변경했습니다.ㅎㅎ 3A/167M의 내부저항이 1k옴이고, D3a(3결)는 1.9k옴입니다. 둘사이에 주파수대역 차이가 얼마나 있는지, 왜율을 얼마나 더 낮출수 있는지 알고 싶었습니다. 결론은 두 진공관이 차이없다 입니다.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SBCCS 부하로 구동하고 출력은 플레이트 팔로워로 뽑습니다. D3a는 삼결시 뮤가 무려 77이라서 한개만으로도 300B에 스윙전압을 충분히 공급할수 있는 진공관입니다. 거기에 내부저항까지 낮은 슈퍼급 진공관입니다. 배선을 완료하고 테스트하는 도중 300B 케소드 정전류 레귤레이터 TL783을 태워 버렸습니다. 전원 OFF이후 잠시후 ON 할때 300B 플레이트에 불꽃이 튀면서 사망했습니다. 아까운 고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