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앰프
-
3A/167M(WE437A)-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3. 10. 5. 10:03
그동안 애청하던 WE310A 드라이브 300B 싱글을 해체했습니다. 이건 조만간 새로 만들 예정입니다. 이번에는 STC 3A/167M 을 초단 겸 드라이브관으로 사용하여 만들었습니다. 내부저항이 매우 낮은 3A/167M 만으로 드라이브 했을때 주파수 대역폭이 얼마나 확장되는지 궁금했기 때문입니다. STC 3A/167M 은 WE437A 와 완전 동등관으로 핀구성만 다릅니다. WE437A 는 마그노발이고 STC 3A/167M 은 록탈입니다. 3A/167M 을 SBCCS 부하로 구동하고 출력은 플레이트 팔로워로 뽑습니다. 뮤가 41이니까 증폭율은 조금 낮지만 프리앰프로 밀어주면 됩니다. 예상대로 넓은 주파수 대역이 마음을 흡족하게 만듭니다. 1W : 20Hz~20kHz @ 0.1 ~ -0.48dB, 8ohm ..
-
5998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3. 8. 25. 14:46
요즘 직열관 프리에만 매달리다가 머리도 식힐겸 우연히 들어온 5998 와 6U8A 로 싱글 파워를 만들었습니다. 5998은 원래는 오디오용은 아니고 정전압회로에 사용되었던 진공관으로 3극관이 한 몸체에 2개가 들어간 쌍3극관입니다. 6U8A도 텔레비젼과 FM 튜너에 사용되었던 진공관으로 한 몸체에 5극관과 3극관이 들어간 복합관입니다. 요즘은 진공관 애호가들에 의해 오디오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처음엔 구철회님 회로로 만들려다가 어차피 3극관 케소드 팔로워라면 아직 만들어 보지 않은 5극-3극 SRPP로 하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호윤님 사이트에서 보고 언제 한번 만들고 싶었던 회로입니다. 스파이스를 돌려서 적당한 시정수를 구하고 제작에 들어 갔습니다. 이번 파워는 복합관 6U8A를 사용한 5극-3..
-
91B형 WE310A-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12. 10. 3. 20:15
항상 WE310A를 사용한 91B형 300B 싱글의 소리가 궁금했습니다. 이것저것 부품만 사다가 모아놓고는 300B PP 듣는 재미에 빠져 좀처럼 만들지 못하고 있었는데 추석연휴를 빌어 드디어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원래 계획은 샤시를 포함해 완전히 새로 만드는 것이었는데 빨리 들어 보고자 기존 300B 싱글 샤시를 사용했습니다. 기존에 달려있던 태창 출력트랜스를 그대로 사용했는데 소리가 생각보다 좋아 원래 계획한 하몬드 출력트랜스로 바꿔 달았습니다. 회로도입니다. 300B 케소드에 저항대신 CCS를 사용한것 빼고 인터넷에서 흔히 볼수있는 구성입니다. 특성을 측정해 봤습니다. 최대출력 : 8W @ 1kHz, 8ohm, THD 5%, 입력 900mV 이득 : 20 dB 잔류잡음 : 0.5mV (무보정) 주파..
-
6C8G-45-인터스테이지-300B PP 파워앰프파워앰프 2012. 4. 29. 17:14
300B PP 자작기입니다. 오랫만에 만들었습니다. 오랜기간 구상했고 부품수급에서 제작까지 반년 정도 걸렸네요. 기본적으로 신정환님의 300B PP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왔습니다. 초단, 드라이브단은 싱글, 인터스테이지로 위상반전후 300B PP 증폭이라는 멋진 구성입니다. 평소 저도 꿈꾸던 구상이었는데 멋진 작품으로 완성하셨길래 저도 만들어 보고 싶었습니다. 회로도입니다. 이런 형태를 기반으로 여러가지 진공관을 검토해 보았으나 최종적으로 이렇게 만들기로 하였습니다. 초단 진공관은 조금 생소한 6C8G 입니다. 쌍삼극관으로 뮤가 36입니다. 옥탈, 삼극관, 항아리관으로 뮤가 40 정도인 진공관을 찾아봤는데 없었습니다. 그러다 장터에서 발견하고 이거다 싶었는데 쌍삼극관에서 탑캡이 있는 한쪽만 사용합니다. 정호..
-
6SN7-6BX7-300B 싱글앰프파워앰프 2010. 3. 7. 12:34
이번에 만든 6H30 차동 트랜스 프리의 이득이 적어서 그간 사용하던 6EM7-300B 싱글을 바꾸어 보았습니다. 그렇다고 예전에 사용했던 회로로 돌아가기엔 재미도 없고 너무 이득도 크고해서 전부터 생각해 오던 6SN7-6BX7의 조합을 적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TDA 프로그램을 사용해서부하선을 가능한 직선성 좋은 구간으로 잡았습니다. 교류동작점이 직류동작점과 크게 차이나지 않기 때문에 직류동작점만 참고했습니다. 2차 일그러짐이 가장 작은 영역을 찾는데 6SN7은 큰 문제없으나 6BX7은 바이어스를 깊게하면 할수록 특성곡선이 많이 누워버려 상하차이가 많이 벌어집니다. 가능한 얕게 잡아야 하는데 너무 얕으면 풀스윙시 클리핑이 걸리니 적절한 점을 찾아야 합니다. 주파수특성이나 왜율특성은 6EM7-300B 와..
-
6EM7 드라이브 300B 싱글 파워앰프 두번째파워앰프 2009. 10. 20. 00:56
6EM7 드라이브로 300B 싱글앰프를 제작후 여러가지 탐구가 있었습니다. 6EM7의 구성을 여러가지로 조합해 봤습니다. 첫번째, 1단 플레이트팔로워→2단 플레이트팔로워→커플링→300B: 앞의 자작기에서 소개한 회로 두번째, 1단 플레이트팔로워→커플링→2단 플레이트팔로워→커플링→300B : 조금 시원하지만 첫번째와 큰 차이 없음 세번째, 1단 플레이트팔로워→2단 플레이트팔로워→(1,2단간 NFB)→커플링→300B : 내심 크게 기대했지만 거친 음으로 곧바로 해체 네번째, 1단 플레이트팔로워→2단케소드팔로워→커플링→300B : 이번에 소개하는 회로로 조금 더 대역이 확장 드라이브단의 전류값도 크게, 작게 여러가지 실험을 해봤습니다. 회로의 구성에 따라 변하는 음색을 탐구하는 즐거움의 연속이었습니다. 나름대..
-
6EM7 드라이브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09. 7. 13. 00:05
기존 C3g 삼결접속 드라이브로도 좋은 느낌을 갖던중 프리앰프 없이는 만족스런 대역이 나오지 않는다는 불만이 있어 프리앰프 없이도 좋은 대역을 갖는 드라이브단을 갖추고 싶은 맘에 여기저기 둘러 보았습니다. 결국 초단+출력관의 2단으로 드라이브를 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C3g 삼결의 내부저항이 작은편이지만 출력관과는 비교할수 없는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샤시때문에 드라이버단은 오직 한개의 진공관만 앉힐수 있는 제한이 있었습니다. 당연히 복합관을 알아보던중 6EM7이 용도에 아주 적합했습니다. 더우기 3극관에옥탈베이스라 더욱 좋았습니다. 일본사이트에서 찾은 회로를 바탕으로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초단과 드라이버단은 직결하고 드라이브단에서 플레이트팔로워로 커플링커패시터를 통해 300B로 연결합니다. B..
-
C3g 드라이브 300B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09. 4. 5. 07:37
오랫동안 준비해왔던 300B 싱글앰프가 드디어 완성되었기에 자작기를 올려봅니다. 누구나 다 그렇겠지만 드라이브회로를 무엇으로 할지고민이 많았습니다. 유명한 회로인 선오디오회로의 삼극관 6SN7로 할까 아니면 오극관 6SJ7로 할까 하다가 한국진공관동호회에서 정보를 찾던중 故 안병원님의 C3g 예찬론과 회로를 접하고 맘에 들어서 드라이브관에 C3g를 채택하기로 하고 회로는 안병원님의 회로를수정하여 제작에 들어갔습니다. 애초는 C3g의 플레이트부하저항에 게리핌 BBMCCS를 적용하려고 준비하였으나 조립을 마치고 측정을 해보니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C3g의 공급전원과 플레이트간 전압차가 2V에 불과해서 부하로서 전혀 작동을 하지 않았습니다. 또 어느 순간부터 정상으로 작동하다가도 다시 어느 순간부터..
-
EL34 싱글 파워앰프파워앰프 2008. 12. 18. 20:01
EL34 싱글 자작입니다. 정확히는 개작(?)이 맞을듯 합니다만... 6V6 싱글을 중고로 구입하였으나 소리가 영 아니올시다라서 전원트랜스와 전원용 전해콘덴서만 남기고 완전히 바꿨습니다. 저역 싹둑, 고역 싹둑 잘려서 전화기에서 나는 코맹맹이 소리만 나더군요. 판매자가 소리 좋다고 해서 큰 기대는 안했지만 너무 했습니다. 초단 자리 하나가 남네요.^^ 출력트랜스는 DHT 96코어로 나중에 300B 싱글 만들때 쓰려고 사둔것입니다. 샤시에 비해 너무 커서 균형이 맞지 않는군요. 회로는 박창영씨 6V6 싱글이 기본입니다. EL34는 3결접속했습니다. 초단은 12AU7 SRPP입니다. 특성을 측정해봤습니다. NFB 걸기전 특성도 거의 유사합니다. 고역과 저역이 조금 늘어 났고 찌그러짐을 약간이라도 낮게 하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