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N904 - PX25 싱글 파워앰프 ; 완성판파워앰프 2025. 2. 24. 19:18
PX25 싱글앰프 완성판을 제작하기 앞서 테스트베드에서 초단&드라이브단을 여러가지 버전으로 실험했습니다.
Ver.1 - EC8010
Ver.2 - V312+인터스테이지
Ver.3 - 입력트랜스+V312/REN904
그런 일련의 실험중에서 제일 마지막 버전을 기준으로 이번 완성판을 제작했습니다.
초단관으로 사용한 REN904은 1930년대에 출시된 유럽 고전관으로 뮤는 30, 내부저항은 12k옴의 방열 3극관입니다.
게인을 조금 더 확보하기 위해서 입력단에 1:2 룬달 입력트랜스를 적용했습니다.
PX25는 뮤가 9.5로 직열관으로는 높은 편이라 비교적 구동이 쉬운 진공관입니다.
데이터시트에 표기된 최적부하는 3.2k옴으로 보통 이정도 출력트랜스를 많이 사용하지만 여기에서 조금 의문점이 들었습니다.Ep-Ip 곡선상에서 동작점을 검토해 보면 3.2k 부하선은 진공관에 비해 기울기가 가파른 편이라 동작점기준 좌상단은 선형성이 좋지만 우하단은 선형성이 안좋은 구간으로 들어갑니다. 이대로는 입력레벨이 높아질수록 플러스(+)쪽 파형은 깨끗하게 출력되지만 마이너스(-)쪽 '파형은 끝이 뭉툭하게 출력되는 상하비대칭 현상이 심화됩니다. 그래프의 빨간색이 3.2k 부하입니다. 최대출력시 상하비율이 약 1:0.76 으로 큰 왜율이 발생함을 알수 있습니다. 최대출력을 높게 보이고 싶은 의도였지 않을까 추측되는 대목입니다.
이런 현상을 완화하기위해 출력트랜스는 데이터시트의 3.2k옴보다 2배 큰 6.5k옴 룬달트랜스로 선정했습니다.
3.2k옴에 비해 부하선이 보다 누워져 우하단의 선형성이 더 좋아지기 때문에 상하비대칭도 조금 더 개선됩니다. 그래프의 파란색이 6.5k 부하입니다. 최대출력시 상하비율이 약 1:0.85 로 개선되어 3.2k보다 왜율이 더 낮아지게 됩니다.
반대급부로 최대출력은 조금 작아집니다만 출력보다는 질감을 택했습니다.
이 앰프에 사용된 PX25는 체코의 하이엔드 진공관제조사인 KR오디오의 제품입니다.
구관도 좋지만 KR PX25도 아주 좋은 소리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최종본인 이번 완성판은 고급부품을 투입해 제작했습니다.
신호부 저항은 오디오노트 탄탈이며 커플링캡은 Vcap ODAM입니다.
전해캡은 JJ테슬라, FT cap, 오디오노트, OS콘 등의 제품을 사용했습니다.
출력트랜스는 8옴으로 셋팅되어 있습니다. 부드럽고 나긋하면서 힘이 있는 소리입니다.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녹음했습니다. 스피커는 노틸러스801 입니다.
'파워앰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6SF5GT - 300B 싱글 파워앰프 (0) 2025.03.19 V312/REN904 - PX25 싱글 파워앰프 ; 입력트랜스 버전 (0) 2025.01.23 V312 - PX25 싱글 파워앰프 ; 인터스테이지트랜스 버전 (0) 2025.01.15 EC8010 - PX25 싱글 파워앰프 (0) 2025.01.03 WE 271A 싱글 파워앰프 (0)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