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SN7-6BX7-300B 싱글앰프파워앰프 2010. 3. 7. 12:34
이번에 만든 6H30 차동 트랜스 프리의 이득이 적어서 그간 사용하던 6EM7-300B 싱글을 바꾸어 보았습니다.
그렇다고 예전에 사용했던 회로로 돌아가기엔 재미도 없고 너무 이득도 크고해서
전부터 생각해 오던 6SN7-6BX7의 조합을 적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TDA 프로그램을 사용해서부하선을 가능한 직선성 좋은 구간으로 잡았습니다.
교류동작점이 직류동작점과 크게 차이나지 않기 때문에 직류동작점만 참고했습니다.
2차 일그러짐이 가장 작은 영역을 찾는데 6SN7은 큰 문제없으나 6BX7은 바이어스를 깊게하면 할수록
특성곡선이 많이 누워버려 상하차이가 많이 벌어집니다.
가능한 얕게 잡아야 하는데 너무 얕으면 풀스윙시 클리핑이 걸리니 적절한 점을 찾아야 합니다.
주파수특성이나 왜율특성은 6EM7-300B 와 대동소이 해서 올리지 않았습니다.6BX7 역시 6EM7과 마찬가지로 풍성한 저역을 들려 줍니다.
=======================================================================================================
2010. 5. 5
디커플링 회로와 전원부를 새로 손봤습니다.
300B 싱글의 전원부 콘덴서를 전해에서 필름으로 교체할때 공간이 없어 디커플링 용량을 확 줄였더니
초단 진공관을 다른 관으로 바꿨을때 초저역발진이 나더군요.
처음엔 위층에서 쿵쿵대는줄 알았습니다.ㅠㅠ
보완할겸 기존의 간단했던 디커플링을 전단적용, 좌우분리 시켰습니다.
기존 : 1&2단 공통(좌우 각각), 출력단 직결(좌우 공통)
개선 : 1, 2, 출력단 개별(좌우각각)
역시 공간문제로 필름과 전해콘덴서를 섞어서 썼습니다.
개선 효과가 생각보다 큽니다.
더 매끄럽고
더 섬세하고
더 넓어지고
더 깊어지네요.
최대출력 : 7W @ 1kHz , 이때 일그러짐THD 2.8%, 이때 입력전압 383mV
이득 : 25.8dB
S/N : 75dB (무보정)
잔류잡음 : 0.5mV (무보정)
주파수특성
7W : 20Hz~20kHz @ -1.9 ~ -0.9dB , 8 ohm
1W : 20Hz~20kHz @ -0 ~ -0.9dB , 8 ohm
=======================================================================================================
2010. 12. 5
저역이 퍼지는듯 해서 300B 케소드저항을 떼어내고 TL783으로 정전류 드라이브 했습니다.
정전류 특유의 저음을 만들기 위해서 입니다.
결과는 PP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싱글 소리라 여겨지지 않는 아주 좋은 저역드라이빙 능력을 들려줍니다.
=======================================================================================================
EH 300B가 수명을 한참 남겨 놓고 공기가 들어가 일주일 간격으로 사망했습니다.
자세히 보니 유리베이스에 금이 많이 가있더군요.
이제 러시아제 300B는 안쓰렵니다.
골든드래곤으로 교체했습니다.
메시관의 아름다운 불빛
'파워앰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91B형 WE310A-300B 싱글 파워앰프 (0) 2012.10.03 6C8G-45-인터스테이지-300B PP 파워앰프 (2) 2012.04.29 6EM7 드라이브 300B 싱글 파워앰프 두번째 (0) 2009.10.20 6EM7 드라이브 300B 싱글 파워앰프 (0) 2009.07.13 C3g 드라이브 300B 싱글 파워앰프 (0) 2009.04.05